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高麗末 巫俗排斥論 硏究

Title
高麗末 巫俗排斥論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Ostracism toward Shamanism in the late Goryeo
Authors
권지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미
Abstract
The research of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logic and characteristics of the gentry’s ostracism toward the shamanist custom in the last period of Goryeo after they accepted Sung Confucianism. The biggest change in the politics and ideology of the late Goryeo is the rise of the gentry who are based on Sung Confucianism. The gentry esteemed themselves as the pivot of running the nation, and presented an argument for reform, based on their perception of the reality, which in turn affected the shamanist practice. The argument of antagonism toward shamanism stems from the prevalence of shamanist practice and the acceptance of Sung Confucianism in the late Goryeo. The society of Goryeo depended on the shamanist custom, regardless of status and class, and the grouping of Sung Confucianist scholars and the acceptance of Saseojipju (Chu-tz’s commentary on Sung Confucianism) triggered the gentry’s negative viewpoint for the shamanist custom. Particularly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an emphasis was given to Mencius’ argument against paganism, which was already accepted to the society of Goryeo long before but could not wield any great influence on the nation of Buddhism. However, the acceptance of Maengjajipju (Mencius’ commentary; one of Saseojipju books) in the late Goryeo started to exclude any other religions than Confucianism on a full scale. The logic behind the gentry’s argument against the shamanist practice includes the king-centered government, emphasis on the Confucian rituals, and realization of democracy by uprooting economic abuses. First, the king and officials, as the realizers of the king-centered government, had to be on their guard against the shamanist practice, which can be seen from the ‘sampoongsipgeon’ (three customs and ten faults which includes an argument against shamanism) that was considered to be a presupposition to self-training and loyalty by the gentry such as Saek Lee, Dojeon Jung, and Uijoong Park. Second, the emphasis on Confucian rituals appeared as enmity against anti-Confucian ceremonies, based on the regulations for rituals and hostility toward evil spirits which were the major reasons for banning a ritual for vicious spirits. In the regulations for rituals can only those which were proved as showing miracles and having virtues be included, which was stressed in the king’s message of the late Goryeo. Furthermore, the gentry, who accepted Sung Confucianism, argued that a ritual for evil spirits should be forbidden, on the basis of irrationality of demonism, according to which shamans’ communication with evil spirits exerts bad influence on humans’ fortunes since vicious ghosts like goblins and disease spirits come from the movement of wickedness. Third, the economic abuses were the most fundamental and down-to-earth problem, whose resolution provided the ground for the king-centered politics. The reform for indiscreet extravagance and expenditure on shamans and rituals for evil spirits, which