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32 Download: 0

정상 신생아의 출생 후 흡인에 따른 산소포화도, 활력징후 및 구토에 관한 연구

Title
정상 신생아의 출생 후 흡인에 따른 산소포화도, 활력징후 및 구토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oxygen saturation,vital signs, and vomiting by routine suctioning to healthy newborns at nursery
Authors
최혜미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자형
Abstract
신생아는 출생 후 호흡과 기도유지를 위해 분만실에서 벌브시린지(bulb syringe)를 사용하여 구비인두흡인 시행 후, 신생아실에서 다시 상례적으로 구인두흡인 혹은 구위흡인을 시행하게 된다. 그러나 흡인으로 인해 신생아의 산소포화도 감소, 서맥, 무호흡 등 부작용이 보고되어 왔으며 건강한 정상 신생아는 상례적인 흡인을 하지 않아도 호흡기능이나 기도유지에 문제가 없음이 보고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출생 후 분만실에서 벌브시린지(bulb syringe)를 사용하여 구비인두흡인 시행 후, 신생아실에 입원한 건강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흡인 유무와 종류에 따른 대상자의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호흡수의 변화 및 구토의 유무와 횟수를 관찰하여 흡인이 신생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무작위 통제군 전후 실험설계(pretest-posttest control-group design)이다. 자료수집은 2009년 3월 15일부터 5월 15일까지 62일간 서울지역에 소재한 일개 종합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한 신생아 140명을 대상으로 비흡인군(no suction group), 구인두흡인군(oropharyngeal suction group), 구위흡인군(orogastric suction group) 으로 나누어 측정하였으며, 대상자는 신생아실 입원순서대로 무작위할당(random assignment)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ANOVA,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흡인유무와 흡인종류간의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호흡수의 총 평균 차이와 신생아실 도착 시부터 출생 후 2시간 까지 30분 간격으로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호흡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ANOVA, Independent 2 sample t-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생 후 흡인 유무에 따른 산소포화도(F=506.211, p= .000), 심박동수(F=83.544, p= .000), 호흡수(F=10.978, p= .000)의 평균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흡인종류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2. 신생아실 도착 시부터 출생 후 2시간 까지 30분 간격으로 흡인 유무에 따른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호흡수의 평균의 차이를 측정한 결과 모두 신생아실 도착 30분 후 시점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산소포화도는 비흡인-구인두흡인(t=10.589, p= .000)과 비흡인-구위흡인(t=6.399, p= .000)에서, 심박동수는 비흡인-구인두흡인(t=-6.250, p= .000), 비흡인-구위흡인(t=-7.415, p= .000)에서 차이를 보였다. 호흡수는 비흡인-구인두흡인(t=-4.711, p= .000)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산소포화도, 심박동수는 비흡인군과 흡인군 모두에서 신생아실 도착 30분 후 시점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호흡수에서는 같은 시점에서 비흡인과 구인두흡인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그 후에는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호흡수 모두 차이가 없어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안정됨을 알 수 있었다. 3. 신생아실 도착 시부터 출생 후 2시간 까지 30분 간격으로 흡인 종류에 따라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호흡수의 평균의 차이를 측정한 결과 흡인 시 시점에서 산소포화도(t=4.113, p= .000)에서 나타났으며, 심박동수와 호흡수에서는 모든 시점에서 차이가 없었다. 4. 흡인유무와 종류에 따른 구토 유무와 횟수 비교 시에 차이가 없었으며, 구토증상이 모든 신생아에게 나타나지 않았고, 흡인종류에 따른 흡인한 양 차이를 비교 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7.342, p= .000). 이상의 연구 결과로 건강한 신생아에게 반복하여 흡인을 적용할 경우 흡인종류와 상관없이 산소포화도를 감소시키며 심박동수와 호흡수를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고, 흡인을 하지 않아도 산소포화도나 활력징후가 안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건강한 신생아들에게 흡인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생아실에서의 상례적인 흡인은 피하고 흡인이 필요한 신생아에게 선택적인 흡인술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자는 건강한 신생아에 국한되므로 제왕절개 분만, 기타 고위험신생아를 포함한 신생아들의 흡인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Oronasopharyngeal suctioning by using a bulb syringe has traditionally been performed on newborns immediately after birth to assist in the initiation of respiration in the delivery room. Moreover, oropharyngeal or orogastric suctioning at the nursery have routinely been repeated as part of the initial care of newborns. However, numerous studies have reported oxygen desaturation, bradycardia, and apnea as side effects of suctioning; furthermore, healthy newborns who have not received a routine suctioning have not experienced any problems in their respiration and airway preservation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effect of routine suctioning at a nursery for healthy newborns who have undergone immediate oronasopharyngeal bulb suctioning after birth in a delivery room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ir oxygen saturation level, heart rate, respiration rate, the vomiting sign, and the number of instances of vomiting by using a pre-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Data were collected for 62 days from March 15, 2009 to May 15, 2009 at the nursery of a hospital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One hundred and forty newborns were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a no suction group, an oropharyngeal suction group, or a orogastric suction group.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WIN 15.0 program using ANOVA, cross tabulations and an independent 2-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oxygen saturation (F=506.211, p=.000), heart rate(F=83.544, p=.000), and respiration rate(F=10.978, p=.000) between the no suction group and suction groups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oropharyngeal suction group and the orogastric suction group. 2.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and respiration rate between the no suction group and the suction groups every 30minutes after newborns arrived at the nursery, there were the foll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30minutes of arrival: 1) the average of oxygen saturation between 1-1) the no suction group and the oropharyngeal suction group(t=10.589, p=.000), and 1-2) the no suction group and the orogastric suction group; 2) the average of heart rate between 2-1) the no suction group and the oropharyngeal suction group(t=6.250, p=.000), and 2-2) the no suction group and the orogastric suction group(t=7.415, p=.000), 3) the average of respiration rate between the no suction group and oropharyngeal suction group(t=4.711, p=.000).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of oxygen saturation between the suction groups(t=4.113, p=.000) at the moment of suctioning during observation while the average of the respiration rate and heart rat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sence of and number of instances of vomiting between 1) the no suction group and the suction groups, and 2) the oropharyngeal suction group and the orogastric suction group.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cretion amount of the suction between the oropharyngeal suction group and the orogastric suction group(t= 7.342, p= .000). In conclusion, routine suctioning resulted in decreasing oxygen saturation levels and increasing the heart and respiration rate regardless of the kind of suctioning. Stabilization of the oxygen saturation level and vital signs was also observed without suctioning. Therefore, to prevent healthy newborns from the side effect of suctioning, selective suctioning is recommended. Since this study is limited to suctioning which is performed on healthy newborns, I propose more studies on suctioning for newborns who are at high risk or are delivered by caesarean se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