View : 1067 Download: 0

고등학생의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 실태 분석 및 교수·학습 방안 연구

Title
고등학생의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 실태 분석 및 교수·학습 방안 연구
Other Titles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social interactive discourse reality and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Authors
정혜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ctual conditions of and problems in listening and speaking in socially interactive discourse and to examin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ies of socially interactive discourse. For that purpose, a socially interactive discourse is defined as 'a discourse through which human relations are built and improved in various situational contexts' and attributes of the socially interactive discourse are presented from 4 different aspects; purpose, physical context, process, talker and listener. The purpose of the socially interactive discourse is to build human relations, and participants in the discourse share the same time and space under a relatively relaxed regulation, and the discourse is conducted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 and all the participants in the discourse are concurrently talkers and listeners. On the basis of such attributes, socially interactive discourses are divided into 4 types; ‘conversation, interview, discussion and negotiation. And among those 4, conversation, especially a small group conversation, is focused on. For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listening and speaking in socially interactive discourse,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sis of a conversation of a small group of student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articipating students showed lack of understanding of negotiating nature of the conversation in the course of listening and speaking and details of the lack of understanding were as follows. First, they lacked recognition, respect and sympathy for others. Second, they lacked understanding of importance of listening carefully. Third, they lacked patience to wait for one's turn to speak. And they also lacked understanding of importance of cooperative attitude in conversation, which was shown by their non-response to each other, criticising and mocking each other, using vulgar language and slangs. Lack of understanding of negotiating nature of a conversation and inappropriate interaction hinder smooth process of conversation and have negative impact on building personal relationship and maintaining it. In this study, as a remedy for such problems, principle, methodology and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of listening and speaking in socially interactive discourse are suggested. The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of listening and speaking in socially interactive discourse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education for socially interactive discourse is necessary. Second, negotiation should be made through practical performance. Third, education for participants in the discourse to recognize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y is necessary. Fourth,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process of a discourse are necessary. Fifth, an appropriate topic should be proposed. Sixth, various methods of education should be used. Seventh, the process should be assessed. In this study, to reflect the aforementioned principles and to remedy problems in listening and speaking in socially interactive discours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a small group conversation of students', ‘self-checking by a checklist’ and ‘mutual evaluation by a reflective conversation’ are suggested as methodologies of teaching and learning. First, it is suggested that methodology of a small group conversation should be introduced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listening and speaking in socially interactive discourse, and the direction of organizing the small group is also suggested. Second, the methodology ‘self-checking by a checklist’ is suggested and the items of checklist include purpose, topic and situation of a conversation, roles of a leader and a collaborators of the conversation, recognition of negotiating nature of the conversation, function and attitude of speaking, function and attitude of listening, interactive process of the conversation, effort to solve problems in the course of conversation, interaction of higher-order cognition, so self-checking in various aspects is made possible. Third, ‘mutual evaluation by a reflective conversation’ is suggested. A reflective conversation means reviewing the initial small group conversation. In the