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8 Download: 0

새터민 청소년의 음악교육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Title
새터민 청소년의 음악교육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Other Titles
An Investigation and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usic Education for Se-ter-min's youngsters
Authors
나현희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희선
Abstract
새터민의 규모는 1만 5천명으로 매년 그 수가 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남한에서 교육을 받아야할 새터민 청소년도 점점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대다수 새터민 청소년이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낮은 취학률과 높은 중도 탈락률 을 보인다. 새터민 청소년에게 효과적인 음악교육을 실시한다면 정서를 안정시키고 타문화의 이해도를 높여 학교 및 사회적응에 도움이 될 것이다. 기존의 남북 음악교육에 대한 연구가 문헌 연구로 한정되어 실제 남한에서 음악교육을 받는 새터민 청소년에게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한에서 음악교육을 받은 새터민 청소년 71명(일반학교 재학생 27명, 대안학교재학생 21명, 대학생 23명)을 대상으로 음악교육에 대한 실태와 요구를 조사하였다. 새터민 청소년이 경험한 음악교육을 수업 참여, 수업 외 음악활동, 문화적응과 음악교육으로 나누어 남북 음악교육의 차이와 학교 적응을 위한 새터민 청소년의 음악교육에 대한 요구사항을 알아보았다. 대부분의 새터민 청소년은 음악을 좋아하고 흥미를 갖고 있었으나 남한에서 받은 음악 수업의 만족도가 낮았다. 그 이유는 새터민 청소년에게 음악 수업 내용의 생소함과 교사 언어 이해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교사는 적절한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들어났다. 이런 결과를 통해 음악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해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남북 음악교육의 차이로 남한에서 음악수업을 받는 새터민 청소년이 생소함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므로 교사는 학생들의 상태를 파악하고 상담하는 등 관심을 가져야 한다. 둘째, 새터민 청소년들이 교사가 사용하는 언어와 용어를 이해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므로 교사는 새터민 청소년이 이해하기 쉬운 용어와 배경지식을 설명할 수 있어야한다. 이를 위해 교사의 연수를 시행하고 교육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북한에서의 음악 교육을 기초로 발전된 형식의 새터민 청소년을 위한 보완된 교재가 편찬되어야 한다. 따라서 국가차원의 교재 예산 확보와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교재 개발이 조속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새터민 청소년에게 음악을 경험할 수 있는 문화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새터민 청소년 대부분이 음악 활동을 희망하고 있었으며 합주나 합창 수업은 협동심과 사회성을 기를 수 있어 학교 적응과 문화적응에 효과적인 수업이다. 또 새터민 청소년들은 음악회를 경험하기를 원하지만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어 경험하지 못하므로 음악 감상을 위한 적절한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끝으로 새터민 청소년의 음악교육의 환경이 일반학교보다 열악한 대안학교에 음악 수업을 안정화할 수 있는 제도적, 경제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새터민 청소년들에게 원활한 음악 수업과 방과 후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음악 교사를 배치하고 음악교육을 활성화해야한다. 이상과 같이 새터민 청소년 음악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음악 교사의 개인적인 노력과 국가 차원의 제도적, 경제적인 지원이 어울러져야 한다. 새터민 청소년의 음악교과에 대한 교육적 요구를 나타내는 본 연구의 결과가 새터민 학생들을 더 깊이 이해하고 음악교육 발전에 보탬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South Korea has an estimated total population of 15,000 North Korean defectors (called as se-ter-min). As a result, North Korean child defectors have been on the rise, but they have found it difficult to adapt schools in the form of lower school attendance rates and higher school drop-out rates. Generally, music helps stabilize sentiment and understands other cultures, so providing effective music education for them could give a chance to adapt their schools and society. The existing studies of Inter-Korean music education have been limited as documents, so North Korean child defectors who are getting a music education have trouble in being applied the established studies to them.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requirement for 71 students who experienced their music education in South Korea. This type of education is divided into 4 sectors participation in the general music class, extra-musical activity, cultural adaptation and music education. The purpose of these divisions targets for the differences between Inter-Korean music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their music education in order to adjust to new schools. Most of them like music and are interested in it, therefore music might be relevant to understand the culture. These juveniles know that music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relaxation, emotional adaptation and sentimental balance, helping understand the culture and society. Based on these results, music education will guide these youngsters into adapting new schools. Thes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ed in this study. First, the majority of these students feel unfamiliar and difficult in getting a music education due to the differences of music education between two Koreas. Second, these students have a hard time in understanding teacher's language and vocabulary, so teachers must explain appropriate musical vocabulary and background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the teacher's training and re-education. Third, based on music education that have shaped in North Korea, the comprehensive materials and books for North Korean child defectors should be published. Hence, national-level budgets for these educatioal meterials must be guaranteed and experts on these areas ought to make an effort to develop them. Fourth, a diverse form of cultural assistance should be provided for these juveniles in order to experience music. They want to play musical activity. The teaching of ensemble or chorus could encourage their partnership and sociality, giving better adaptation to their new schools and culture. Moreover, the adolescents have hoped to experience a concert but economic difficulties have been an obstacle, so it is time to give them an opportunity for musical appreciation. Finally, alternative schools for them, where lack the appropriate musical environment, require institutional and economic support for them to effectively stabilize musical teaching. Both general schools and alternative schools should allow these students to participate in active musical teaching and extra school activity through the help of music teachers and engaged music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an effective outcome for them, not only the teacher's effort individually but also the government support institutionally and economically should be ensured. This study represents the student's educational need for a music curriculum and the results are expected to lay a foundation for the deeper understanding of these students from the North and the greater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