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2 Download: 0

「동래학춤」과 「양산사찰학춤」 춤사위 특징 비교

Title
「동래학춤」과 「양산사찰학춤」 춤사위 특징 비교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Dance Design of 「Dong-rae crane dance」and 「Yangsan Buddhist Temple crane dance」
Authors
이연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명숙
Abstract
This thesis is, as a comparison research of action of dance, a study of comparing two movement of dance of 「Dong-rae crane dance」and 「Yangsan Buddhist Temple crane dance」in division of method of expression, direction of proceeding, formation, role, and mutual interaction. As methods of the study, movement of dances of「Dong-rae crane dance」and 「Yangsan Buddhist Temple crane dance」were studied through literature about origination, background of formation, composition, styles before comparing them and also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learning of oneself and video data of movement of dances of crane. The resul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if we compare characteristics of movement of dances of 「Dong-rae crane dance」and 「Yangsan Buddhist Temple crane dance」according to methods of expression, in 「Dong-rae crane dance」, we can note characteristics of action of dance since features of dancing was crated almost like shapes of cranes dancing in a metaphoric expression. On the contrary, 「Yangsan Buddhist Temple crane dance」has the characteristics just like features of crane dancing in direct expression. Second, if we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action of dance according to formation and direction of proceeding, 「Dong-rae crane dance」is danced without limits in direction of proceeding. However, 「Yangsan Buddhist Temple crane dance」is limited by direction of proceeding. When the dance was performed by Kim, Deok-Myeong alone, it was proceeded into anticlockwise direction and also only into front direction of body. Third, if we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roles of action of dance, 「Dong-rae crane dance」has the characteristics to be danced in division of main dancers and assistant dancers. On the contrary,「Yangsan Buddhist Temple crane dance」is danced in equality without roles. In case the dance is performed in a group dance, all perform the same movement of dances without roles of main dancers and assistant dancers. Fourth, if we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movement of dances according to mutual intermovement, 「Dong-rae crane dance」has the characteristics that all performers dance in mutual exchanges. Compared to this, 「Yangsan Buddhist Temple crane dance」has action of dance just like performers interact mutually but movement of dances are established with addition of elements of dramas just like pairs dance together without direct mutual intermovement. Like in the above, we can review characteristics of each action of dance the current 「Dong-rae crane dance」 and 「Yangsan Buddhist Temple crane dance」 have. Like this, it is believed that reasons for showing mutually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movement of dance in the two crane dances are not only because there are differences in processes of generation due to impacts of folklores, cultures, and geography but also because of impacts during processes of transmission despite they were derivatives in similar regions. Therefore, this thesis has meaning in comparing mutual characteristics in macro viewpoints in order to reveal characteristics of movement of dances the crane dances have instead of 「Dong-rae crane dance」and 「Yangsan Buddhist Temple crane dance」being simply recognized as a shape of imitation dances within the frame of folklore dances.;본 논문은 「동래학춤」과 「양산사찰학춤」의 춤사위 비교 연구로, 두 학춤의 춤사위를 표현방법, 진행방향, 대형, 역할,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비교 고찰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동래학춤」과 「양산사찰학춤」의 춤사위를 비교하기 앞서 춤의 유래, 형성배경, 구성, 형식을 문헌을 통하여 연구하였으며 학춤의 춤사위를 본인이 직접 습득한 경험과 비디오 분석을 통해 비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래학춤」과 「양산사찰학춤」의 표현방법에 따른 춤사위 특징을 비교해보면, 「동래학춤」은 은유적인 표현으로 춤을 추는 모습이 마치 학을 닮아 생겨난 춤사위 특징을 볼 수 있다. 반면 「양산사찰학춤」은 직접적인 표현으로 학이 춤을 추는 듯한 춤사위 특징을 가지고 있다. 둘째, 대형과 진행방향에 따른 춤사위 특징을 비교해보면, 「동래학춤」은 진행방향의 제약 없이 추어진다. 그러나 「양산사찰학춤」은 진행방향에 따른 제약을 받는다. 김덕명에 의해 독무로 추어졌을 당시 반시계방향으로 진행 되며 몸의 앞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학의 습성을 그대로 표현하여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역할에 따른 춤사위 특징을 비교해 보면, 「동래학춤」은 주무수와 조무수로 나뉘어 추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개인의 흥에 따라 자유무를 추다가 주무수의 추임새, 춤사위 등에 맞추어 동시에 배김사위를 행해 춤판을 정리하는 특징을 보인다. 반면 「양산사찰학춤」은 군무로 추어질 경우 주무수 조무수의 역할 구분 없이 모두 같은 춤사위를 동등하게 행하게 된다. 넷째, 상호작용에 따른 춤사위 특징을 비교해 보면, 「동래학춤」은 모든 연희자가 상호 교류를 하면서 춤추는 특징이 있다. 이에 비해 「양산사찰학춤」은 서로 상호작용하는 듯한 춤사위를 가지고 있으나 직접적인 상호작용 없이 마치 짝과 함께 추어지는 것처럼 연극적 요소가 가미되어 춤사위가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현행 「동래학춤」과 「양산사찰학춤」이 가지고 있는 각 춤사위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이렇듯 두 학춤이 다른 춤사위 특징을 보이는 것은 민속적 ․ 문화적 ․ 지형적인 영향으로 생성과정의 차이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승 과정의 영향을 받아 비슷한 지역에서 파생되었으나 각기 다른 특징으로 나타난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동래학춤」과 「양산사찰학춤」이 민속무용 틀 안에서 단순히 모의춤 형태의 비슷한 유형의 학춤으로 인식되는 것에서 탈피하여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두 학춤이 지닌 각기 다른 춤사위의 특징을 비교하는데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