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2 Download: 0

사서의 업무수행을 위한 지식과 기술의 중요도 및 교육에 관한 연구

Title
사서의 업무수행을 위한 지식과 기술의 중요도 및 교육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유경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도서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도서관학과
Degree
Master
Abstract
사서의 성공적인 업무수행은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합리적으로 활용하는데서 비롯되며, 그 기반은 교육을 통하여 습득하게 된다. 효과적인 도서관업무 수행과 교육간의 관련성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지식과 기습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요청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들이 각종 업무를 말아 수행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고 평가한 지식과 기술을 살펴봄으로써 초보사서의 신속하고 유효한 업무적응에 도움을 제공하고, 그러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방법을 알아내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조사와 질문지법을 병용하였다. 문헌조사를 동하여 사서의 업무수행에 중요한 지식과 기술의 내용 및 습득과정, 그리고 이러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위한 전문직 교육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질문지를 통하여 현직 사서들로부터 지식과 기술의 중요도 및 습득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서울시내 4개 종합대학 도서관학과 졸업생 중 180명의 현직사서에게 질문지를 배포하여 116부를 회수,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유형의 도서관 현장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에 대한 중요도 측정에서는 전통적인 지식과 기술(분류/목록업무와 참고업무 등)이 매우 높게 나타났고, 비전통적인 지식과 기술(도서관 자동화, 컴퓨터 조작, 정보검색 등)도 전반적으로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이는 도서관 현장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지식과 기술이 도서관의 근본적인 기능수행을 위한 것이며, 효과적인 업무수행과 봉사를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과 기회를 제시하기 위한 것임을 의미한다. 2.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 사서들에 의해 중요하다고 평가된 것은 분류/목록업무 관련 지식과 기술이었고 특수도서관 사서들은 참고업무관련 지식과 기술을 중요하다고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종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은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대한 지식으로 나타났다. 3. 부서에 따른 중요도 측정결과, 기술봉사 부서에서는 분류/목록의 기능에 관한 지식이, 이용자봉사 부서에서는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기술이, 전체봉사 부서에서는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관만 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각 부서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적 지식과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기술이 부서간에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 4. 직위에 따라 중요한 정도를 조사한 내용에서 관리직 사서는 전통적인 지식과 기술, 비전통적인 지식과 기술, 경영 및 인사관리와 관련된 내용등을 망라하여 도서관의 전반적인 업무에 관련된 주요 지식과 기술을 중요한 것으로 평가한 반면, 일반사서는 관리직 사서에 비해 중요도 평가의 폭이 협소하여 기본적인 업무에 관련된 지식과 기습만을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직원감독기술이 관리직 사서에 의해 높게 평가됨으로써 직위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5. 신입사서는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관한 지식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평가하였고, 경력사서는 분류/목록의 기능에 관한 지식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경력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은 색인자료 활용기술로 나타났다. 6. 전체적인 지식과 기술의 습득방법을 조사한 결과, 이론을 통해 31.2%, 실무를 통해 68.8%를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교육을 통해서는 주로 도서관의 기본적인 업무기능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얻게 되며 그 이후의 계속교육을 통해서 도서관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최신 지식과 기술을 우선적으로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무교육을 통해서는 업무의 기능 및 업무수행을 위한 절차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직무중훈련을 통해서는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행정적인 지식과 커뮤니케이션 관련기술을 우선적으로 지적하였다. 7. 지식과 기술의 중요도와 습득방법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업무에 중요하다고 평가된 지식과 기술의 35%를 이론에서, 65%를 실무에서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지식과 기술이 실무를 통하여 습득되는 것으로 나타나 실무위주의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된 분류/목록의 기능과 참고업무의 기능에 관한 지식이 실무보다는 이론을 통하여 더 많이 습득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론교육의 중요성도 간과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하여 전문직교육과 현장업무의 밀접한 관련성을 위해 몇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현장에서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의 상당부분이 실무를 통해 습득되고 있는 상황임을 감안하여 구제적인 실무교육방법에 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현장교육을 지원하여야 한다. 둘째, 전문적지식과 기술에 대한 도서관현장에서의 요구와 교육프로그램간의 신속한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경력있는 사서의 교육참여의 기회와, 교육자의 현장경험이 상호 훌륭하게 작용할 수 있는 발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세째, 도서관현장에서 중요시 하는 지식과 기술에 대하여 더욱 깊은 관심을 기울여 구체적인 출판활동의 근거로 삼아야 한다.; Librarians' successful execution of tasks comes from professional knowledge & skills, and the foundations of that are acquired b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eginners with rapid and useful adjustment of task by examining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to offer basic materials which would be useful in developing systematic and efficient education program by investigating the acquiring method. Methods of literary research and survey through questionaire were used in this study. The contents and acquiring process of knowledge & skills that was important to librarians' tasks execution, and professional education of acquiring knowledge & skills were investigated by literary research. Information concerning the degree of importance on knowledge & skills and acquiring method was received from librarians by questionaire. Of the professional librarians that were graduated from department of library science at four universities in Seoul, 180 librarians were chosen. Answers of 116 librarians were analyzed as follows. The degree of importance on knowledge & skills required fundamentally was measured. Results showed that traditional knowledge & skills(Classification/Cataloging & Reference Work etc.) were very important and nontraditional Knowledge& skills(Library Automatin, Computer Operation, Information Retrieval etc.) were generally important. The knowledge & skills which were related with classification/cataloging work were important in the academic and public library, and the knowledge & skills which were related with reference work were important in the special library. At the result of the degree of importance by department, the knowledge on function of classification/cataloging, the skills on communication with user, and the knowledge on user's information need were the greatest important in the techniacl service, public service, and total service department, respectively. Administrative librarians evaluated importantly the knowledge & skills which were related with general library task, and general librarians pointed out the knowledge & skills which were related with fundamental work importantly. The degree of importance by tenure was measured. The skills on user's information need were evaluated most importantly by entry-level librains, and experienced librarians indicated the knowledge on the function of classification/cataloging most importantly. According to the acquiring method on the knowledge & skills, 31.2% was acquired by theory, 68.8& was learned by practice. The knowledge & skills which were related with function of basic tasks was acquired by theoretical education, and the current knowledge & skills to confront the change of library environment were learned by continuing education preferentially.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importance on knowledge & skills and acquiring method was investigated. In result, 35% of important knowledge & skills for tasks execution was learned by theory, and 65% of that was acquired by practi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