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9 Download: 0

조선시대 모란도의 색채특성과 재현기법에 관한 연구

Title
조선시대 모란도의 색채특성과 재현기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lor characteristics and techniques of representation of 'Paintings of Peonies' in the Joseon period
Authors
유예림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정보가 재산이 되는 오늘날, 문화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나라들을 살펴보면 다양한 분야에서 지나간 역사를 재조명하고 물리적 관점에서 표준화, 체계화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우리의 문화유산 가운데 회화(繪畵)의 경우 잦은 외침과 외세의 영향으로 인해 재료와 기법 면에서 그 순수성 구분하기가 어렵고 이에 관한 기록도 거의 남아 있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조선시대 널리 성행하였던 민화는 민족의 생활상을 그린 채색장식화로서 그 가치와 업적에 비해 작가와 제작연대가 불분명하고, 정통회화와 비교해 회화적 창의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학계에서도 그동안 적극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정통회화의 대부분이 수묵으로 그려진데 반해 조선시대 민화는 강한 색채를 동반하면서 서양의 것과는 다른 우리나라 고유의 독특한 채색기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우리 조상들이 생활 속에서 가까이 두고 접했던 생활 장식화인 동시에 그 안에 민족적 정서와 미의식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연구할 가치가 있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민화가 가장 성행하였던 조선시대 민화 가운데 왕실에서부터 일반인들에 이르기까지 주로 혼례식이나 부부의 침실에 장식하였던 모란도를 중심으로 색채를 분석하였다. 또한 채색 기법을 살려 재현함으로써,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색채특성을 체계화하고 재현방법론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자는 기존 연구 자료들을 통해 민화의 개념을 고찰, 명확하지 않은 민화의 정의를 분명하게 밝히는 한편, 그에 따른 민화의 분류와 특징을 고찰하였다. 둘째, 모란도에 나타난 색채를 분석하기 위해 민족 색채의식의 기원인 음양오행사상과 오방색체계를 고찰하였다. 또한 스웨덴 표준색채체계인 자연색체계(NCS)의 기본원리를 고찰함으로써 모란도 색채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분석도구로서의 타당성을 논증하였다. 셋째, 조선시대 모란도 13점의 색채분석을 통하여 모란도에 나타나는 색이 주로 꽃과 잎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모란도에 나타나는 주요색채와 배색유형을 분석하였으며 모란도의 채색원리를 고찰하였다. 13점 가운데 측색이 가능하였던 유물 6점을 NCS Index를 활용하여 실제로 육안 측색함으로써 모란꽃과 잎을 구성하고 있는 바탕색과 바림색의 관계를 밝혔으며 모란도가 단계별 채색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연구자는 조선시대 모란도의 특성을 연구한 것을 토대로 실제 모란도를 재현하는 과정을 통해 재현 방법론을 구축하고자 고광준에게 사사를 받아 그 재현기법을 단계별로 정리하였다. 연구자는 먼저, 민화의 표현성을 구축하는 바탕재료인 종이, 안료, 접착제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재료의 올바른 사용과 특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채색을 하기 위한 준비단계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채색단계를 3단계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채색단계는 1차 바탕색단계, 2차 바림단계, 3차 역바림/덮는 단계이다. 연구자는 모란도를 재현하는 단계별로 모란꽃과 잎의 색을 측색을 하였다. 그 결과, 각 단계마다 NCS 색상과 뉘앙스가 변하는 것을 발견 하였다. 이것은 전통채색화의 독특한 바림기법에 따라 채색층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각 단계의 채색층이 겹쳐져 다양한 색상과 색조가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더 깊이 있는 색을 완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유물로써 민화의 색채를 분석하는 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민화의 채색기법을 계승할 수 있도록 재현방법론을 구축한 데에 의미가 있다. 민화에 나타나는 색채는 우리 민족의 색채감각과 미의식을 이해하기 위한 귀중한 자료이며, 민화에 쓰이는 채색기법은 전통채색화의 채색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방법론적 지침이 될 것이다.;Today when information becomes a asset, we can see the nations which are so called culturally developed countries reinterpret past history in various fields and from physical perspective, the studies to standardize and systematize are made actively. In the case of paintings out of our cultural heritage, due to the influence of frequent external aggression and foreign power, it is true it is difficult to discern the purity in terms of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little record remains. The folk art which was prevalent in the Joseon period is color painting for decoration to paint the life of our nation and its painters and production years are not clear compared to its values and achievements, and has not been the subject of positive research in the academic world until now just because it lacks pictorial creativity over the orthodox painting. Folk art is accompanied by strong colors and has our country's unique coloring techniqu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est while most of orthodox paintings were painted with Indian ink. In addition, the folk art has sufficient research values in that it is the living decoration paintings our ancestors enjoyed easily and closely in everyday life and at the same time, it has the ethical sentiments are contained inside of it. Accordingly,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colors focused on Paintings of Peonies which mainly decorated wedding ceremonies and couples' bedrooms ranging from the Royal family to common people among folk art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when it was most popular. In addition, by reviving coloring techniques, we were to systemize the color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the process and establish the methodology of representation. In relation to this,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obviously elucidated the definition of folk art which was not clear by examining its concept through the existing research data, and subsequently, classified it and investigated its characteristics. Second, so as to analyze colors in paintings of peonies, we examined five-direction colors and the theory of Yin-yang Wu-hsing, the origin of ethnic color consciousness. Besides, by looking into the basic principle of the natural color system(NCS), the Swedish standard color system, we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as a analysis tool in order to establish database of colors of paintings of peonies. Third, the color analysis of 13 paintings of peonies in the Joseon period has indicated that colors shown in them are mainly decided by flowers and leaves. By this, main colors and color schemes appearing in the paintings of peonies were analyzed and their coloring principles were examined. Out of 13 pieces, using 6 pieces of relics which made it possible to measure colors, we elucid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upper part-color and the bottom-color composing peony flowers and leaves by practically measuring colors by human eyes employing NCS Index and confirmed that the paintings of peonies are made by coloring by the step-by-step process. Fourth, in order to build the methodology of reproduction through the course of practical reproduction of the paintings of peon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eir characteristics in the Joseon period, the present researcher was taught by Go Gwangjun and summarized the reproductive techniques by step. By first examining paper, pigments and adhesives, which are bottom materials to make the expressiveness of folk art, the researcher described the right us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and the characteristics. Also, the preparatory stage for coloring was explained and the coloring stages were divided into 3 ones. They are the first order-the bottom stage, the second order-the barim stage and the third order-the opposite barim stage/the covering stage. This researcher measured colors of peony flowers and colors by stage to revive the painting of peoni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y each stage, NCS colors and nuance changed. It can be analyzed that this is a phenomenon resulting from the fact that according to unique barim techniques of the traditional colored picture, color layers has an effect on each other. We can see that the color layers of each stage are folded and various colors and tones appear, which results in completion of more deep colors. The current study is not limited to analyzing colors of folk art as relics and has meanings in building the methodology of representation so that the coloring techniques of folk art can be succeeded. The colors shown in folk art are valuable materials to understand our nation's color sensation and aesthetic consciousness, and coloring techniques used in it will be methodological guidelines to appreciate the coloring principles of traditional colored pictur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