caused bankruptcy for deceived people, shows the argument for a democratic reform of Sung Confucianism. The oppression on shamanism consisted basically of passive expulsion during the period of Yuan’s intervention; that is, shamans got driven out of the capital city. During the change of regimes, more active control was under way due to the reformation of institution, which includes shamans in the sphere of administration. For example, the reform of census registration imposes a citizen’s duty on shamans so that they can also belong to the class of commoners who are subject to collection. Or shamans got incorporated in the court musicians which were to transmi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s members of Confucian ceremonies. Shamans got also subject to taxation through paying the shaman tax or getting under the medical care for the poor. The prohibition on offering estates and slaves greatly weakened shamans’ economic foundation. Shamans also did not benefit from the reform of private fields, at all in the regime of King Gongyang. The gentry’s antagonism against shamanism had limits in and of itself. Shamans were recognized as troubleshooters for social unrest including climatic change, war, and sickness, and they practiced various wishing-luck rituals for the nation or individuals. This recognition for the right function of shamanism brought shamanism into vogue and at the same time came to delimit the gentry’s crackdown on shamanism in the last period of Goryeo. Moreover, in the period of Yuan’s intervention there were two interpretations for Sung Confucianism, i.e. orthodoxy and Confucianism-Buddhism coexistence, and there were no drastic measures against non-Confucian religions. Paganizing non-Confucian religions was a scholastic and political issue; however, there had been no explicit hostility toward heresy and non-Confucian rituals until King Gongmin due to Yuan’s tendency to tolerate all religions. However, the argument for reformation, presented right after the withdrawal of army troops from Wihwado, pinpointed the dynasty’s vices and corruption in full swing, in the 14th year of King Woo (1388). A detailed reform bill was suggested for the vices of shamanist custom, as well. Particularly in the 3rd year of King Gongyang (1391), there were extreme actions suggested for paganism and non-Confucian ceremonies by the radicals such as Cheom Lee, Dojeon Jung, Jasoo Kim, Cho Kim, Eun Nam, and Cho Park. This was not anti-paganism in terms of free activities of academia and ideology, but it was rather about politics which opposed King Gongyang’s regality and authority that were considered non-Confucian. The officials’s appeals reflected the opinions of Seonggye Lee’s faction, which showed their intention to secure the cause of changing dynasties by strengthening the orthodoxy of Sung Confucianism. This thesis examines the gentry’s antagonism toward non-Confucian rituals, viz. shamanism, after Sung Confucianism got accepted, according to dichotic periods of Yuan’s intervention and Regime-shifting, for its traits and character. The gentry before King Gongmin, which is during Yuan’s intervention, did not grow powerful enough as a reforming force, and they were faced with the limitation of accepting Sung