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동열-
dc.contributor.author이연주-
dc.creator이연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2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8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22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user education model for medical libraries. This study consists of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a questionnaire survey. The literature review includes the concept of a medical library, its definition, its types and its user group analysis. The types of user education of medical libraries were also investigated. In order to grasp user education program of medical libraries, 10 medical libraries in Korea and U.S. were conducted homepage research and interview with librarians. Through case studies, elements of user education model for medical libraries were selected. First, user education program of each medical library divided into 4 sections: library use presentation, bibliographic i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other instruction. Bibliographic instruction contain medical information sources i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include investigation instruction, writing the report and reference instruction, evaluation instruction. other instruction contain documentation program instruction, research related software or equipment instruction, statistics program instruction, consultation & liaison, curriculum-based instruction. Except for similar type or unattainable element within the country, finally 4 sections 7 elements were chosen. Second, in order to come to an understanding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user education elements, a survey of user of medical libraries carried out. Thir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of factors, Cronbach's alpha analysis method was performed. Total user education model was verified to be very reliable, since the average reliability value of the factors was 0.898. Fourth, in order to verify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mportance of user education elements by each section and user's duty, Compare Means were performed. In section comparison, one of 29 user education elements, introduction of library structure and staff, is not suited. In user's duty comparison, common elements are presented, the residue of elemen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user's duty. In brief, because standard model of user education model is not exist, this study derive user education elements from internal and external medical libraries. User education model elements for the medical librarie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guideline for user education program. In the future, user education model elements for the medical libraries should be evaluated with librarians and users. In addition, study of standard user education model for the medical libraries constantly conducted.;전 세계의 병원이나 의학 관련 연구소에서는 많은 의학종사자들이 환자의 병을 치료하거나 의학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의학정보는 다른 분야의 정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정보회전율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는 의학도서관은 전문화 및 세분화 추세에 있다. 의학정보는 생명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므로 의학종사자들은 빠르고 믿을 수 있는 정보를 찾기를 원한다. 또한 의학정보의 특수성으로 인해 단행본에 비해 학술잡지의 이용률이 높아지고 있고, 정보기술의 발달로 학술잡지는 고가의 전자잡지 형태로 출판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의학종사자들이 적절한 의학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찾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 의학도서관 이용자교육이 필요하다. 최근 방대한 의학연구로 인해 개인의 노력으로는 의학지식의 발전을 따라가기 힘들기 때문에 의학정보를 선별하고 획득하여 환자에 적용시키는 근거중심의학(Evidence-Based Medicine, 이하 EBM)과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이하 PBL)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두 가지 모두 방대한 의학정보에서 환자에게 적합한 정보를 선별해낸다는 점에서 이용자교육의 목표와 일치한다. 현재 국내외의 많은 대학들은 이전의 오리엔테이션 개념의 이용자교육에서 벗어나서 지속적인 학습의 기회로써 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이용자교육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전문성, 특수성을 요구하는 의학도서관의 이용자교육에 관해서는 아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 의학 분야에서는 많은 정보원과 정보매체가 등장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의학, 치의학 및 보건과학도서관에서는 주로 검색기법에 대한 훈련에 치중하고 있고, 의학종사자들의 상황이나 정보요구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일괄적인 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국내 의학도서관 이용자교육 모형 개발에 필요한 요소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일반적인 이용자교육의 개념, 이용자교육의 현실, 이용자교육의 유형을 알아보았다. 그 후, 본 연구의 대상인 의학도서관의 정의 및 유형, 의학도서관의 이용자그룹에 대해 알아본 후, 의학도서관 이용자교육의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국내외 의학도서관 10곳의 사례를 통하여 의학도서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이용자교육을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의학도서관 이용자교육 모형에 필요한 항목을 선별하였다. 