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4 Download: 0

대학생의 부모 애착,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 관계 모형의 남녀 비교

Title
대학생의 부모 애착,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 관계 모형의 남녀 비교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parental attachm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uthors
김경하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이 연구는 우리나라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존 연구들에 근거하여 부모애착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장벽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각 변인들의 수준과 그 관계에 있어 남녀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연구이다. 이 연구가 진행된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총 555명(여자: 304명, 남자: 251명)이었고, 부모애착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척도, 진로장벽 척도를 사용하였다. 둘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의 각 변인들을 남녀 집단 간 독립 t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에서는 남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모애착에서는 남녀 차이가 나타났는데, 모애착과 부애착 모두 남자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남녀 대학생의 모애착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부 애착은 진로장벽을 낮추는데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장벽을 낮추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의 구조적 관계에 남녀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동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 애착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경로에서 남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남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모애착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에는 남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진로장벽을 지각하는 수준에 있어서 성차 연구보다는 다른 변인들이 더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남녀 대학생 집단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어머니와의 애착이 중요하다는 기존의 이론을 다시 한 번 검증했고, 특히 남학생들이 어머니와의 애착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남녀 간 성차를 고려한 진로발달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This study focused on the career barrier model of Korean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examined the causal structural model that of career barrier to Korean college students, and the group differences in the each variable and the casual model by multi-group simultaneous analysis. The research model hypothesized that parental attachm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barrier to Korean college students. Also Multi-group simultaneous analysis was accomplished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of gender. This study included three questions to understand the career barrier model of Korean talented students. First, do the variables have group difference in gender? Second, how do parental attachm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the career barrier? Third, does this research model have group difference in gender? Participants were 555(female: 304, male: 251) college students in Seoul, analyzed for the research model. In order to examine the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correlation with variables, the statistical package SPSS/PC V.17 was used for analyzing that. In addition, AMOS V.7.0 was used for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and multi-group simultaneous analysis.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test among the variables shows that career barrier and maternal attachment have not group difference in gender. Second, this causal model showed the reasonable fitness in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aternal attachment affec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of college students and has only indirect effect on the career barrier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Paternal affect the career barriers of college students in direct paths. Third, the result of multi-group simultaneous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gender difference in the research model of career barrier. The Mal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has more affected by maternal attachment than female. This study has several implications. First, Korean college students experience career barriers irrespective of gender. That means, in contrast with the past,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s on the career barriers of college students. But it may be affected by the sample size, so the following research need to re-examined this result. Second, there is gender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model of career barrier of Korean college students on the maternal attachment affects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It may be because of the unique of Korea culture, powerful family relationship and influence. Thus, it is more helpful if career counselor and career educator intervene in a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nsidering their maternal attach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