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7 Download: 0

보증인에 대한 채권자의 정보제공의무

Title
보증인에 대한 채권자의 정보제공의무
Other Titles
A creditor's Duty of Offering Information
Authors
박지은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태윤
Abstract
The guarantee system is the representative of human guarantee system. If an obligator doesn't discharge his obligations, an guarantor must fulfill the obligations by his own property, provided by the contract of guarantee. This system allows people, who doesn't have an adequate nonexempt property, to be provided a credit by financial institutions. It helps the person to perform a variety of economical activities within the capitalistic competitive market system. There are, however, many cases of careless acceptance in the contract of guarantee without considering legal meanings from what the guarantor has done, due to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a obligator and a guarantor. Because contractors include an obligator and a guarantor, a guarantor than creditor have less opportunity to control the default on an obligation, such as when making a it may not be obvious to have necessity to guarantee. This suggests, thus, the necessity of a guarantor's protection. Although there shall be a necessity of protecting of guarantor, the surety obligations is unilateral form of contract. In the essential feature of guarantee for a priority of a creditor's collateralized obligation, there is not a the special duty imposed to a creditor, since there is the risk of an obligator's insolvency which entrust a guarantor. In spite of a special feature in the contract of guarantee, its contract is concluded by contractors who are an obligatory and a guarantor. Therefore, there may be the rest of the duty of deed which is happened from the process of concluding other general contract. In the process of the contract of guarantee, one of compulsory articles can include, the duty of explanation or the duty of notice for the regular articles. Thus, in case of conclusion in the contract of guarantee, there is a discussion about imposing the duty of offering information to a creditor in condition of certain situations. When a standpoint in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is mostly concerned, it's unacceptable to impose the duty of offering information to a creditor, because it makes it a rule to find the essential information about conclusion of contract for oneself. Due to the remarkable imbalance of information between contractors, however, there is another opinion that if there are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and the possibility of acquisition , it is possible to modify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and self-responsibility. On the assumption that a creditor is under an obligation to offer the guarantor the information, it is based on following theories ; that the regular reliance occurs between contractors without concerning the decision of the final contract, this reliance must be protected by the regulation, which is called the theory of reliance protection. This reliance also occurred from the duty of offering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concluding general contract, the theory of consumer protection, the law and economical reason with the minimum and effect of transition cost, the opinion of a related person's job whose admits the duty of offering information. If we look into the legislation's examples from a variety of countries, there are some of countries which state the obligation of offering information in the civil law or the special law.(such as France, Swiss, U. S.). Although some of countries don't state the explicit regulation (such as Germany and Japan), they have sought a variety of solution to balance between an obligatory's guarantee profit and a guarantor's protection. Although the duty of offering information is not provided in the Korean civil law, it is provided in the special law of protection of guarantor. However, it doesn't state the punishment of disobedience. This causes a lack of effectiveness. As the effect of the infringement of duty of offering information , I think that it's the most reasonable to provide articles in detail and to take sanctions such as a claim of a reduction or the rights of termination in case of infringement. Recently, however, because such an effect is not given, when there is a mistake of an obligatory's identity at the moment of concluding a guarantee contract, it must apply the law of mistake annulment to solve the problem. If a