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3 Download: 0

남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사회불안,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

Title
남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사회불안,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Social anxiety and Relational agg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현지은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남녀 중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와 경산시에 위치한 3개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중학생 총 547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PCS-YSR), 청소년용 사회불안 척도(SAS-A), 또래갈등 척도(PCS)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먼저 각 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평균차이 검증을 실시하였고, 다음으로 성별에 따라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 각 변인들이 관계적 공격성을 얼마나 설명하는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외현적 공격성을 통제한 후에도 각 변인들이 관계적 공격성을 설명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라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외현적 공격성에서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났다. 자세히 살펴보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여자 중학생이, 외현적 공격성의 경우 남자 중학생이 더욱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에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전체 집단에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공격성 유형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남자 중학생의 경우 부의 심리적 통제는 모의 심리적 통제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정적상관이, 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의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외현적 공격성과 관계적 공격성 간의 상관도 높게 나타났다. 여자 중학생의 경우 부의 심리적 통제는 모의 심리적 통제와 정적상관이, 외현적 공격성과 관계적 공격성 간의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관계적 공격성을 얼마나 설명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녀 집단 모두 부의 심리적 통제를 제외하고 관계적 공격성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적 공격성과 상관이 높게 나타났던 외현적 공격성을 통제한 후 각 변인들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남자 중학생의 경우, 모의 심리적 통제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관계적 공격성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었으나 여자 중학생의 경우에는 외현적 공격성을 통제한 후 어떠한 설명변인도 관계적 공격성을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 대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남자 중학생 집단에서만 부/모의 심리적 통제 각각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하여 유의미하게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부/모의 심리적 통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련성이 자녀의 성별, 부모의 성별과의 상호작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자 중학생 집단에서는 외현적 공격성의 영향력을 고려했을 때에도 여전히 모의 심리적 통제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관계적 공격성을 설명하고 있었다. 반면 여자 중학생 집단의 관계적 공격성은 외현적 공격성으로 가장 잘 설명되고 있었다. 매개 효과 검증에서는 남자 중학생 집단에서만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많이 경험할수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도 높게 경험하여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었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and to test the hypothesis which supports that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relational agg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547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ree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san. They completed Psychological Control Scale for Youth, Social Anxiety Scale for adolescent and Peer Conflic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by SPSS 1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vert agg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Gir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an boys. Boy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overt aggression than girl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t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o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relational aggression. 2. In boys' group,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was positively related to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aggression types.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were positively related to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n additio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overt aggress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relational aggression. In girls' group,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were positively related to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vert aggress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relational aggression. 3. The multiple regression 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est were attempt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s to the relational aggression. In boys' and girls' group, perceive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relational aggression. On the other hand, perceived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was not significant. In boys' group, perceive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relational aggression after controlling effect of overt aggression. In girls' group,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s were not significant anymore after controlling effect overt aggression. 4. With regard to mediating effects,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relational aggression in boys' group. This indirect path is mediated b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