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1 Download: 0

성금연류 가야금산조의 변천 및 교류에 관한 연구

Title
성금연류 가야금산조의 변천 및 교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usical Changes and Exchanges of Seong Geum-yeon School Gayageum Sanjo
Authors
김일륜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운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al process of Seong Geum-yeon school of gayageum sanjo and the relationships with other sanjos and other genres of music which reveal its own musical characteristics. In this dissertation, I divide Seong's sanjo into three different stages, formation stage - development stage -completion stage and chose appropriate materials for each stage to analyze. Analysis includes organization of movements, melodic progression, sigimsae idiomatic expression and jangdan buchimsae rhythmic articulations. In addition, to investigate musical relationships with other sanjo or other genres, I compare it with Choe Ok-sam school and An Gi-ok school gayageum sanjo, Ji Yeong-hui school haegeum sanjo, Sin Kwae-dong school geomungo sanjo, pansori and sinawi. These analyses reveal musical influences in the formational process of Seong Geum-yeon school gayageum sanjo.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discussed two aspects including changes of Seong Geum-yeon gayageum sanjo and musical exchanges with other sanjo and other genres of Korean music. Changes of Seong Geum-yeon gayageum sanjo in each period are as follows. The first period (1929-1959) is formational period which can be referred as a initial stage. Six movements are organized in this period including jinyangjo-jungmori-jungjungmori-gutgeori-jajinmori-hwimori. The total performance takes about 12 minutes and gyemyeonjo, pyeongjo, gyeongdeureum modes (these modes names follows the recent version) are employed. Jinyangjo begins with bonghwangjo melody of Choe Ok-sam's sanjo in this initial stage sanjo, and this melodic phrase is still remained in her later version in pyeongjo mode section four. More similar melodies with other sanjos including Kim Juk-pa, Choe Ok-sam, and Kim Byeong-ho are found in jungmori movement. This helps to assume active musical exchanges between gayageum masters during this period. In terms of rhythm, oetbuchim (off-beat rhythmic articulation) are frequently employed in all movements. Interestingly one octave lower tone (G) from the fifth lower of the lowest tone (G) is frequently heard in jinyangjo and jajinmori movements, it can be conjectured that modified gayageum might have already used in this period. Second period between 1960 and 1974 is considered as development stage and most of the melodies have been fixed and stylized during this period. The total length of the piece is about 30 minutes long, the music is extended in all movements. New dongsalpuri movement (about 74 jangdan phrases) is added, and now the piece is comprised with seven movements. Each phrase also is extended and new mode ujo is appeared, gyemyeonjo is also divided into bicheong, boncheong, and byeoncheong. Melodic progression is based on phrasing with diverse boncheong (central tone) and jo (mode), and honhapjo (mixed mode), honhapcheong (mixed center tone), sanghacheong (changing