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7 Download: 0

꽃의 생명력을 주제로 한 도자조형 연구

Title
꽃의 생명력을 주제로 한 도자조형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Flowers as a Subject of Formative Expression in Ceramic Art
Authors
박지영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혜자
Abstract
The nature provides us with life and comfort. Thus human beings feel spiritual comfort and consolation and replenish their own vitalities in the nature. Being impressed and affected by the infinite change and combination of nature, human beings has seen the nature as a target for observation and expression. Among the natural creatures, a flower is an organism that is slightly changing in a daily life, can be shaped in various manners according to the feeling of person who expresses it. As the life and beauty of flower give vitality and pleasure to the moderners. it is selected as the theme of this study. A flower is modest but beautiful, small but brilliant, artificial but harmonized with other elements of nature, and confidential but betrays its beauty to put forth its blossom. Such mysterious beauties are the main reason why it was selected as the theme of this work. Human beings are being provided with warmth and relaxed stability by the nature. Through combining the vividness, lyricism but dynamics, and strength that the flower has, this study purports to express new aesthete while satisfy the aesthetic needs in abstract and various creative expressions by observing and researching its formative image and shapes. As for the theoretical base to perform the study, various literatures and materials regarding cases of works that applied Nature and Plastic arts, Study on the flower (Image shaping of flower and its structure and type) and the types of lower were studied to observe the various expressions and its formative nature.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e structures and shapes of the selected flowers, Rose, Morning glory, Hibiscus, Celosia. Shafran, Tulip. Camelias. Poinsettia, Lily and Lotus were selected , were observed and re-interpreted to mold them. To present a variety of images, rhythmical sense and organic curve that the flower inherently possesses, various molding techniques such as Wheel throwing, Slap building, Coil-Ring, and Hollowing were applied with partial engraving in relief and depressed manner. As for the unglazed clay, the stone-quality clay with excellent intensity and viscosity was used and the solidification pigment mixed with decoration clay and CMC solution were applied to all the works over two times before 1st burning to express three-dimensional effect and various colors. To obtain the illusion of depth after 1st burning, black glaze, Back mat Glaze and Ash glaze were sprayed and then partially flicked and cleaned. The 1st burning was performed in 1.0m3 Gas Kilin at 8000C for 8 hours, the second was performed with neutral salt in same Kilin at 1,2450C for 18 hours (work 4, 5, 6 and 9) and the 3rd burning was with oxidate in the same Kiln at 1,2400C for 12 hours (work 1, 2, 3, 7, 8 and 10). From this study, it is observed that a flower contains unlimited possibility of expression that it is modest but beautiful, small but brilliant, artificial but harmonized with other elements of nature and confidential but betrays its beauty to put forth its blossom. With the physical nature of clay, various images such as Petal, Single side of flower, Stigma, Stamen, Bud, Stem and Seed were molded by the researcher's mental image. Based on this study, the Plastic Art would be further developed to be creative and innovative.;자연은 인간에게 생명과 안식을 준다, 인간은 자연 속에서 정신적인 평온과 위안을 느끼며, 인간 자신의 생명력을 충전시키기도 한다. 인간은 자연에 의해 끊임없는 감동을 받고 자연의 무한한 변화와 조화 속에서 영향을 받으며 인간의 존재와 생명을 확인하기도 하면서 자연을 계속적인 관찰과 표현의 대상으로 삼아왔다. 많은 자연물에서도 꽃은 일상생활 속에서 조금씩 변해가는 유기체로서, 표현하는 사람의 느낌에 따라 다양하게 형상화 될 수 있다. 꽃의 다양한 형태와 색의 아름다움과 생명력은 현대인들에게 활력과 즐거움을 주기에 본 연구의 주제가 되었다. 본 연구자의 주제인 꽃은 수수하면서도 아름답고, 작고 아담하면서도 화려하고, 인위적이면서 자연의 다른 요소와 조화를 이루고, 은밀하면서도 드러내 놓고 아름다움을 꽃피우곤 한다. 이런 다양한 신비스러움이 있기에 이번 작품의 주제로 삼았다.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따뜻함, 여유로운 안정감의 느낌을 받는다. 또한 꽃에서 보여 지는 생동감, 서정성 반면의 역동성, 강임함의 이미지를 결합하여 그들이 갖는 조형적 이미지와 형태를 연구하고 관찰하여 추상적이고 독창적인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심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새로운 미(美)를 표현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한 이론적 기반으로 자연과 조형예술, 꽃의 대한 고찰(꽃의 이미지 형상화, 꽃의 구조 및 형태), 꽃의 형태를 응용한 작품사례에 대해 여러 문헌과 자료를 통해 다양한 표현방법과 조형성을 고찰해보고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선택한 장미꽃, 나팔꽃, 히비스커스꽃, 맨드라미꽃, 샤프란꽃, 튤립꽃, 동백꽃, 포인세티아꽃, 백합꽃, 연꽃에 대해 구조와 형태를 파악한 후 연구자의 재해석을 통해 조형화하였다. 작품 제작과 성형방법은 꽃의 본래 지니고 있는 유기적인 곡선과 율동감, 다양한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물레 성형, 판 성형, 코일링 성형, 속파기 성형기법에 양감, 음각으로 부분적으로 조각하였다. 태토는 강도와 점력이 우수한 석기질 점토를 사용하였고, 다양한 색과 입체감을 표현하기위해 모든 작품에 1차 소성 전에 고화도 안료에 화장토와 CMC용액을 섞어 2번이상 발라주었다. 1차 소성 후에 작품에 깊이 감을 위해 흑유와 백매트유, 투명유, 재유를 이용해 분무시유하고, 부분에 따라서 털어내거나 닦아내었다. 1차 소성은 1.0㎥의 가스가마로 최고온도 800℃에서 8시간, 2차 소성은 1.0㎥의 가스가마로 최고온도 1245℃에서 18시간 중성염 소성(작품4,5,6,9), 3차 소성은 1.0㎥의 가스가마로 최고온도1240℃에서 12시간 산화염 소성(작품1,2,3,7,8,10)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꽃이 수수하면서도 아름답고, 작고 아담하면서도 화려하고, 인위적이면서 자연의 다른 요소와 조화를 이루고, 은밀하면서도 드러내 놓고 아름다움을 꽃피우는 무한한 표현의 가능성을 담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흙의 물성을 통해 꽃잎, 꽃의 단면, 암술, 수술, 꽃봉우리 ,줄기, 씨앗등의 다양한 이미지를 연구자의 심상을 통해 조형화되어 짐을 보여줬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더욱 창조적이고 독창적인 조형예술로 발전시켜 나아가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