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3 Download: 0

의미 협상이 한국어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Title
의미 협상이 한국어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 Negotiation of Meaning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Vocabulary
Authors
정연화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There are the practical demands for more research concerning with Korean vocabulary.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whether a negotiation of meaning has effects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vocabulary. This is the experimental study which examines specific categories: task performance,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The primary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Does a negotiation of meaning affect the task comprehension? 2. Does a negotiation of meaning have a differential effect on the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acquisition? 3. Does a negotiation of mean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acquisition?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experiments were conducted of a total 39 learners who are studying Korean at the language institute of an university as beginning level.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a group which only takes input, a group which produces the oral output after input, and a group which negotiates with native speakers. Participants were provided a drawing of a house and a picture of items, and then asked to identify the 10 target items and place them to the right location as native speaker's direction. The result of task performance and VKS were used as the evaluation tools. VKS was given again to investigate delayed effects in 3 weeks la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MANOVA and ANOVA. The major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of a negotiation of meaning showed more effective result than other two groups in task comprehension. Especially, the difference between negotiation of meaning group and input group was substantially great. This result might be come from properties that participants in negotiation group can get the information needed at an opportune moment. Second, the group of a negotiation of meaning didn't report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other groups in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It can be presumed the negotiation activity doesn't affect the receptive aspect of vocabulary knowledge. Third, the group of a negotiations of meaning showed more effective result than others in the acquisition of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this result may be because the negotiation group is able to understand the target words with more opportunity for utterance, therefore the acquisition of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was facilitate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tention of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In conclusion, a negotiation of meaning facilitates the task comprehension and the acquisition of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The group of negotiation was efficient due to the great acquisition of target words despite of relatively short time in learning. Moreover, only participants in negotiation group corrected their mistaken vocabulary knowledg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 negotiation of meaning on the vocabulary knowledge and established that it affects positively the task comprehension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iverse and lively discussion in Korean vocabulary education.;본 연구는 한국어 어휘 습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현실적 상황을 전제로, 의미 협상 여부가 한국어 어휘 습득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세부적으로는 의미 협상과 과제 수행, 그리고 수용적 어휘 지식 및 생산적 어휘 지식 습득으로 영역을 구체화하여 살펴본 실험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한 연구 문제와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의미 협상은 과제 이해에 효과적인가? 연구 가설 1. 의미 협상을 한 집단은 입력 집단이나 입력 후 말하기 출력 집단에 비해 과제 이해의 결과가 좋을 것이다. 연구 문제 2. 의미 협상은 수용적 어휘 습득에 효과적인가? 연구 가설 2-1. 의미 협상 집단은 입력 집단이나 입력 후 말하기 출력 집단과 수용적 어휘 지식 습득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 연구 가설 2-2. 의미 협상 집단은 입력 집단이나 입력 후 말하기 출력 집단과 수용적 어휘 지식 유지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 연구 문제 3. 의미 협상은 생산적 어휘 습득에 효과적인가? 연구 가설 3-1. 의미 협상 집단은 입력 집단이나 입력 후 말하기 출력 집단에 비해 생산적 어휘 지식 습득에 효과적일 것이다. 연구 가설 3-2. 의미 협상 집단은 입력 집단이나 입력 후 말하기 출력 집단에 비해 생산적 어휘 지식 유지에 효과적일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현재 대학 기관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 39명을 대상으로 입력만 받는 집단, 입력 후 생산하는 말하기 출력 집단, 그리고 의미 협상 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과제는 주어진 그림에서 지시사항에 적합한 항목을 식별하고 이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는 과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에 상정된 과제 이해 여부는 실험 후 과제 수행 결과로 확인하였고, 수용적 어휘 지식 및 생산적 어휘 지식 습득 여부는 VKS 시험 방식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지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약 3주 후 지연 사후 시험을 진행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다변량분산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통계 처리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 협상 집단은 과제 이해에 있어 입력 집단이나 입력 후 말하기 출력 집단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의미 협상 집단과 통제집단이었던 입력 집단 간의 차이가 컸는데, 이는 의미 협상을 통해 실험 참여자가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시기에 제공받을 수 있다는 속성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의미 협상 집단은 수용적 어휘 지식 습득과 유지에 있어 다른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의미 협상 활동은 어휘 지식의 수용적 속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셋째, 의미 협상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생산적 어휘 지식 습득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미 협상 과정을 통해 목표 어휘를 좀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더불어 학습자들에게 목표 어휘를 반복하여 발화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생산적 어휘 지식 습득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반면 생산적 어휘 지식의 유지는 세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의미 협상이 과제 이해와 생산적 어휘 지식 습득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의미 협상을 한 집단은 동일한 과제를 수행하고 어휘를 습득하는 시간이 다른 집단에 비해 짧았음에도 목표 어휘 습득에 효과적이어서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의미 협상 집단에서만 학습자가 기존에 잘못 알고 있던 단어의 수정이 되었던 점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의미 협상이 어휘에 있어서 중간언어 오류 수정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한국어 어휘 습득에 있어 의미 협상의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고, 과제 이해와 생산적 어휘 지식 습득에는 일정 부분 효과가 있었음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한국어 어휘 교육에 있어 더욱 다양하고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