octaves) are occurred frequently within a phrase (jangdan). Employment of dongsalpuri jangdan is also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is period. Same as dongsalpuri of sinawi, boncheong is constantly g, however, pyeongjo and ujo modes of sanjo is also employed in donsalpuri jangdan. Even though most of sigimsae (idiomatic expression) of this period are also found in other gayageum sanjos, employment of diverse right-hand playing techniques including successive gyeopssaraeng (double octave picking) techniques with various complex rhythm is one of the most special in this sanjo which sometimes referred as bright and splendid. Other characteristics of this sanjo is found in left-hand playing techniques including gyeongdeureum (gyeonggi style) light vibrato and light jeongseong (sharp pressing) and echo-like yeoreum (after tone) in expressing deep sorrowfulness. In rhythm, diverse rhythm articulations techniques including oetbuchim, wanjageori, and ingeogeori are frequently found. Especially employment of irregular ending by postponding ending phrase is one of the most artistic rhythm articulation and melodic progression. The third period between 1975-1986 is completion stage. Music is crystallized and refined in this period. The length of the music is extended, takes about 65 minutes. Dongsalpuri movement is removed from earlier version and daseureum section is added and becomes 8 movements. All movements are extended except jungjungmori movement. Very limited changes in jungjungmori movement are found. Large leap of melodies (in three different octaves) are frequently found and 12 strings are all used as boncheong. Sigimsae and rhythmic structures still remain the same as the earlier version. Frequent changes in cheong and jo are employed even within a jangdan phrase. Especially use of dense or loose melodic progressions effectively expresses bright and feminine mood of Seong's sanjo. The results of analysis of music exchanges with other sanjo schools and other musical genres are as follows. First, similar melodic progression are found in all sections except oenmori movement with gayageum sanjos of An Gi-ok and Choe Ok-sam who were former teachers of Seong Geum-yeon. Very little similar melody of An Gi-ok's compared to Choe Ok-sam's is found. An's sanjo frequently employs playing successive progression of open strings without typical gyemyeonjo mode, sounds more like monophonic melody of wind instrument. Even though similar melodic progression, compared to Choe's sanjo, seongeum (timbre) and aksang (musical expression) are quite different. Choe's melody expresses refined masculine melodic ujo, while Seong's sanjo employs gyemyeonjo with deep yeoeum (after tone) and heavy vibratos. Even same melodies are performed in different jo (mode) and in lower or higher octaves. Second, I compared Seong's gayageum sanjo with other instrument's sanjo including Ji Yeong-hui school of haegeum (two-stringed fiddle) sanjo and Sim Kwae-dong school of geomungo (six-stringed zither) sanjo. Surprisingly the beginning sections of jungmori and jungjungmori movement of Seong and Ji are quite similar. Haegeum master Ji was Seong's husband. Maybe it reflects sanjo resembles the ways of human life. Similar