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혜자-
dc.contributor.author박희영-
dc.creator박희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2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1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2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113-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자신의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을 물으면 대부분 행복한 삶이라는 대답을 한다. 즉 19세기를 전후로 한 산업시대에서는 부의 축적과 물질적 풍요가 삶의 기본적 목표를 좌우했던 반면, 최근의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화두는 바로 행복인 것이다. 이는 “잘 산다”라는 표현의 기본 개념에 근본적인 변화가 있음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인생의 지향점에 커다란 차이가 발생했음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즉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서 자신과 주위 환경의 양(良)적인 측면이 아닌 질(質)적인 측면에 더욱 더 큰 관심을 쏟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질적인 측면의 핵심에는 무엇이 있을까? 물론 다양한 요소가 논의될 수 있지만 분명한 점은 바로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과 교감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강한 욕구를 들 수 있다. 산업화를 거듭하면서 개발화가 이루어진 거의 모든 나라의 국민들은 자연과 상당히 괴리된 환경, 즉 도시생활을 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필연적으로 극도의 인공물 위주의 경험과 생활에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식물을 제한된 공간에 구현하는 분재(盆栽)는 다양한 계층으로부터 사랑받아 왔으며 현재에는 그 기능적 목적과 함께 예술적 차원의 의미가 더해지면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분재를 구성하고 있는 식물 못지않게 공간을 제공하는 화분에 있어서도 심미적 관점이 부각되면서 독립된 예술작품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화분에 자연을 이루고 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자원 즉 바다와 물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본 연구는 진행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패류(貝類)의 이미지와 감각을 화분에 구현하여 보다 광범위한 화분의 형태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작품의 조형 과정에서는 패류가 가지는 다양하고 독특한 형태의 아름다움과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나선의 운동감, 면의 분할, 구조에서 보여지는 각구 등 형태적 특성의 조형적 요소를 가지고 재구성하여 조형화 하였다. 작품 제작 시 패각의 이 같은 특징을 살려 차분하고 섬세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조금씩 다른 성형 기법을 사용하였다. 성형방법에 있어서 실패의 확률이 적고 조형성 있는 큰 기물 제작에도 용이한 석고틀을 이용한 가압 성형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정교한 표면처리를 할 수 있어 패류의 율동적인 선과 표면 질감을 섬세하게 나타낼 수 있는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 주입성형 방법을 이용했다. 태토로는 주입성형 기법에는 발색도가 높아 발색에 효과적인 자기질 점토를 가압 성형 방법에는 점력이 좋고 수축률이 적어 성형에 용이한 석기질 점토를 주로 사용하였다. 유약은 백매트, 흑유, 동유, 철유를 기본으로 하였고, 시유방법으로는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물 내면에 흑유로 붓칠 시유를 하였다. 색감의 변화를 주기위하여 유약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거나 두껍게 조절하여 시유하고 입자를 굵게 나타내기 위해 전체적으로 분무 시유를 하였다. 또한, 볼륨감을 주기 위해 1차 시유를 한 후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2차 이중 시유를 하였다. 일부 작업은 담금시유를 하였다. 모든 작품은 전기 가마에서 최고 온도 850℃로 8시간동안 1차소성 하였고 2차 소성은 1250℃를 최고 온도로 12시간동안 산화 소성 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노력을 통해 본 연구는 매우 획일화된 형태의 제작만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의 분재 화분에 있어서 기존의 도자 연구에서 다양하게 시도되었던 패류 이미지를 접목시켜 화분에 대한 전문인 및 일반 대중의 조망을 넓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조형적 화분 형태의 접목과 구현이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그에 따른 다양한 결과물들이 축적된다면 향후 매우 주목할 만한 가시적 분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When 21st century's men are asked of the most important thing of their lives, most of them answer that it is to live happy. While accumulation of wealth and richness of materials were considered as basic goals of life during industrial ages around 19th century, recently happiness become the most important topic for the modern men, which means that not only there has been fundamental change in the basic concept of expression "well being" but also have occurred big difference in the goals of life. That is, they are more interested in the perspective of quality, not of quantity, of their surroundings and lives. Then, what does lie in the core of perspective of quality? Of course, there will lots of arguments about diversified elements but obviously one of them can be pointed out as strong desire of interaction and intercommunication between the human and the nature. The most people of the countries, where development has been made by the repeated industrialization, have to made a living in an environment alienated from the nature, that is, urban environment which allows only limited to experiences and lives within the extreme artificial objects. In this context, a dwarfed tree, which materializes plants in an limited space, has been loved by the different classes of people and now, with addition of artistic sense to it's functional purpose, interests are getting increased. In addition, recently not only the plants, of which dwarfed trees are composed, the flowerpots also have strong trends to be considered as independent art works focusing on their aesthetic aspects and accordingly various attempts are made in that aspects. This research was proceeded by applying concept of one other important resource, which the nature is composed of, sea and water. More specifically, in this research I attempted to make wider range of flowerpot forms materializing images and feelings of seashell into it. In the molding process, it is used reconstructing formative elements of seashell's characteristic features such as unique diversified forms of beauty, repeatedly appearing spiral line's dynamic feeling, splitting surface, structural mouth aperture, etc. And also I used several differentiated moulding methods to express specifically these kinds of features of sheashells. In molding method, pressure molding method, using gypsum mold which gives less failure possibility and facilitates bigger molding with easy and slip casting method using gypsum mold which allows elaborated surface treatment to express dynamic lines and sensibility of the surface of seashells. As body clay, china clay, which is very effective in color development, is used for the pressure molding method and for the slip casting method, stoneware clay is used, which is easy for forming due to it's good viscosity and less shrinkage. For glaze, basically are used White Mat, black glaze, tung oil, iron glaze and for glazing method, brush painting with black glaze to inside of pot was used to increase completion degree of the works. And also to give color variation, it was adjusted thickness of glazes and to express coarse of the particles, was applied glaze spraying all over the works. And also, to give voluminous, applied double glaze on the edge of the pot after 1st glazing was completed and for some works used submerged glazing. All the pots were made as bisque firing of 8 hours with maximum 850℃ in the electric furnace and oxidized firing of 12 hours with maximum 1250℃. Through this kind of effort, this research was to try widen perspectives of the experts and general public on the flowerpots, which have been made only by uniformed productions, by grafting images of shellfish, which has been attempted in the existing pottery research. If this kind of grafting and materialization of flower pot molding are continuously attempted and those results are accumulated, it can be considered as a visibly noticeable field in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2. 생활 원예와 화분의 역할 = 4 2.1. 원예에 대한 연구 = 4 2.1.1 생활 원예에 대한 고찰 = 4 2.1.2. 분재의 정의와 예술성 = 6 2.2. 화분의 역사와 특징 = 9 2.2.1 화분의 어원과 역사 = 9 2.2.2. 화분의 종류와 특징 = 12 2.2.4 화분과 수형의 선택 = 16 3. 패류의 조형적 연구 = 19 3.1. 패류의 생태학적 특성 = 19 3.2. 패류의 종류와 형태 = 21 4. 패류를 표현한 작품의 사례 연구 = 27 5. 작품 제작 및 해석 = 36 5.1. 조형 과정 = 36 5.2. 작품제작 과정 = 50 5.3. 작품 해석 = 55 6. 결론 = 75 참고문헌 = 77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167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패류의 이미지를 응용한 화분 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flower pot-making using seashell image-
dc.creator.othernamePark, Hee young-
dc.format.pagexi,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