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7 Download: 0

<리얼버라이어티쇼>의 현실성 구축기제

Title
<리얼버라이어티쇼>의 현실성 구축기제
Other Titles
's mechanism of reality: Intertextuality and the audience's feeling of realism
Authors
옥민혜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동숙
Abstract
90년대 중·후반부터 국내에서 불기 시작한 TV 리얼리티의 바람은 예능/오락 프로그램의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되었다. 초기 유입단계에서부터 줄곧 교양 프로그램에서 활용되어 온 리얼리티 형식이 점차 재미와 웃음을 전달하기 위한 기제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이제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예능/오락 프로그램들 대부분이 리얼리티를 접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연구자는 리얼 버라이어티 쇼를 둘러싼 각종 이슈들 가운데 특히 해당 프로그램의 ‘리얼리티’에 대해 시청자들이 갖고 있는 신뢰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주목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리얼 버라이어티 쇼가 표방하는 현실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그것을 소비하는 수용자들이 대상으로부터 경험하는 현실감이 어떻게 구성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텍스트가 구축한 구체적인 기제들에 앞 서 해당 장르에 대한 수용자들의 경험을 이해하는 데에는 수용자들이 리얼 버라이어티 쇼를 어떠한 장르로 받아들이고 있는지, 그리고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트레이드오프' 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대전제가 되었다. 텍스트가 구축한 현실성 기제들이 수용의 차원에서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크게 ‘텍스트 내적 요소’와 ‘상호텍스트적 요소’로 나누어 보았다. 이것은 현장 연구 과정에서 리얼 버라이어티 쇼를 이해하는 데 있어 특히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이 중요한 개념이라는 것을 발견하였기 때문이다. 하나의 리얼 버라이어티 쇼를 수용하는 것은 그것을 둘러싼 여러 가지 종류의 텍스트들 간의 끊임없는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것은 리얼 버라이어티 쇼라는 장르 자체의 경계가 모호하고 불분명하기 때문이며, 또한 이를 둘러싼 방송 환경과 함께 텍스트의 수용 방식이 변화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현실성 구축 기제로서, 먼저 ‘텍스트 내적 요소’에 있어서는 캐릭터, 장르 기대에 따른 현실감 효과, 제작주체의 노출, 자막의 활용, 열린 서사구조, 소재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캐릭터는 특히 리얼 버라이어티에 대한 선호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이것이 궁극적으로 현실감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캐릭터 구축 과정에서 개연성이 필요하며, 그 구축 과정이 현실적으로 보여지는 것이 중요하였다. 또한 수용자들은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이 솔직하게 감정 표현을 할 때 그 과정에서 일종의 ‘정서적 리얼리즘’을 통해 감정적으로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고, 이것이 곧 현실감에 기여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수용자들은 직접적인 수용에 앞 서 이 프로그램이 현실성을 표방하고 있다는 점에서 무언가 분명한 현실을 보여줄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것이 설정하고 있는 공식적인 ‘판’은 가상이라 할지라도 그 이외의 구체적인 상황과, 무엇보다 캐릭터 사이에서 발생하는 감정만큼은 현실일 수도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는데, 즉 ‘판’의 ‘가상’과 ‘감정’의 ‘진실’ 사이에서 발생하는 긴장감이 텍스트에 대한 몰입을 유도하고 있었다. 한편 리얼 버라이어티 쇼는 제작진을 등장시켜 모든 상황을 출연자와 제작진이 그 자리에서 함께, 즉흥적으로 만들어 나간다는 느낌을 주고, 그 과정을 시청자가 지켜보도록 하여 제작에 간접적으로나마 개입할 여지를 줌으로써 현실감을 구성하고 있었다. 또한 수용자들은 텍스트 내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제작진의 존재에 대해 무엇보다 ‘친밀감’을 느끼면서 제작 주체에 대한 감정의 거리를 좁혀 나가고 있었으며, 이것이 텍스트에 대한 현실감을 증폭시키는 또 하나의 기제로 작동하고 있었다. 그 동안 각종 예능/오락 프로그램에서 재미 요소로 활용되어 왔던 ‘자막’은 리얼 버라이어티 쇼에서 ‘소통’과 ‘대화’의 창구로 활용되고 있었다. 이는 제작진이 공개적으로 자신의 주관적 의견을 피력하고, 시청자와 대화하는 도구로 여겨지고 있었으며, 뿐만 아니라 시청자의 의견을 대변하는 역할까지 하고 있었다. 결국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수용자들은 자막을 통해 오히려 텍스트와 소통하게 되었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스스로가 프로그램 수용의 과정에 더욱 적극적으로 개입하게 되었다고 여김으로써 현실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다음 기제는 ‘열린 서사구조’다. 리얼 버라이어티 쇼는 미리부터 치밀하게 계획된 후 짜여진 순서와 룰에 따라 진행되는 방식이 아니라, 그때그때 출연자들의 선택과 행동에 따라 즉흥적으로 다음 상황을 만들어 나가도록 하는 형식을 띔으로써 무엇보다 ‘예측할 수 없는’ 재미를 선사하고 있었다. 시청자들은 반복적인 시청을 통한 그들의 선험적 기대에 맞게 재현된 텍스트를 수동적으로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대한 기대와 상식이 깨어짐으로서 텍스트에 대해 수용자 스스로 능동적이며 다의적인 해석과 관여를 함으로써 현실감을 경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텍스트 내적 요소에서 살펴본 마지막 기제는 ‘소재’의 활용 방식이다. 어디에서도 쉽게 접하지 못한 연예인들의 사생활을 둘러싼 각종 루머들이 리얼 버라이어티 쇼에서는 이야기 전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다루어질 수 있으며, 이 속에서 시청자들은 마치 현실에서 친구들과 나누는 이야기와 같은 사실적인 대화 방식을 통해 현실감을 경험한다. 또한 리얼 버라이어티 쇼는 시청자들이 익숙하게 여기는 소재와 장소를 텍스트 내부로 유입시켜 활용한다. 따라서 수용자들은 리얼 버라이어티 쇼를 통해 자신이 속한 실제 세계와 텍스트에서 제시되는 세계가 경험적으로 동일하다고 여기는 ‘경험적 리얼리즘’을 경험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상호텍스트적 요소’는 특별히 ‘캐릭터’에 대한 분석으로 설명되었다. 즉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캐릭터는 하나의 텍스트를 넘어 수용자가 접하는 다른 여러 형태의 텍스트 속에서도 동일한 패턴을 보여야 하며, 동시에 캐릭터는 다른 텍스트의 영향을 받아 그 안에서도 조금씩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현실감을 완성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현실성과 수용자들이 경험하는 현실감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텍스트 내적’ 요소와 ‘상호텍스트적’ 요소는 그러나 동등한 위치에 있거나 수용의 과정에 동등한 영향을 미치는 개념의 것이 아니다. ‘텍스트 내적’인 요소로 분리한 기제들이라 하더라도 ‘리얼 버라이어티 쇼’에서의 그것은 자체로 현실성을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이 텍스트가 갖는 독특한 특성, 즉 ‘상호텍스트성’의 영향을 받게 될 때 궁극적으로 현실감에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즉, ‘리얼 버라이어티 쇼’에서의 현실성은 이 혼합장르가 갖고 있는 ‘상호텍스트성’이라는 특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상호텍스트성’은 텍스트 내적 요소들을 둘러싸 그 모든 기제들에 두루 영향을 끼치면서 그 둘 간의 결합을 통해 수용자들의 현실감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The popularity of realistic fashion of TV program in the mid-1990s opened new horizon of the entertainment programs in Korea. It was used to be utilized for Documentary programs, but most popular entertainment programs start to adopt the fashion just for fun in these days. In this background, I paid attention to what are the nature of the confidence about reality of those programs, so I decided to figure out how the realism that the audience experience through 'the real variety show' can be composed.