melodies with Sin Kwae-dong school geomungo sanjo are found in jinyangjo, jungmori and oenmori movements. However, these similar melodies are performed in different sigimsae, instrument-specific idiomatic expression. Gayageum employs splendid double flicking playing techniques while geomungo resonate heavy yeoeum. To investigate exchanges with other musical genres, I chose pansori (epic narrative singing) and sinawi (improvisational instrumental ensemble). It can be conjectured certain that musical characteristics of sanjo and pansori are common since sanjo is usually referred as "pansori without text." Furthermore, Seong learned pansori repertoire "Chunghyangga (The Story of Chunghyang)" from pansori master Jeong Jeong-ryeol when she was young. As it is conjectured, pansori like melodies are frequently employed in Seong's sanjo. This analysis shows that instrumental sanjo is influenced from vocal pansori. "Salpuri" is Seong's solo composition based on sinawi ensemble, and similar melodies are found in jungjungmori and jajinmori of Seong's gayageum sanjo. Sinawi is usually organized on jing boncheong (g center tone) gyemyeonjo mode while Seong's "Salpuri" employs various boncheng. Melodic progression of Seong's "Salpuri" uses sanjo style instead of sinawi style. Usually Seong's gayageum sanjo is known as splendid and expressive one and reveals the essence of namdo (Jeolla province) music. I hope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sanjo in holistic perspectives that it reveals musical ideas and at the same time resembles a human life. In addition, I hope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provide fundamental and meaningful basis for future studies on sanjo of other instruments. Furthermore I expect the birth of today's music which fulfills today's aesthetic needs as sanjo did about 100 years ago. Some of unsolved questions are remained for the future research.;본 연구의 목적은 가야금산조의 대표적인 유파 중 하나인 성금연류를 대상으로 산조가 형성되는 과정의 변천 양상을 살펴보고 다른 산조나 장르와의 음악 교류 관계를 짚어봄으로써 성금연류 가야금산조에 내재된 음악적 특징과 예술성을 밝히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성금연류 가야금산조를 형성기-전성기-완성기의 세 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에 해당하는 음원을 채택하여 악장 구성, 선율 진행, 시김새 및 장단 붙임새 등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최옥삼류․안기옥류 가야금산조, 지영희 해금산조, 신쾌동 거문고산조, 판소리, 시나위 등의 음악과 성금연류 가야금산조의 유사 선율을 고찰하여 성금연류 산조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어떤 음악들과 영향을 주고받았는지 짚어보았다. 그 결과는 1) 성금연류 가야금산조의 변천, 2) 다른 산조나 장르와의 음악 교류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시기에 따른 성금연류 가야금산조의 변천 양상은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1929~1959년까지의 형성기의 산조는 정형화되지 않은 수련기의 모습을 고스란히 지니고 있었다. 이 시기의 산조는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굿거리-자진모리-휘모리의 여섯 악장으로 구성되었다. 연주시간은 12분 남짓이며, 완성기의 구전 조명을 기준으로 계면조․평조․경드름 등의 조(調)가 사용되었다. 형성기 산조에서 진양조의 시작은 최옥삼의 봉황조로 시작하고 있는데, 이 가락은 후대 완성기 산조의 4장 평조 부분에 남아있다. 중모리에는 김죽파류․최옥삼류․김병호류 등과 유사한 선율이 출현하고 있어 스스럼없는 가락 교류가 이 시기 산조 연주자들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모든 악장에서 엇붙임의 형태가 자주 출현하는 등 변격의 붙임새로 선율을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었다. 