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02 Download: 0

윌슨(J. Wilson)의 통합적 도덕성에 근거한 도덕교육 방법 연구

Title
윌슨(J. Wilson)의 통합적 도덕성에 근거한 도덕교육 방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ethod of Moral Education based on Wilson's Integrated Morality
Authors
김경미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현식
Abstract
This Thesis explores a moral education methodology to help a students make decision rational thinking. To achieve this, noticed that Wilson's Moral Education theory suggested Concept of Morality and Integrated Morality contain cognitive , emotional, and behavioral domain. Morality defined by Wilson can be classified into two kind. the first one refers to moral education of 'a foam of morality' that means method and procedures that resolve moral problems rationally and autonomously in moral situations. And the other one 'a content of morality' that means teaching by rote. Wilson's moral education theory contain two kind of morality. so, this researcher evaluate his theory is integrated. Modern society getting increasingly complicated and diversified. so, individual member of the community facing variety problem situations. Wilson's moral education based on integrated morality focused on developing student's capabilities to confront moral problems and cope with them reasonably for themselves.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meaning of moral education through the theory of Wilson's moral education. Then it investigated the concept of rational and the purpose of integrated moral education,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morality and the role of rational thinking. Moral education of 'a foam of morality' is logically and conceptually suggested in 'Moral Elements' that comprises 4 categories and 16 elements. Those who are well equipped with moral elements are regarded as morally educated persons and Wilson's moral education aims for morally educated persons. His method of moral education or evaluation theory develops based on the moral elements. As to Wilson, the moral-oriented thought was a process to consider other's benefits. he regarded 'the consideration of others' a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of moral. he emphasized the rationality in the moral thought of valuing others' benefits. for him, rationality meant the correct thinking. If we do not know why the reason is right in the moral context, and if we cannot have confidence that the reason is right, a moral act is impossible to be done. As to him, the moral education was considered as a process of educating students in the elements of morality which he suggested. The approached methods he suggested as a way for developing these elements were moral thinking, discussing, observing rules, connecting school with community. And this study apply JigsawⅡ to practical method of Moral education. He also divided the elements of morality into PHIL, EMP, GIG, and KRAT, with 16 subcategories in each category. so, this researcher thought Wilson's theory of moral education is very reasonable and coherent. This researcher also thought that, as his theory was approached in an objective and reasonable way, it would be greatly helpful to find out the mutual relationship with our moral education, and furthermore, to research for desirable moral education for young students. In this way, the direction in which our moral education should be advanced was attempted to be found out through Wilson's moral education. firstly, it was proved that it was necessary to change the intellectual tendency about our moral education. then, it also seemed necessary that a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moral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materials for mor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 comprehensive study for moral education should be progressed and the adequate evaluation method should be searched for. This researcher sure that Wilson's improvement of moral education elements will help students think rationally and develop moral judgement.;본 논문은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덕교육방법론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윌슨(J. Wilson)의 도덕성이론을 중심으로 그의 도덕성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도덕성개념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그의 이론이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통합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또한 도덕교육의 방법론에 있어서 윌슨의 이론은 형식의 도덕교육과 내용의 도덕교육을 모두 아우르는 방향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 또한 윌슨의 이론이 통합적인 도덕교육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현대사회는 나날이 복잡화되고 다원화 되어가고 있다. 이에 따른 다양한 문제 상황에 마주치게 될 수밖에 없는 사회구성원들에게 지혜롭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은 어느 때보다 중요한 능력으로 요청된다. 사회가 빠르게 변화할수록, 날로 심화되어가고 있는 도덕적 위기 앞에서 도덕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그 어느 시기보다 절실히 강조되어야 하는 이 시대에 윌슨의 도덕교육방법은 학생들 스스로가 도덕적 문제에 직면하여 그것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사회화를 목적으로 공통적으로 합의된 규율과 규범을 가르치는 전통적인 방식의 도덕교육방법은 더 이상 의미가 없게 되었다. 윌슨은 하나의 삶의 형식으로서 도덕적 사고의 형식에서 출발하는 도덕적 사고의 절차와 방법을 가르치는 합리적인 도덕교육을 주장하고 있다. 윌슨의 합리적인 도덕교육방법론은 특정한 도덕적 규범들이나 윤리사상 그 자체를 가르치는 것을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주입식이나 권위주의에 의지하는 도덕교육에 대해 회의적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따라서 윌슨은 덕목이나 가치와 같은 ‘도덕성의 내용’이 아니라 ‘도덕성의 형식’에 초점을 맞춘 도덕교육방법론을 제시하고 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윌슨이 제시한 4범주 16가지 도덕성 구성요소들은 학생들 스스로 사고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형식의 도덕교육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이는 도덕성에 대한 그의 관점이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점을 보여준다. 윌슨이 제시하는 합리적인 도덕교육의 방법론의 핵심은 4범주 16가지의 도덕성 구성요소들을 학습자가 잘 이해하고, 습득하여 합리적인 판단능력과 수행능력을 갖추게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윌슨의 도덕교육 방법론은 개인의 메타인지 차원의 사고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을 모두 도덕적으로 올바르게 통괄하도록 하는 합리적인 도덕교육이라고 정의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윌슨의 도덕성이론에서 제시하는 4범주 16가지의 도덕성요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윌슨의 4가지 범주에 해당하는 PHIL, EMP, GIG, KRAT의 도덕성요소들의 개념과 그 의미에 대해 논의하고, 이 4범주 16가지의 도덕성 요소들이 절차적 단계를 이루며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거치는 사고의 과정임을 확인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도덕교육방법의 원리와 관련하여 통합적 사고, 민주적 의사소통, 규칙의 습관화, 가정모형의 적용의 4가지 접근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실제로 교육현실에 적용하는 방법으로서 지그소우Ⅱ의 방법을 기초로 한 대안적 수업모형을 구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윌슨의 도덕성 이론이 도덕교육에 있어서 학생들의 합리적이고 자율적으로 도덕적 판단능력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밝히며, 현대 도덕교육에 있어서 의미 있는 긍정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역설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