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7 Download: 0

민족 문화 상징에 표출된 한국인의 색채의식 연구

Title
민족 문화 상징에 표출된 한국인의 색채의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s Color senses of the symbolic colors shown through Korean culture
Authors
김은선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We can find a unique cultural symbol that has been continued and shared by a particular people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symbol is formed by a group of people influenced by their own history, culture patterns and social customs for many years. It causes common reactions to a certain kind of matter from each member of society, and performs its role of unifying the society. Koreans' peculiar color senses have a symbolic signification that indicates their own national traditions and custom of society, and also have linguistic, communicative roles beyond its own visual area as wel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lors which can stand for Korean culture at this moment. In other words, this paper will research Korean's specific color senses shown through their own cultural symbol. To study on the relation of colors and culture, the paper examined definitions of obscure color terms, the perceptual processes of colors and basic theories on the process of association and symbolization of colors considered as a cultural property. Furthermore, as a precedent study, I classified Koreans' color senses by finding the patterns of traditional color senses of Koreans in the past. So I could arrange traditional symbolic colors of Korean culture. In addition, I deduced the necessity of studying on symbolic colors from case studies of the survey by an organiz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ll age group of people (regardless of sexes) over 10 years old who have Korean nationality and have been living in Seoul, In-cheon, Bu-san, Dae-jeon, Dae-gu, Ul-san and Gwang-ju. They were sampled through a random sampling method. Based on three themes, the survey on color senses has been conducted in stages. First of all, I designated the book, "100 Selections of Culture Symbols of Korea"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s a medium of association. And then, I researched Koreans' major culture symbols. In addition to it, I've carried out studying the names of colors simultaneously, so I could lead people to conduct specific color association. After that, with the result drawn from the former survey, I organized a color palette to make the survey more concrete and show the depth. The color palette was organized using Korean Standard Color and to make it efficient,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through online with the digital colors. Some of major finding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 The rate that chose "Taegeukgi" as a Koreans' culture symbol : more than 15% - The rate that named the color "red, blue and white" as Koreans' cultural symbolic colors indwelling in them : about 80% - Also, the reason of associating the three colors above was related to "Taegeukgi." As a result, I could confirm the fact that the same association way exists between the Koreans' major culture symbol(Taegeukgi) and its symbolic colors(red, blue and white). 