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2 Download: 0

A Study on Activating Plans for Korean PEF Focusing on the Capital Consolidation Act

Title
A Study on Activating Plans for Korean PEF Focusing on the Capital Consolidation Act
Other Titles
자본시장통합법 시행에 따른 한국형 사모투자펀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uthors
박장희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Jasper Kim
Abstract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pursuing the introduction of private equity funds (PEFs) as a means to developing the financial industry. Given the need to increase return on investments, increase effectiveness of the capital market, catalyze the advancement of the domestic financial industry and compete with foreign PEFs, there is urgent need to allow PEFs to operate.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CMCA, 25 PEFs including Mirae Asset Partners 1, Woori PEF, registered for a total of KRW 5.9 trillion in invested commitments. The Korean government enacted the Capital Market Consolidation Act in February 2009 due to the complicated restrictions imposed only to domestic PEFs, thereby impeding the development of domestic PEFs. Under this law, it is expected that the domestic capital market and PEFs will grow significantly and increase competency. However this law is not sufficient to avoid potential legal problems and risks which still remain. These risks are highlighted in the LTCM and Lone Star’s cases. Korea should not neglect the potential risk factors of the PEFs that exist in the international arena. Keeping in mind the goal of cultivating a healthy financial industry, this thesis will examine approaches to cultivating a healthy financial industry based on the pros and cons of regulating PEF. Due to the controversial issues surrounding PEFs across the international financial landscape, this dissertation will examine the pros and cons to the regulation and deregulation of PEFs. Korean PEFs should minimize the side effects that may result in domestic capital market, the least regulation, which not only fits for domestic financial market and its regulatory system, but also protects potential market risk and investors is required. Chapter 1 introduces background of PEFs in Korea, and research scope. Chapter 2 describes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PEFs, that other dissertations did not established clearly. This chapter also analyzes the current movement of PEFs in Korea, and evaluates the effects of PEFs in Korea. Chapter 3 examines controversial issues about regulating PEFs and Korean government’s perspective on such regulations. Focusing on the enactment of CMCA, this chapter analyzes its effects and implication thoroughly. Chapter 4 examines political issues and suggests further issues for activating domestic PEFs. Chapter 5 draws out a comprehensive conclusion by gathering together the results of the Chapter 3 to Chapter 4.;최근 한국 정부는 금융산업 성장의 수단으로서 사모투자펀드의 도입을 추진해왔다. 투자 수익률 증가와 자본 시장의 효율성, 외국 사모투자펀드와의 경쟁을 위한 국내 자본시장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필요성의 증가에 따라 사모투자펀드의 필요성에 제고되어 왔다. 이에 따라 2004년 12월 간접투자자산운용법령 및 하위 감독규정 개정을 통해 미래에셋파트너스 제 1호와 우리 제 1호 사모투자펀드를 시작으로 총 출자약정금액은 5.9조원에 이르는 수준까지 성장하게 되었다. 지난 2009년 2월 시행된 자본시장통합법은 기존의 국내 사모투자펀드에 적용되었던 각종 규제가 완화 내지 철폐됨으로써 국내 자본시장과 국내 사모투자펀드의 괄목할 만한 성장과 급격한 경쟁력의 격화가 예상된다. 그러나 간접투자자산운용법령만으로 현존하는 법적 문제점과 위험을 피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과거 미국의 LTCM과 한국의 론스타 같은 사건이 다시 재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한국은 잠재적인 위험 요소에 대해서 주의를 게을리해서는 안될 것이다. 본 논문은 금융시장 활성화를 위한 사모투자펀드의 규제와 완화에 대한 입장을 규명하고 자본시장 발전의 핵심 주체로서 사모투자펀드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총 5개의 장으로 이루어지며 제 1장 서론에서는 국내 사모투자펀드의 도입배경과 연구목적을 설명한다. 제 2장에서는 PEF의 일반적인 개념과 다른 논문에서는 명확히 다루지 않았던 사모투자펀드의 특성에 따른 분류를 살펴봄으로써 국내 사모투자펀드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에 미치는 사모투자펀드의 영향을 평가한다. 제 3장에서는 논란이 되고 있는 사모투자펀드의 규제에 관해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자본시장통합법의 사행에 따른 국내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제 4장은 국내 사모투자펀드의 활성화에 대한 정치적인 이슈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제 5장에서는 3장과 4장에 걸쳐 살펴본 내용을 토대로 향후 금융환경 변화 속에서 사모투자펀드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으로 결론을 갈음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