credibecaremains silently not to provide the contract's inch an effecwhich can cause however, bec's cancelec in f a credibecaprovides a fch e information to the ever, bec, it can be claimed in the rights of fr,ud annulment. Although the infringement couldn't reach the exercise of annulment rights, which is from mistake, fraud and compulsion, it can be required to ask for a compensation, due to the infringement in the duty of deed. Recently, there is a discussion about an amendment of civil law property. It includes a duty that a creditor offers information to the guarantor. It is similar to the special law of protection of guarantor which states the creditor's duty of notice to the guarantor. while the duty is called the duty of offering information before concluding a contract, it is called the duty of notice after concluding a contract. Through the creditor's acceptance of offering information duty, its embodiment, the settlement of the credit society, and the effort of improving the advanced system in credit evaluation, it can be expected to develop the proper system with balance between the guarantor's protection and the creditor's collateral profit for effectiveness of guarantee system.;보증제도는 인적담보의 대표적인 것으로 보증인은 보증계약에 기하여 주채무자가 주채무를 이행하지 아니할 경우에 그 채무를 자신의 일반재산으로 이행할 것을 내용으로 한다. 이는 충분한 책임 재산이 없는 자들에게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신용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에서 폭넓은 경제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보증계약이 주로 보증인과 주채무자 간의 특별한 인적 관계로 인하여 자신의 행위에 대한 법적 의미에 대하여 진지한 고려없이 경솔하게 보증을 승낙하는 경우가 많으며, 계약의 당사자도 보증인과 채권자이어서 보증인이 주채무자의 채무불이행에 대하여 통제할 수 있는 기회가 적고, 보증계약 체결 당시에는 보증의 위험 실현이 확실히 되지 않는 등의 특수한 위험성으로 인하여 보증인 보호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렇듯 보증인 보호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보증채무가 편무적 성격을 가진 것이며, 채권자의 채권담보 이익 우선이라는 보증의 본질적 특성상 주채무자의 무자력으로 인한 위험은 보증인에게 맡겨져 있는 것으로 보아 채권자에게는 특별한 의무를 부과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보증계약의 특수한 성질에도 불구하고 보증계약이 채권자와 보증인을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의하여 성립하게 되므로, 여타의 일반 계약의 성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타의 행위의무는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의무 내용의 하나로서 보증계약 과정에서도 일정한 사항에 대한 설명의무나 고지 및 통지의무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증계약 체결 시에 채권자에게 일정한 정보제공의무의 부과를 인정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있다. 계약의 사적자치의 원칙을 중요시하는 입장에서는 계약체결에 필요한 정보를 스스로 조달해야 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채권자에게 정보제공의무를 인정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계약 당사자 간의 정보의 현저한 불균형으로 인하여, 정보의 필요성과 취득가능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자기결정·자기책임의 원칙의 수정이 가능하므로, 일정한 조건하에서 채권자의 정보제공의무를 인정할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이러한 채권자의 보증인에 대한 정보제공의무의 인정이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그 근거로서 일반적 계약체결과정에의 정보제공의무와 마찬가지로 소비자 보호론, 거래 비용의 최소화와 효율성이라는 법경제학적 비용분담론, 계약의 일방 당사자의 직업으로 인하여 정보제공의무가 인정된다는 직업책임론, 그리고 종국적인 계약체결여부와 관계없이 계약체결을 하는 자들 간에 일정한 신뢰가 발생하게 되면 그러한 신뢰는 보호되어야 한다는 신뢰보호론 등이 있다. 각국의 입법례를 살펴보면, 채권자의 정보제공의무를 민법이나 특별법에서 명시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나라들도 있으며(프랑스, 스위스, 미국),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독일, 일본), 여러 수단을 통하여 채권자의 담보이익과 보증인의 보호의 조화를 모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민법에는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보증인 보호를 위한 특별법」에서 채권자에게 정보제공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 내용 중 위반 시에 제재가 규정되어 있지 않아 실효성이 문제된다. 채권자의 보증인에 대한 정보제공의무 위반의 효과로서 법률로서 그 내용과 효과를 정하여 그 위반 시에 감액청구권이나 해지권 등의 일정한 제재를 부여하는 것이 가장 타당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그러한 효과까지는 부여 되어 있지 않으므로, 보증계약 체결 시에 주채무자의 동일성에 대한 착오와 같은 경우에는 착오 취소의 규정을 적용하여 해결하고, 채권자가 보증인이 알았더라면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을 내용을 고의적으로 침묵하거나, 보증인에게 허위의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사기 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을 것이다. 착오나 사기·강박에 의한 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을 정도에 이르지 않았지만, 채권자가 정보제공의무를 위반한 경우에는 계약 체결 시에 기타의 행위의무의 위반을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는 민법의 재산편 개정이 다시 논의되고 있는바, 채권자의 보증인에 대한 정보제공의무도 그 내용에 포함되어 있다. 그 내용은 「보증인 보호를 위한 특별법」의 내용과 유사하게 채권자의 보증인에 대한 통지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며, 계약체결 전에는 정보제공의무라는 용어로 계약 체결 후에는 통지의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채권자의 정보제공의무의 인정 및 그 내용의 구체화와 더불어 신용사회의 정착, 선진화된 신용평가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노력을 하여 보증인의 보호와 채권자의 담보 이익이 모두 조화를 이루어 보증제도의 순기능을 살릴 수 있는 방법들이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