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9 Download: 0

고등학생의 영어어휘 발음학습 분석

Title
고등학생의 영어어휘 발음학습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Negligence of Pronunciation i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Vocabulary Reception and Pronunciation Performance
Authors
신희경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은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휘 발음학습의 중요성에 대한 의식을 높이고, 학습자 스스로의 능동적인 어휘 발음학습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영어 어휘학습에서 어휘의 의미와 어휘 발음에 관한 학습이 균형을 이루어 학습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어휘학습전략사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국 고등학교 영어학습자 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어휘는 어휘강세발음에 대한 학습을 살펴보기 위해, 어휘강세에 변화를 주는 제 1유형 접미사를 포함하는 어휘와 해당어휘의 기본형 어휘를 포함하였다. 연구절차는 문자형식 어휘이해 평가가 이루어진 뒤, 동일한 어휘를 제시하여 각 학습자별로 어휘를 발음하도록 하여 녹음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녹음된 발음자료는 원어민과 비원어민화자를 포함한 평가자 4인에 의해 강세정확도 측면과 어휘 발음 명료도 측면에서 평가하여 각 문항별로 점수화하였다. 문자형식 어휘이해 평가와 발음 평가에서 제시한 어휘의 노출이 구술형식 어휘이해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술형식 어휘이해 평가는 10일후 실시하였다. 영어학습자들의 어휘학습전략사용과 발음에 관한 의식을 알아보기 위해 30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어휘학습전략 설문을 실시하였고, 일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결과 영어 학습자들의 문자형식 어휘이해와 구술형식 어휘이해 점수 평균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t = 4.67, p = .00)가 있었다. 그리고 문자형식 어휘이해와 발음수행 간에는 전반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흥미로운 점은 상반 학습자의 경우 정확도와 명료도 측면에서의 발음수행 모두 문자형식 어휘이해와 상관관계(r = .063, p = .732; r = .068, p = .710)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문자로 제시된 어휘의 의미는 잘 익히고 있지만, 어휘 발음은 정확하게 또는 명료하게 표현하지 못함을 말한다. 또한, 상반 학습자의 경우 강세지식과 강세수행 간에도 상관관계(r = .058, p = .752)를 보인다고 말할 수 없었다. 어휘학습 전략사용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어휘 강세발음의 중요성에 대해 잘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어휘학습에서는 어휘 발음과 강세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어휘발음을 학습하는 학습자는 전체의 27.5%에 불과하며, 어휘발음을 학습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학습자의 41.4%는 ‘귀찮아서’, 27.6%는 ‘시험에 출제되지 않아서‘라고 답하였다. 어휘학습 전략사용과 어휘 발음수행의 관계를 비교하기 위해, 어휘학습 전략사용을 많이 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의 발음수행 점수 평균을 비교하였다. 어휘학습 전략사용정도에 따른 집단 간 어휘 강세정확도에는 유의미한 차이(t = 2.22, t = .03)를 보였다. 어휘학습 전략사용정도에 따른 집단 간 어휘 발음명료도 또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t = 2.55, p = .01)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영어교수에서 어휘 학습이 실제 의사소통능력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발음관련 어휘학습전략 사용과 발음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발음 명료도 증진을 위해 정확한 강세수행이 선행해야 함을 강조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aise the awareness of the phonology and put emphasis on pronunciation in active vocabulary leaning behaviors. This paper investigated Korean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and vocabulary pronunciation by conducting 64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bout half vocabularie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derivative words and the rest of them, the base forms of them. The use of these words was to examine students on practicing the pronunciation of words in their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wo sets of vocabulary reception tests were applied, which were designed to measure subjects' ability of the vocabulary knowledge: written form and spoken form vocabulary reception tests. Then,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ad aloud the given vocabularies individually and their voices were recorded. The assessment of pronunciation performance was done by 4 raters, English native and nonnative speakers. The tests were followed by vocabulary strategies survey in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nunciation performance of vocabularies and the us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s for the us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the awareness of phonology,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 = 4.67, p = .00) between written form vocabulary reception and spoken form vocabulary reception. 2) Overall written form vocabulary reception correlated with vocabulary pronunciation performance. What was interesting, however, was no correlation existed between them in the academic group of high-level subjects; no correlation between vocabulary reception and lexical stress accuracy (r = .063, p = .732) and between vocabulary reception and pronunciation intelligibility (r = .068, p = .710). 3) It also showed asymmetry between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lexical-stress in each group (r = .058, p = .752, r = .343, p = .055). 4) The analysis of a questionnaire showed that subjects we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lexical stress in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subjects neglect mastering the placement of word-stress and the pronunciation of the word in their vocabulary learning. Only 28 percent of all the participants try to grasp the pronunciation of words in their vocabulary learning; 30 percent ignore the pronunciations of the words to be learned, considering it a nuisance; 20 percent disregard them because exams in school did not test the pronunciation performance. 5) 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ce ((t = 2.55, p = .01) between those who employ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frequently and those who use less. It reveals that the mor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of pronunciation the subjects use, the better pronunciation performance they put in. To conclude, the paper figured out Korean high school students' deficiency in learning words pronunciation on the course of vocabulary acquisition. It also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for EFL learners and teachers toward pursuing more effective L2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greater awareness of vocabulary pronunciation in an effort to enhance communication in Englis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