Confucianism and intervention from Yuan. Therefore, they could only criticize the socio-economic vices of shamanist practices. Their suppression on shamanism ended up with a passive action which expelled evil shamans. However, the radical gentry, who appeared after King Gongmin in the regime-shifting era, presented a differentiated idea of reform. That is, they severely reinforced their opposition against shamanism for the purpose of denying the Goryeo Dynasty.;이 논문은 고려말 성리학을 수용한 사대부들의 무속에 대한 배척 논리와 그 성격에 대해 살핀 것이다. 고려말 정치와 사상의 가장 큰 변화는 성리학에 기반한 사대부의 성장이었다. 이들은 국가운영의 주체로 자부하면서 자신들의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經世論을 제기하였고, 이것은 무속에 대한 탄압에서도 나타났다. 무속 배척론이 대두되는 배경은 고려말 무속의 성행과 성리학의 수용을 들 수 있다. 고려사회는 신분과 계층을 가리지 않고 무속에 의존하였고, 고려말 性理學者群의 형성과 四書集註의 수용은 사대부들이 무속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키우는 배경이 되었다. 고려말에는 특히 孟子의 異端說이 강조되었는데, 이미 예전부터 고려사회에 수용된 상태였지만, 불교가 지배적이었던 상황에서 유교적 이념이 개혁성을 갖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고려말 주자의 『孟子集註』에 대한 이해가 커지면서, 유교 이외의 종교는 본격적으로 배격되기 시작했다. 사대부들의 무속 배척논리는 王道政治와 儒敎的 祭禮의 강조, 그리고 경제적 폐단 해결을 통한 民本主義의 실현이었다. 첫째, 왕도정치의 구현자로서 왕과 관료는 巫風을 경계해야 했고, 이것은 李穡, 鄭道傳, 朴宜中과 같은 사대부들이 修己와 忠의 전제로 '三風十愆'을 중요시한 것에서 알 수 있다. 둘째, 유교적 의례의 강조는 비유교적 의례에 대한 배척으로 나타났는데, 祀典기재의 중시와 邪鬼에 대한 배척은 음사금지의 주요한 논리로 작용하였다. 사전에 기재되는 것은 靈驗性과 異跡이 증명되고 실제 功德이 있어야만 가능한 것으로, 고려말 국왕들의 敎書에서 그 중요성이 언급되고 있다. 또 성리학을 수용한 사대부들은 귀신숭배의 비합리성을 들어 淫祀 금지를 주장하였는데, 惡鬼, 疫鬼같은 사특한 귀신은 邪氣의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으로 무당이 이런 雜神과 소통하는 것은 인간의 길흉화복에 악영향을 주는 것이었다. 셋째, 경제적 폐단은 무속의 가장 근본적이고 현실적인 문제로 이에 대한 해결은 왕도정치를 구현하는 근거였다. 혹세무민하여 경가파산하게 만드는 妖巫나 음사의 무분별한 사치와 비용에 대한 개혁은 성리학의 經世濟民論을 보여주는 것이다. 무속에 대한 탄압은 원간섭기의 경우 무당을 도성 밖으로 쫓아내는 소극적인 축출론이 주로 이루어졌으나, 왕조교체기에는 제도개혁을 통해 적극적으로 무당을 행정권 속에 편입시켜 통제하려고 하였다. 이는 호적제도의 개편을 통해 무당에게 役을 부과하여 수취체제의 기반인 양인을 확보하려고 한 것이나, 악공으로 편제하여 유교적 의례의 구성원으로 세습시키려고 한 것에서 알 수 있다. 巫稅를 내거나 東西活人署에 소속된 것은 무당을 납세대상화 한 조치이다. 또한 토지와 노비의 施納이 금지되자 무당의 경제적 기반은 크게 약화되었고, 공양왕대 私田개혁에서도 아무런 혜택을 보장받지 못했다. 하지만 사대부들의 무속 배척은 근본적으로 한계를 지닌 것이었다. 무당은 기후변화, 전쟁, 질병 등 사회적 혼란에 대한 해결자의 한 축으로 인정받으며, 국가적 차원에서나 개인적 차원에서나 다양한 기복 의식을 행하였다. 이렇게 무속의 순기능에 대한 인식이 존재했던 것은 무속이 성행하는 배경이었으며, 동시에 고려말 사대부들의 무속 배척이 근본적으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게다가 성리학 이외의 이단화는 학문적 논쟁인 동시에 政爭이기도 하였지만, 당시 사상은 공민왕대까지만 해도 元의 會通的인 경향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신앙이 공존하는 분위기였고, 성리학에 대한 이해에서도 正統論과 儒佛同道論의 입장이 공존하고 있어서, 서로 배타적일 만큼 이단과 음사에 대한 배척이 표출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우왕 14년(1388) 위화도 회군 이후 제시된 사대부들의 제도 개혁론은 왕조의 폐단과 부패를 본격적으로 지적하는 것이었고, 무속의 폐단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공양왕 3년(1391)에는 李詹, 鄭道傳, 金子粹, 金貂, 南誾, 朴硝와 같은 급진파 사대부들에 의해 극단적인 이단배척과 음사금지가 주장되었다. 이것은 학문과 사상의 자유로운 활동을 둘러싼 이단 배척이 아니라 유교적 왕도정치에 합당하지 않은 공양왕의 왕권과 권위에 반대하는 정치적인 성격의 것이었다. 상소문들은 이성계일파의 입장을 반영하는 것으로, 성리학의 正統論을 강화하여 왕조 교체의 명분을 확보하려는 의도를 보여준다. 성리학이 수용된 이후 나타나는 사대부들의 무속 배척론의 특징과 성격은 원간섭기와 왕조교체기의 상황으로 구분된다. 공민왕 이전 원간섭기의 사대부는 아직 개혁세력으로서의 성장이 미흡할 뿐 아니라 성리학 수용의 한계와 元의 간섭으로 인해, 무속의 사회경제적 폐단을 지적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탄압 역시 소극적 차원에서 妖巫를 축출하는 정도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공민왕대 이후 왕조교체기의 급진파 사대부들은 이전과는 차별화된 제도 개혁안을 보여준다. 고려 왕조에 대한 부정이라는 정치적 목적 하에 극단적으로 무속 배척을 강화시켰던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