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宗廟祭禮樂의 해금선율과 악장선율의 비교

Title
宗廟祭禮樂의 해금선율과 악장선율의 비교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Haegum and Chapter Melody in Jongmyojaeyryaak: Focusing on the current composition of Jongmyodaejae
Authors
정희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운조
Abstract
The Jongmyojeryeak, called simply Jongmyoak, refers to a music played using dance, song, and musical instruments when the sacrifice is offered at the shrine(Jongmyo) where the ancestral tablets of past Kings and their wives of Chosun Dynasty are prayed. The Jongmyoakjang is a song sung at each procedure of Jongmyojerye ceremony and has contents of praising of ancestors' virtuous deeds, mainly based on the music Botaepyeong and Jeongdaeeop. This accompanies with the Munmuin Botaepyeongjimu (admiring the academic virtues of past Kings) and Mumuin Jeongdaeeopjimu (praising the military achievements of past Kings). The Jongmyojeryeak was created in the 29th year of King Saejong (1447)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being used in Kungjunghoeryeyeon(part in palace) and was revised in the 10th year of King Saejo (1464) appropriately for sacrifice and this type has been transmitted up to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Haegum melody and chapter melody in Jongmyojaeyryaak and it was found that the Jongmyojeryeak is consisted of seven major melodic type as a whole of composition; three ones(A, B, C) making up the characteristics of melody and rhythm, three ones(D, E, F) playing important role in the connection of composition, and a melodic type (G) used for termination. For the Botaepyeong, a total of 159 melodic types were obtained and it was foun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melodic type was E(27.7%), followed by F(24.5%) and A(22%), indicating that those three melodic types(74.2%) have been playing the role of unifying the structure of composition For the Jeongdaeeop, a total of 67 melodic types were obtained and it was foun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melodic type was D(43.3%), followed by E and F(24.5%,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ose three melodic types(67.1%) have been playing the role of unifying the structure of composition. The different results between Botaepyeong and Jungdaeeop reflect the difference between two music. It was consider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Botaepyeong is kept by using melodic type A with E and F whereas the melodic type D has been plying important role in keeping the characteristic of Jeongdaeeop.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melodic type in sum of two compositions was melodic type E(23%) and followed by F(20.8%) and D(20.0%). Considering that the melodic type A, B, and C were to make up the characteristics of composition, and D, E, and F were to play important role in the connection and maintenance of composition, the fact that the most frequently mused melodic types are D, E, F(63.8) indicates that there is a reasonable balance between the elements of maintaining characteristic and of making up basis. The results of comparable analysis of the Jongmyojeryeak showed that the Botaepyeong is played by alternation of melody-centered melodic type A and rhythm-centered melodic type B and thus has simpler compositional structure compared to Jeongdaeeop, whereas that Jeongdaeeop has complex structure such as augmentation and diminution of rhythm, thus has possibility of developmental processing to a polyphonic composition.;종묘제례악은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사당(종묘)에서 제사(종묘제례)를 지낼 때 무용과 노래와 악기를 사용하여 연주하는 음악을 가리키며, '종묘악' 이라고도 한다. 종묘제례의식의 각 절차마다 보태평과 정대업이라는 음악을 중심으로 조상의 공덕을 찬양하는 내용의 종묘악장 이라는 노래를 부른다. 종묘제례악이 연주되는 동안, 문무인 보태평지무(선왕들의 문덕을 칭송)와 무무인 정대업지무(선왕들의 무공을 찬양)가 곁들여진다. 종묘제례악은 본래 세종 29년(1447) 궁중회례연에 사용하기 위해 창작하였으며 세조 10년(1464) 제사에 적합하게 고친 후 지금까지 전승되고 있다. 본고는 종묘제례악의 해금 선율과 악장 선율을 비교하여 연구한 결과 종묘제례악은 악곡 전체를 통일하는 7개의 주요 음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7개의 음형은 선율과 리듬의 특징을 구성하는 음형-A, B, C와 음악의 연결에 큰 역할을 하는 음형-D, E, F, 종지인 음형-G로 구분하였다. 보태평의 경우 전체 산출된 음형 159개 중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음형은 음형-E로서 27.7%를 점유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음형-F와 A가 24.5%, 22%로서 세 가지 음형 합계가 74.2%로 보태평 악곡을 구조적으로 통일 시키는 역할을 했다. 정대업의 경우 전체 산출된 음형 67개 중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음형은 음형-D로서 43.3%를 점유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음형-E와 F가 동일하게 11.9%로서 세 가지 음형 합계가 67.1%로 정대업 악곡을 구조적으로 통일 시키는 역할을 했다.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보태평과 정대업에서 다른 통계가 나온 것은 두 악곡의 차이점을 반영하는 것이다. 보태평이 음형-A를 중심으로 음형-E, F를 사용하여 음악의 특성을 유지한다면, 정대업은 음형-D가 악곡의 특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두 악곡을 합하여 가장 많이 사용된 음형 세 가지는 음형-E가 23%로 가장 높았고, 음형-F의 경우 전체 20.8%, 음형-D가 20%를 점유하였다. 음형을 분류할 때 음형-A, B, C는 음악의 특징을 만드는 음형을 중심으로 선정했고, 음형-D, E, F는 음악을 연결하고 유지시키는 바탕을 구성하는 음형으로 선정했다. 이 경우 D, E, F가 63.8%를 점유하는 것은 음악의 특징적인 요소와 바탕을 만드는 요소가 적절히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나타낸다. 비교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정대업과 보태평으로 구성된 종묘제례악 중에서 보태평은 선율선 중심의 음형-A와 리듬 중심의 음형-B가 교차로 연주되면서 음악적인 구조는 정대업 보다 단순한 구조를 가진 반면 정대업은 리듬의 축소-확대 등 다성 음악으로 발전할 수 있는 복잡한 구조를 갖춘 것으로 분석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