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premises to understand the audience's experience about 'the real variety show' was the attributes of the show and how do they recognize the genre of the show. Most studies about how the mechanism of reality effect on the level of consumption was classified into 'intra-textuality' and 'inter-textuality', because in the process of field work, 'intertextuality' was found as an important concept to understand 'the real variety show'. Accepting 'the real variety show' is accomplished while many different kinds of texts surrounding it interact with each other. It is because the boundary of genre, the real variety show, is ambiguous and circumstances of broadcasting and the way of acceptance of the text also have changed. First, as mechanism of reality construction, I observed characters, the effects of realism about trust in genre, exposure of production team, use of caption, open narrative and use of subject matter. Especially, the character could affect preference about 'the real variety show'. In the process of character construction, probability was needed to contribute to realism, and the process should be show realistically. Also, when the characters in the show express their emotion frankly, the audience tend to immerse in that situation, and eventually, it contribute to realism. Next, prior to direct consumption, the audience expect that program will show obvious reality because the program stand for realism. Thus they believe that, even if its official 'stage' is virtual, specific situations, especially the emotion between characters are real. In other words, the tension between 'virtuality of stage' and 'reality of emotion' leads the audience to immerse in text. Meanwhile, 'the real variety show' compose realism as giving a margin that the audience can intervene in production through letting producers appear in the show to make the audience feel that players and producers make all the situation together in that place, and making the audience directly watch the processes. Also, the audience feel intimacy to producers who appear repeatedly in the show, it was another mechanism which amplify realism about text. The caption that have utilized for fun in the entertainment programs for a long time is utilized as a window of 'communication' and 'conversation' in 'the real variety show'. It means that producers not only express their opinion and communication with viewers through the caption, but also it play a role in representing viewers' opinion. Eventually, the audience of 'the real variety show' think that they can communication with text through the caption, and they experience realism by thinking that they intervene actively in process of the consumption. The next mechanism is 'open narrative'. 'The real variety show' present 'unexpected' fun by taking next situation according to the player's choice and acting off the cuff. They are not running just according to planed order and minute rule, so the viewers can experience realism by intervening in the text with active and polysemous interpretation instead of passively following presented text that adjusted their pre-experienced expectation when expectations and common senses were broken. The last mechanism is utilization of the 'subject matter' in the 'intra-textuality'. Every kinds of entertainers' rumors about their private life that ordinary people cannot access easily can be treated naturally in the process of story development, and at that time, the viewers experience realism through the way of communication as if they communicate with their friends in reality. 'The real variety show' also adopt familiar subject matters and places to the text, thus the audience experience 'empirical realism' that they consider the real life where they live and presented life in the text are same. The 'inter-textuality' is especially explained by analysis of 'character'. Namely, I found out the character of 'the real variety show' can complete realism when it maintain same pattern in other texts as well as the character changed gradually in one text which have affected from any other text. But this 'intra-textulity' and 'inter-textuality' that I explain for understanding realism of 'the real variety show' and realism that the audience can experience are not in the same level or affect in the process of reception equally. Even though some mechanism is separated to 'intra-textuality', in the 'real variety show', it is not constructed by itself, but it can contribute to realism eventually when it was affected from 'inter-textuality', the unique feature of the text. In the other words, realism of 'the real variety show' has a close connection to 'inter-textuality' that this mixed genre have, and the 'inter-textuality' affect all of elements surrounding 'intra-textuality' impact on the audience's realism though combination of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