1. Koreans' color senses about the three symbolic colors above are as follows: - Considering three properties of colors, I found out the fact as below. Hue: red (7.5R); blue (5PB); white (N9)* Value: middle value (V3,V4,V5) Chroma: high chromaticness level (higher than C10) *The symbolic color, "white(N9)", is chosen by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Considering the symbolic colors with NCS sys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ymbolic color, "red",isconcentratedon the range from Y90R to R in the NCS color circle. In the NCS color triangle, blackness ranges between 10 and 40 below, and chromaticness is higher than 60. The symbolic color, "blue", is focused on R70B, R80B and R90B evenly. In the NCS color triangle, blackness ranges between 20 and 50, and chromaticness ranges between 50 and 60. The symbolic color, "white", is focused on 0-N. 2. Slight disagreement between ages and sexes over the symbolic colors was shown: Hue: red(7.5R) chosen by all age group blue(5PB) chosen by most respondents except women in 40's Value: red(V4) chosen by most respondents except men and women in 40's blue(V3-V5) chosen by all age group Chroma: high chromaticness level (higher than C10) preferred by all age group regardless of sexes In this way,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re is a common and natural cogn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s' major culture symbol(Taegeukgi) and its symbolic colors(red, blue and white). The peculiar symbolic colors in which emotions and philosophies of a nation indwell have been succeeded and develop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the current paradigm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sampling and verifying colors that can symbolize the Korean's culture is the most basic work to develop Koreans' unique, peculiar color resources. At the same time, on the basis of this study, I hope that Koreans' cultural color senses can be understood and used further.;특정한 민족 간에 오랫동안 계승되어 온 고유한 전통 문화 속에는 그들만이 공유해온 독특한 문화의 상징이 있다. 그것은 오랜 세월에 걸쳐 역사와 전통, 그리고 문화 양식의 영향을 받으며 집단에 의해 형성되어 그들 각 구성원에게 공통의 반향을 불러 일으켜 사회를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한국인의 고유한 색채 의식 또한 유구한 전통 또는 사회의 관습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의미로서 단순히 시지각의 범주를 넘는 언어적인 소통의 역할까지도 아우르게 되었다. 그러나 전통색의 막연한 재현으로 현재 한국의 문화를 대표하는 색을 단정적으로 찾아낼 수는 없다. 그런 맥락에서 그동안 너무도 가까이에서 그리고 무심히 보아온 태극 문양이나 색동의 색이 과연 한국의 문화를 상징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또한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는 문화 속에서 현재 한국의 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상징과 그에 따른 연상으로 한국인이 생각하는 문화 상징색에 대한 구체적인 색채의식 조사를 통해 현대 한국의 정서가 담긴 한국문화의 상징색을 찾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현 시점에서의 한국 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색 즉, 민족 문화 상징의 색채로 표출된 한국인의 구체적인 색채의식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설문 결과, 설문 대상자의 전 연령대 15% 이상이 ‘태극기’를 한국의 대표적 민족 문화 상징으로 꼽았다. 이와 함께 설문 대상자의 전 연령대 80% 내외가 한국인의 의식 속에 자리잡은 민족문화 상징색의 색명을 빨강, 파랑, 흰색으로 대답하였다. 색에 대한 연상 이유 또한 ‘태극기’가 공통적으로 등장하여, 한국인의 대표적 민족 문화 상징과 상징색은 그 연상관계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2. 위 상징색 3색에 대한 한국인의 색채의식은 다음과 같다. 색의 3속성으로 살펴볼 때, 색상(Hue)은 빨강은 7.5R, 파랑은 5PB에, 명도(Value)는 중명도(V3,V4,V5)이며, 채도(Chroma)는 고채도(C10이상)임을 알 수 있었다. 상징색 흰색은 전 연령에서 과반수이상의 응답으로 모두 N9의 무채색을 답하였다. 이 결과는 자연색체계(NCS)로 살펴볼 때 상징색 빨강에서, NCS 색상환에서 색상은 Y90R과 R에 집중된 것을 알 수 있다. 색 삼각형에서 표기된 결과에서 검정색도(S)는 10-40이하, 유채색도(C)는 60이상에 많은 분포를 보였다. 상징색 파랑은, NCS 색상환에서 R70B, R80B, R90B에 고르게 집중된 것을 알 수 있다. 색 삼각형에서 표기된 결과로 보아 검정색도(S)는 20 -50, 유채색도(C)는 50-60사이의 분포를 나타냈다. 상징색 흰색은 0N에 집중되었다. 상징색에 대한 연령과 성의 색채의식 차이는 크지 않았다. 색상에서 상징색 빨강은 7.5R에 집중되었으며, 파랑의 경우 40대 여성을 제외한 대부분의 남녀가 5PB에 선택율이 높았다. 명도에서 상징색 빨강은 40대를 제외한 다른 연령대의 남녀 모두 V4에 집중되었으며 파랑은 전 연령대 남녀에서 V3-V5 의 범위에서 선택되었다. 채도에서는 전 연령에서 두 색 모두 남녀 간 차이 없이 C10이상의 고채도를 선호하였다. 이처럼 한국인의 빨강과 파랑에 대한 색채의식과 태극기에 나타난 표준색도의 색의 속성이 매우 유사하여, 한국인의 대표적 문화상징과 상징색 간에는 자연스럽고도 공통적인 인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 나라의 민족적인 정서와 생활의 철학이 깃든 고유한 상징색은 오랜 세월 동안 전통으로 이어져 내려오면서 계승 발전된다. 세계화와 지역화라는 패러다임 속에서 한국인의 민족 문화를 상징하는 색채를 추출하고 검증한다는 것은 곧 한국인만의 고유하고도 독특한 색채를 자원화 하는 가장 기본적인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색채 문화 의식이 보다 심도 있게 이해되고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