course of reviewing the initial conversation, the students will go through analysis of problems in listening and speaking of the participants and mutual evaluation, and by doing so, they will have experience of meta-analysis of their conversa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and negotiation, and this fact is backed up by a model of mutual evaluation by a reflective conversation and actual contents of the small group conversation. Lastly, a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socially interactive discourse is suggested. The suggest model is not completed enough to be applied in an actual teaching situation, but it has some meaning in that it shows a socially interactive conversation is a dynamic process in which more than 2 participants recognize the negotiating nature of conversation and exchange messages and interact to each other. In the future, I hop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ies of socially interactive discourse to be systematic and empirical at schools through further study on an empirical and theoretical research of socially interactive discourse.;본 연구는 실제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듣기·말하기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듣기·말하기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본고에서는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를 ‘다양한 상황 맥락 속에서 상호교섭과정을 통해 인간관계를 형성 및 개선하는 담화’로 정의하고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특성을 목적, 물리적 맥락 요인, 과정, 화자와 청자의 네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가 인간관계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담화라는 점, 담화 참여자들이 비교적 자유로운 규칙 속에서 동일한 시간과 공간을 공유한다는 점, 교섭과 협상의 과정을 통해 진행된다는 점, 담화 참여들이 화자와 청자로서 순간적이고 동시적으로 역할을 바꾼다는 점이 그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유형을 ‘대화, 면접·면담, 토의, 협상’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 중 대화, 그 중에서도 학생 소집단 대화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본고에서는 설문지 조사 방법과 학생 소집단 대화 분석을 통해 듣기·말하기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듣기·말하기 과정에서 대화 참여자로서 대화의 상호교섭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는데,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상대방에 대한 인정·존중·공감 의식 부족, 둘째, 집중하여 주의 깊게 듣기에 대한 인식 부족, 셋째, 순서를 지키며 대화하려는 인식 부족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음으로 학생들은 대화의 과정에서 협력적으로 상호 작용해야 한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는데, 실제 학생 소집단 대화 과정에서, ‘무반응 및 무응답, 비난하거나 비웃기, 비속어 사용’의 모습을 통해 대화의 상호 작용 과정의 부정적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화의 상호교섭성에 대한 인식 부족과 잘못된 상호 작용은 원활한 대화 진행을 방해하거나 인간관계 형성·지속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교수·학습 원리·방안·모형’을 구안하였다. 듣기·말하기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교수·학습 원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 자체에 대한 교육 필요함, 둘째, 실제 수행을 바탕으로 한 상호교섭이 되어야함, 셋째, ‘담화 참여자의 역할·책임 인식’에 대한 교수·학습의 선행이 필요함, 넷째, 담화 과정에 대한 교수·학습이 필요함, 다섯째, 적절한 화제가 제시되어야 함, 여섯째, 다양한 교육 방법을 활용해야 함, 일곱째, 담화 과정에 대한 평가가 필요함이 그것이다. 전술한 원리를 반영하고 사회적 상호 작용을 위한 듣기·말하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교수·학습 방안으로 ‘학생 소집단 대화를 통한 교수·학습의 진행’과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자기 점검’, ‘대화 반성을 통한 상호 평가’를 제안하였다.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교수·학습이 실제 수행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생 소집단 대화를 통한 교수·학습’ 형태와 같은 수행 중심의 수업 방법이 도입되어야 한다. ‘학생 소집단 대화를 통한 교수·학습’의 핵심은 소집단을 어떻게 구성하는 가에 있기에 우선 본고에서는 학생 소집단 구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자기 점검’을 제안하였는데, 대화의 목적·화제·상황, 대화의 주도자·협조자로서의 역할, 대화의 상호교섭성 인식 여부, 말하기 기능 및 태도, 듣기 기능 및 태도, 대화의 상호 작용 과정 자체‘에 대한 점검은 물론 ’대화 진행 상황 속에서의 문제 해결 노력 여부‘, ’대화 과정에서의 상위인지의 작용 여부‘ 등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체크리스트를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대화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측면을 반영한 자기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반성적 대화를 통한 상호 평가’를 제안하였는데, 여기서 반성적 대화란 한 차시의 수업에서 1차 소집단 대화를 진행한 다음, 1차 소집단 대화에 대해 반성하는 대화를 의미한다. 반성적 대화 과정에서 학생들은 대화 참여자의 듣기·말하기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지적하는 상호 평가 과정을 거쳐 자신들의 대화 사례를 메타적으로 분석하거나 상호 이해하고 협상하는 경험을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교수·학습 과정을 모형으로 구안하였다. 본고에서 구안한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교수·학습 모형은 사회적 상호 작용을 위한 듣기·말하기 과정이 다양한 상황 맥락 속에서 2인 이상의 담화 참여자가 상호교섭성에 대해 인식하고, 메시지와 상호 작용을 동시에 주고받는 역동적인 과정임을 드러내고 있다. 본고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모형이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서 적용되기까지는 아직 부족함이 많으나,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듣기·말하기 과정을 제시하려고 노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에 대한 이론적·실증적 차원의 연구가 더 활성화되어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교수·학습이 학교 현장에서 체계적이고 실증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