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9 Download: 0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English Voiceless Stops by Korean Speakers

Titl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English Voiceless Stops by Korean Speakers
Other Titles
한국어 화자의 영어 무성 폐쇄음 발화와 지각 연구
Authors
박정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은진
Abstract
English voiceless stops (/p, t, k/) are aspirated when they occur in word-initial positions and unaspirated when they come after /s/ in word-initial consonant clusters (sC onset clusters). Focusing on this allophonic variation, this thesis aims to examine how the English voiceless stops are produced and perceived by native speakers of Korean, in which such allophonic distinction does not exist. Previously,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phonetic characteristics of English voiceless stops in sC onset clusters (Davidsen-Nielsen, 1969; Kim, 1998; Lisker, 2002; Yavaş, 1998) as well as of a three-way laryngeal contrast in Korean stops (Han, 1998; Han & Weitzman, 1970; Kang & Lee, 2002; Yang, 1993). For example, paying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of stops between the two languages, Yang (1993) conducted a production test that measured and compared voice onset time (VOT) values of English and Korean voiceless stops. Kim, Park, & Chun (2006) studied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Korean voiceless stops by native English speakers. However, there has not been much attempt to examine both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English voiceless stops by native Korean speaker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how native Korean speakers as foreign language learners produce and perceive English voiceless stops compared to native English speakers. It further attempts to find out relevant factors that might have influenced native Korean speakers when producing and perceiving the English sounds including first language (L1) transfer and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subjects. To achieve these research goals, both production and percep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a control group of five native speakers of American English and two groups of five Korean speakers (an experienced group with a mean of 7.6 years of residence in the U.S. and an intermediate group with no experience of living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In the production test, mean VOT values of English voiceless stops were measured and compared. In the perception test, mean percentages of the correct responses for the questions made to see the speakers’ ability to discrimin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spiration as perceptual cues are analyzed and compared among the groups. The main findings of the experiments are as follows. First, for all three groups of participants, mean VOT values of English voiceless stops in sC onset clusters were shorter than those in word-initial positions. However, an intergroup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termediate Korean group’s mean VOTs of English voiceless stops in sC onset clusters were approximately double the mean VOTs by native English speakers. These were more similar to the mean VOTs of the stops in word-initial positions produced by native English speakers. Although the experienced Korean group reported relative differences from native English speakers in the production test, they achieved an accuracy level as high as that of the native English speakers in the perception test. On the other hand, the intermediate Korean group had difficulties in perceiving English voiceless stop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study support that L2 learners’ native language (L1) and linguistic experience play influential roles in acquiring the foreign language, particularly in improving perceptual ability. They further confirm that L2 learners’ production ability and their perceptual ability are not achieved at the same time and level. Lastly, from the perspective of English education, it could be predicted that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English and Korean stop systems would enable native Korean speakers to produce and perceive English stops more accurately.;영어 무성 폐쇄음 (/p, t, k/)은 어두 위치에서 기식음화 되고, /s/ + 무성 폐쇄음 (sC)의 어두 자음군 내에 위치하면 비기식음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이러한 영어 무성 폐쇄음의 이음 변이 현상(allophonic variation)에 주목하여, 무성 폐쇄음의 이음 변이 현상이 존재하지 않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가 영어 무성 폐쇄음을 어떻게 발화하고 지각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영어와 한국어의 폐쇄음과 관련하여 sC 어두 자음군 내 영어 무성 폐쇄음의 음성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와(Davidsen-Nielsen, 1969; Kim, 1998; Lisker, 2002; Yavaş, 1998), 경음, 평음, 격음의 세 가지로 나뉘어지는 한국어 폐쇄음의 음성학적 특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Han, 1998; Han & Weitzman, 1970; Kang & Lee, 2002; Yang, 1993). 이러한 두 언어 폐쇄음의 차이에 주목하여 Yang(1993)은 영어와 한국어 폐쇄음의 성대 진동 개시 시간(voice onset time, VOT)을 측정, 비교하는 발화 실험을 실시하였고, Kim, Park, & Chun(2006)은 영어권 화자의 한국어 폐쇄음 발화와 지각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그러나 한국어 화자의 영어 무성 폐쇄음 발화와 지각현상을 중점적으로 다룬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2언어 학습자로서의 한국어 화자가 영어 무성 폐쇄음을 어떻게 발화하고 지각하는지 영어 모국어 화자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 한국어 화자를 영어권 국가 체류 경험 유무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한 후, 모국어 전이(L1 transfer) 및 한국어 화자의 영어 사용 경험 등의 요인이 한국어 화자의 영어 무성 폐쇄음 발화와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통제 집단으로 미국인 영어 모국어 화자 5명과, 두 집단의 한국어 화자(미국에서 평균 7.6년 이상 거주 경험이 있는 상급 집단과 영어권 국가 체류 경험이 없는 중급 집단) 각각 5명을 대상으로 발화 실험과 지각 실험을 실시하였다. 발화 실험에서는 영어 무성 폐쇄음의 성대 진동 개시 시간을 측정하여 각 집단별 평균 VOT 값을 비교 분석하였고, 지각 실험에서는 기식음화 유무를 지각 단서로 한 영어 무성 폐쇄음의 지각 정답 정도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각 집단별 평균 정답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sC 어두 자음군 내 영어 무성 폐쇄음의 평균 VOT 값의 경우 세 집단 모두 어두에 위치한 영어 무성 폐쇄음의 평균 VOT 값 보다 짧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집단별 평균 VOT 값을 비교할 때, 중급 집단에 속한 한국어 화자의 sC 어두 자음군 내 영어 무성 폐쇄음의 평균 VOT값은 미국인 영어 모국어 화자의 sC 어두 자음군 평균 VOT 값의 거의 두 배에 달하였고, 이는 미국인 화자 어두 위치의 VOT 값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었다. 상급 집단 한국어 화자의 경우 발화 실험에서는 미국인 화자보다 다소 높은 평균 VOT 값을 보이며 어느 정도 차이를 보였지만, 지각 실험에서는 미국인 화자와 거의 유사한 지각의 정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중급 집단의 한국어 화자는 영어 무성 폐쇄음 지각에 어려움을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해 제2언어 학습자의 모국어와 언어 경험이 제2언어를 습득하는 데에, 특히 지각 능력을 향상하는 데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2언어 습득에 있어 지각 능력과 발화 능력은 동일한 수준으로 성취되지 않는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끝으로 영어 학습의 측면에서, 한국어 화자가 영어 무성 폐쇄음을 학습할 때 한국어와 영어 폐쇄음 체계의 차이점을 이해하면 무성 폐쇄음의 발화와 지각이 보다 용이해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