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2 Download: 0

온라인 게임의 제의적 성격 연구

Title
온라인 게임의 제의적 성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itual Characteristics of Online Game
Authors
안보라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철균
Abstract
디지털 미디어의 등장은 서사를 생성하고 공유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온라인 게임은 인간의 참여와 행위를 통해 연행되는 영웅 신화를 구현함으로써 제의적 특성을 가지게 된다. 본 논문은 서사 이론, 게임 이론, 제의 이론을 중심으로 온라인 게임이 가지는 제의적 속성을 분석하고 그 의의를 검토하였다. 본래 제의는 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에 대한 긍정적 믿음을 형성하기 위해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근대화에 의한 급격한 사회 변화는 제의 공동체를 해체시켰으며 합리주의 담론은 제의를 비논리적인 것으로 격하시켰다. 이러한 신화 상실의 시대 속에서 온라인 게임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적 부족의 형성을 촉발하였으며 신화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재탄생을 보여주었다. 제의로서의 온라인 게임을 구성하는 요소는 주체와 공간, 사건이다. 우선 주체는 캐릭터로의 전이를 통하여 게임 플레이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의 전이는 플레이어의 현실적 자아와 캐릭터의 가상 자아의 순환을 특징으로 하며 플레이어는 영웅의 원형과 접점을 형성하는 데서 오는 감정적 희열을 경험하게 된다. 이를 매개하는 게임의 캐릭터는 시각 정보를 통해 신성성을 표현하며 제의의 효과와 가치에 대한 집단적인 믿음을 형성한다. 캐릭터가 활동하는 게임의 공간은 각 공간이 제시하는 신화를 통해 신성한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 공간이 지니고 있는 기능과 접근성은 비균질적인 특성을 보인다. 모두에게 공유되는 개방형 신성 공간에서는 주로 일상적 행위가 수행되며 접근성이 낮은 폐쇄형 신성 공간에서는 전투를 중심으로 한 자격 시험과 보상이 강조된다. 게임의 사건은 관습의 영향을 받으며 배열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게임의 관습은 게임의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하는 구심력을 가지며 부족의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캐릭터는 때로 관습을 변형시키는 원심력을 보여주기도 하는데 이러한 변이형은 게임이 가지는 소모의 미학과 신화적 상상력을 잘 표현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살펴 본 게임의 제의적 속성은 인간의 재생, 정화, 소통을 촉발하는 새로운 예술 장르로서의 함의를 가지고 있다. 우선 게임의 플레이어는 가상과 현실의 순환 속에서 근원적 시간을 경험한다. 플레이어는 캐릭터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상징적 죽음을 경험하고 새로운 자신을 발견하는 과정을 통해 생의 의미를 탐색한다. 또한 온라인 게임은 인간이 지니고 있는 공격 충동의 합법적 표현과 정화를 이끌어 낸다. 게임은 희생양으로서의 몬스터와 적대 진영의 존재를 통해 억압되어 있던 폭력성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해준다. 게임에서 개인들의 폭력성은 성스러운 것으로 승화되며 게임 세계의 역동성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유기적 관계의 형성과 소통을 촉발하는 것 역시 온라인 게임의 제의적 속성이 가지는 의의이다. 게임은 현실에서 분절, 축소되었던 인간들이 서로 관계를 맺고 소통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온라인 게임은 인간들이 연대를 맺고 공동의 열정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와 같은 논의는 온라인 게임을 제의 이론을 통해 고찰함으로써 온라인 게임이 가지는 사회문화적, 예술적 가치를 음미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온라인 게임에 참여하는 플레이어들이 공유하는 집단적 열정과 풍부한 서사는 공동체에 대한 향수와 살아있는 신화에 대한 근본적 욕망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사회가 가지고 있는 문제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며 그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었던 제의는 디지털 미디어 속에서 다시 생명력을 얻음으로써 현대인이 가지고 있는 욕망에 집단적 형태를 부여하고 있다.;The appearance of new media has influenced on the way of writing and reading narrative. Especially, the online game creates the hero myth which is performed by multiple game players and acquires ritual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ritual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game and explore its meaning with theory of narrative, game and rite. Primarily, the rite has been performed to solve the community’s problem and to build up the positive beliefs about the future. However, rapid change of modern society has disorganized ritual community and the rite’s worth has been degraded by rationalism. In the time of lost myth, online game promotes organization of electronic tribe and causes rebirth of the people who live in the mythical world through the network. The important factors of online game as ritual are subject, space and event. First of all, the subject play a game through the transition to character. The transition shows alternation of character’s virtual ego with player’s real ego and the player go through the emotional delight, ecstasy. The online game character shows off his or her sacredness with visual information and forms collective beliefs about rite’s effect and worth. The space gets sacred meaning from the myth which is rooted each space’s own special quality. It has different feature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accessibility. In the case of opened sacred space such as town, tasks of everyday life are performed as a general rule. On the other hand, closed sacred space offers trials and compensation based on battle. For arranging the events, online game player respects game world's convention. The convention of the game has centripetal force and it supports tribe’s productivity. Sometimes character transforms of convention and its centrifugal force express online game’s aesthetics of expenditure and revitalize mythical imagination. Based on the discussion mentioned above, ritual characteristics of online game has implication as new art for rebirth, purification and communication. First, game player experiences mythical time alternation of virtual being with real being. The player faces symbolic death while he or she transits to character and searches for meaning of life. Second, the online game encourages the expression of violence and purifies human being’s aggressive impulse. The existence of monsters and the enemy line cause people to express suppressed aggression with lawfulness. In the online game people’s aggression is sublimated into sacred power. Formation of organic relation and strengthening of communication are also important function which is induced by ritual characteristic in online game. A modern person, who is isolated in real world, can make a relationship with other and communicate with them. The online game supports player’s solidarity and players can feel common passion. Such discussion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about online game’s social and artistic worth. The payer’s common passion and abundant narratives are reflection of desire which seek for primitive community and myth. The ritual which has been solved the problem with collective participation, get its power again and respond to the need and desire of modern people in digital medi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