특이한 점은 진양조와 자진모리에서 산조가야금의 가장 낮은 음보다 완전 5도 아래인 흥(G)의 옥타브 아랫소리(G')가 들리고 있어 개량 가야금이 이미 이 시기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1960~1974년까지의 전성기 산조는 완성기의 선율로 정형화되는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성기 산조의 연주시간은 약 30여분 정도이며, 전 악장에서 장단 수가 늘어났다. 악장은 형성기의 6악장에 동살푸리 74장단이 첨가되어 7악장으로 구성되었다. 형성기보다 각 악장의 단락도 증가하였고, 우조가 출현하고 비청․본청․변청 등 계면조가 세분되었다. 선율 진행은 여러 가지 본청과 조(調)를 이용하여 단락감을 형성하는 것은 물론, 한 장단 내에서 조나 청을 바꾸는 혼합조나 혼합청, 상하청 등을 통해 지속적인 음악적 변화를 시도하였다. 전성기에만 출현하는 동살푸리 장단은 이 시기의 독특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시나위의 동살푸리와 마찬가지로 본청을 징(g)음으로 유지하는 것은 동일하나 산조의 틀에 맞게 평조와 우조를 등장시켜 짜임새에 변화를 주고 있었다. 전성기 산조에 나타나는 시김새는 대체로 다른 가야금산조에서도 볼 수 있는 주법인데, 성금연류에서는 검지 주법이나 겹싸랭 주법 등 여러 가지 오른손 주법을 촘촘한 리듬과 함께 연속 반복하여 사용함으로써 화사한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또 가볍게 구르거나 농현하는 주법으로 경드름의 맛을 살리는 표현이나 메아리와 같은 여음으로 슬픔을 극대화하는 표현도 성금연류의 특징으로 꼽을 수 있었다. 장단 붙임새는 엇붙임, 완자걸이, 잉어걸이 등이 고루 나타났는데, 한 장단 내에서 선율을 맺지 않고 다음 장단의 일부까지 물고 가서 종지하는 변격 장단은 선율과 리듬을 동시에 운용하는 고도의 예술적 수준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었다. 셋째, 1975~1986년까지의 완성기 산조는 성금연류가 정교하게 다듬어지고 완성된 시기였다. 완성기 산조의 연주시간은 약 65분가량이며, 악장은 동살푸리가 빠지고 다스름이 추가되면서 8악장으로 형성되었다. 각 악장이 대체로 확대된 형태를 보였으나, 중중모리는 형성기부터 가락의 확대나 선율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선율은 세 옥타브를 넘나드는 상하청으로 12줄 모두를 본청으로 사용하였다. 시김새와 장단 붙임새는 전성기와 대체로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한 장단 내에서도 다양한 청과 조의 변화를 시도하고 가락을 촘촘히 엮거나 성글게 하여 화사하고 여성스러운 분위기를 표현하였다. 다음으로 다른 산조나 장르와의 음악 교류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금연류 가야금산조는 엇모리를 제외한 전 악장에서 스승이었던 안기옥과 최옥삼의 가야금산조와 유사한 선율로 진행되는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안기옥류 산조와의 유사선율의 출현 빈도는 매우 낮았는데, 안기옥류는 가야금의 다양한 계면조 선법을 사용하지 않고 개방현의 음들을 순차 진행하는 선율로 곡을 구성하여 마치 관악기 연주와 같은 단선율의 느낌을 주고 있어서 남한의 산조들과 이질적인 모습을 보였다. 최옥삼류도 성금연류와 선율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성음이나 악상은 매우 대조적이었다. 최옥삼류가 담백하게 남성적인 선율을 우조로 그린다면 성금연류는 깊은 여음과 농현으로 멋을 부린 계면조 선율로 전혀 다른 분위기를 만들었다. 또 동일한 선율을 다른 조로 연주하거나 상하청으로 받아서 각기 개성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었다. 둘째, 다른 악기 산조와의 교류는 지영희류 해금산조와 신쾌동류 거문고산조를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지영희류 해금산조와 성금연류 가야금산조는 중모리와 중중모리의 초입 부분에서 놀라울 정도로 비슷한데 이를 통해 부부가 살면서 닮아가는 인간의 사는 방식과 산조가 닮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쾌동류 거문고산조에서는 진양조, 중모리, 엇모리에서 유사선율이 출현하였다. 두 산조에 나타나는 유사선율은 연주법이나 시김새에 차이가 나기도 하는데, 악기의 특성상 가야금은 쌍튕김 주법으로 화사한 분위기를 형성한다면 거문고는 묵직한 여음으로 무게감을 더하였다. 다른 장르와의 교류에서는 판소리와 시나위를 대상으로 성금연류와의 유사선율을 찾아보았다. 산조를 ‘말 없는 판소리’라고 하고 성금연이 어린 시절에 정정렬에게 춘향가 한바탕을 배웠다는 점 때문에 두 음악의 유사성을 기대했으나 가야금과 판소리는 기악과 성악으로 연주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유사한 더늠이 많지 않았다. 한편 <살풀이>는 성금연이 시나위합주를 가야금 독주곡으로 정리한 곡인데, 중중모리와 자진모리에서 가야금산조와 유사 선율을 찾을 수 있었다. 시나위는 대체로 징(g) 본청 계면조로만 짜는데, 성금연의 <살풀이>는 당(d) 본청으로 변청하여 청을 바꾸는 등 시나위에서 볼 수 없는 형식을 취하고 있었다. 잇단음 선율로 맺지 않고 달고 가는 진행 또한 산조의 선율 전개와 매우 유사한 부분이었다. 요컨대, 성금연의 <살풀이>는 산조의 짜임새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시나위가 가지고 있는 제한적인 틀을 벗어나려는 시도를 하고 있었다. 흔히 성금연류 산조는 화사하면서 아기자기한 맛과 깊은 한이 배인 남도적 감성의 결정체로 일컬어진다. 성금연이 산조에서 펼쳐 보인 삶의 희노애락과 음악적 이상이 무엇이었는지 본 연구를 통해 조금이나마 총체적인 이해의 토대가 마련되었기를 바란다. 아울러 본고를 밑거름 삼아 가야금뿐만 아니라 다른 악기의 산조에서도 다각도의 입체적 연구가 진행되기를 고대한다. 무엇보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산조와 같이 다양한 음악 구조를 가진 이 시대의 미적 요구를 수용한 새로운 음악의 탄생을 기대하며 본고의 미진한 부분은 후학들의 몫으로 남기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