사례조사는 미국 의학도서관의 경우 면담조사 실시가 어려워 홈페이지 조사를 통해 실시되었고, 국내 의학도서관의 경우 홈페이지 조사 후 부족한 부분은 면담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우선 각 도서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을 도서관이용교육, 서지교육, 정보관리교육, 그 외 교육 등 4개 부문으로 나누었다. 도서관이용교육은 도서관 건물이나 서지 등에 대한 교육을 포함한다. 서지교육은 의학정보원교육을 포함하고, 정보관리교육은 탐색교육, 보고서의 작성과 인용 및 참고문헌 작성에 대한 교육, 정보평가교육 등을 포함하였다. 그 외 교육의 경우는 문서화프로그램교육, 연구관련 소프트웨어나 장비 교육, 통계프로그램교육, 상담․자문 및 리에종, 수업지원교육 등을 포함하였다. 비슷한 유형이거나 국내에서 시행이 어려운 요소를 제외하고 결과적으로 4개 부문 7개 요소로 이용자교육 과목 유형을 선정하였다. 셋째, 선별된 이용자교육 모형 요소의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해 의학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각 요소에 대한 중요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리커트식 5단계 척도로 평정하는 설문지 형식으로 직접 방문조사와 이메일을 통해 실시하였다. 200명의 이용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답변이 미흡한 6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128부(64%)가 회수되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모형 요소별 내적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 결과의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용자교육 모형 전체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크론바하 알파 값은 0.898로 매우 높은 신뢰수준을 나타내고 있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교육 모형의 세부사항에 대한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 결과를 가지고 각 세부사항별로 평균비교를 실시하였다. 중요도 분석 결과 29개의 세부사항 중 ‘도서관 건물, 시설 및 직원 구성에 대한 소개’가 이용자교육 세부사항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이용자교육 모형 요소의 이용자 직분에 따른 평균비교를 실시하여 공통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요소와 직분에 따라 다르게 제공할 수 있는 요소를 선별하였다. 전체 4개 부문 7개 요소 28개 세부사항 중 이용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교육은 도서관이용교육 부문 4가지, 서지교육 부문 1가지, 정보관리교육 부분 9가지, 그 외 교육 부문 8가지이다. 도서관이용교육 부문의 4가지 세부사항은 ‘도서관 투어’,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자료 및 서비스 이용에 대한 소개’, ‘홈페이지 및 소장 자료 검색 시스템에 대한 소개’와 ‘교외에서의 도서관 이용에 대한 안내’이다. 서지교육 부문의 의학정보원교육 요소에는 ‘각 의학 관련 DB에 대한 설명과 이용법 제공’이라는 세부사항이 포함된다. 정보관리교육 부문의 탐색교육 요소의 5가지 세부사항은 ‘전자저널 활용법’, ‘최신 정보 입수법’, ‘국내외 의학전문정보 제공 웹사이트 소개 및 이용법’, ‘비법학인을 위한 법률정보 탐색’과 ‘특허 관련 정보 탐색’이다. 정보관리교육 부문의 보고서의 작성과 인용 및 참고문헌 작성에 대한 교육 요소의 4가지 세부사항은 ‘서지관리프로그램교육’, ‘논문제출 및 표절분석보고서 이용방법에 관한 교육’, ‘해당 학교의 학위논문 작성에 관한 교육’과 ‘투고 학술지 정보 및 투고 규정 제공에 관한 교육’이다. 그 외 교육 부문의 문서화프로그램교육 요소의 7가지 세부사항은 모두 연구보고서와 논문 작성 등에 필요한 요소이므로 공통 요소에 포함시켰지만 의학 분야의 특성 상 가장 중요시 되는 프로그램은 ‘MS-Excel’, ‘MS-Power Point’와 ‘Adobe Photoshop’이다. 그 외 교육 부문의 통계프로그램교육 요소에는 ‘의학 관련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통계프로그램 교육’이 포함된다. 다른 세부사항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거나 각 직분별 평균 비교를 통해 직분들 사이에 평균 차이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는 요소를 직분별 요소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교수 직분에는 ‘국내외학회정보검색법’, ‘PBL에 도움이 되는 DB소개 및 이용법’, ‘EBM에 도움이 되는 DB소개 및 이용법’, ‘통계 관련 정보’, ‘연구비지원 관련 정보’에 대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인턴․레지던트 및 간호사 직분에는 ‘국내외학회정보검색법’, ‘EBM에 도움이 되는 DB소개 및 이용법’에 대한 교육을, 의대․치대․간호대 학생 직분에는 ‘PBL에 도움이 되는 DB소개 및 이용법’에 대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의대․치대 기초과학 대학원생 및 보건과학 대학원생, 박사후과정생 직분에는 ‘국내외학회정보검색법’, ‘각 기관에서 지원하고 있는 연구 관련 소프트웨어나 장비 교육’에 대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의학도서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이용자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필요한 요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용자교육에 대한 표준 모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대표적인 의학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프로그램 요소를 도출하고, 도출된 요소를 바탕으로 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중요도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모형 요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제시한 이용자교육 모형 요소들은 각 도서관에서 이용자교육 프로그램 계획 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개별 도서관의 성격과 특성 등을 고려하여 자관의 실정에 맞는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이며, 타도서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른 이용자교육과 비교하여 부족한 프로그램을 시행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 3 C. 선행연구 = 7 Ⅱ. 의학도서관 이용자교육 = 16 A. 이용자교육의 정의 및 유형 = 16 B. 의학도서관의 정의 및 이용자 분석 = 22 C. 의학도서관 이용자교육의 필요성 및 유형 = 29 Ⅲ. 의학도서관 이용자교육 사례분석 = 38 A. 국내 의학도서관 이용자교육 사례 = 38 B. 미국 의학도서관 이용자교육 사례 = 52 C. 국내외 사례분석 및 문제점 = 67 Ⅳ. 의학도서관 이용자교육 모형 설계 = 73 A. 이용자교육 모형 설계 과정 = 73 B. 이용자교육 모형 요소 중요도 조사 및 직분별 분석 = 76 C. 이용자교육 모형 제시 = 89 Ⅴ. 결론 = 94 참고문헌 = 99 부록 1: 국내 연구 대상 의학도서관 = 103 부록 2: 면담지(사서용) = 106 부록 3: 설문지(이용자용) = 115 ABSTRACT = 12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650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의학도서관 이용자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ser Education Model for Medical Libraries-
dc.creator.othernameLee, Yeon Joo-
dc.format.pagexi,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