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기숙-
dc.contributor.author구정아-
dc.creator구정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1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3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8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33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 연령과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라 가정문식환경과 유아의 문식성 발달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가정문식환경과 유아의 문식성 발달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가정문식환경은 어떠한가? 1-1. 유아의 전반적인 가정문식환경은 어떠한가? 1-2. 유아의 가정문식환경은 유아 연령, 어머니 취업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문식성 발달은 어떠한가? 2-1. 유아의 전반적인 문식성 발달은 어떠한가? 2-2. 유아의 문식성 발달은 유아 연령, 어머니 취업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가정문식환경과 유아의 문식성 발달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100명과 그들의 어머니 100명이다. Morrow(1997)의 Guidelines for Promoting Early Literacy at Home 도구를 황현이(2005)가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연구대상 유아의 어머니 100명에게 배포․수거하여 가정문식환경을 조사했다. 유아의 문식성은 어휘력, 상위언어능력, 읽기 동기로 구분하여 살펴봤는데, 어휘력은 Dunn과 Dunn(1981)의 Peabody Literacy Environment index(PPVT-R)의 문항을 기초로 김영태,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1995)이 표준화한 그림 어휘력 검사를 이용했고, 상위언어능력은 Ricciardelli(1993)의 form-meaning judgement task, word renaming task, grammar judgement task 문항을 한유미(1998)가 수정・보완한 상위언어능력 한글판 검사도구를 사용했다. 그리고 읽기 동기는 Wigfield와 Guthrie(1997)의 The Motivation for Reading Questionnaire(MRQ)를 민광미, 현정희, 이지현(2008)이 수정・번안한 도구를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과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 검정 및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여 분석했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가정문식환경은 전반적으로 양호했다. 유아의 가정문식환경 중 문식 학습에 대한 부모의 관심과 지원이 가장 점수가 높았고, 문식 학습에 대한 정서적 지지, 가정문식자료, 가정문식활동 순이었다. 문식 학습에 대한 부모의 관심과 지원은 높은 데 비해 가정문식활동은 상대적으로 적게 행해지고 있었다. 둘째, 가정문식환경은 유아 연령과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라 가정문식환경에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는 부모와 자녀가 함께 보내는 시간의 양보다는 질이 유아의 문식성 발달에 결정적인 요소임을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아의 어휘력은 실제 생활연령 수준보다 1년 더 높은 수준으로 측정되어, 매우 뛰어난 수준을 보였다. 유아의 상위언어능력은 부분적으로만 드러났다. 상위언어능력 중 음운자각과 단어자각 점수에 비해 통사자각 점수가 낮게 나타나, 통사자각 발달이 상대적으로 더딤을 알 수 있었다. 유아의 읽기 동기는 전반적으로 수준이 높았고, 외재적 동기보다 내재적 동기가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유아 연령에 따른 문식성 발달을 살펴본 결과, 어휘력은 만 4세 유아보다 만 5세 유아가 더 풍부한 어휘를 지닌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상위언어능력과 읽기 동기는 유아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른 문식성 발달을 살펴본 결과, 어휘력은 취업모를 둔 유아가 미취업모의 유아보다 더 풍부한 어휘를 보였다. 상위언어능력과 읽기 동기는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유아의 가정문식환경과 문식성 발달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가정문식환경이 우수할수록 어휘력, 상위언어능력, 읽기 동기 등 유아의 문식성 발달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정문식환경의 하위 영역 중 가정문식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상위언어능력, 읽기 동기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This study intends to inspect difference in the home literacy environs &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ccording to child's age & their mother's employment, and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home literacy environs & children's emergent literacy. The research topics are like followings. 1. How is young children's home literacy environs? 1-1. How is the general home literacy environs of young children? 1-2. Is there difference in children's home literacy environs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ren, whether their mother is employed or not? 2. How is the children's emergent literacy? 2-1. How is the general children's emergent literacy? 2-2. Is there difference in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ren, whether their mother is employed or not? 3. How is the relation between the home literacy environs & children's emergent literacy? This study was done for 100 young children in 4, 5 years old attending a kindergarten located at Daejeon Metropolitan City including their 100 mothers. In order to examine the home literacy environs, as for the research tool, questionnaire corrected․complemented by Hyeon-I Hwang(2005) was used, which comes from Guidelines for Promoting Early Literacy at Home of Morrow(1997). And, in order to inspect children's emergent literacy, research was done using Picture Vocabulary Test, Meta-linguistic Ability Test & Reading Motivation Test. To analyz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of Pearson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research results are like followings. First, as the total marks of the home literacy environs indicated above medium level, home literacy environs of children were satisfactory in general. However, it shows that literacy activities are relatively few compared with many concerns & supports of parents for the literacy learning. Second, as the result of inspecting home literacy environs according to children's age & their mother's employme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home literacy environs according to those above. Third, vocabulary of children was measured as the one year-higher level compared with real chronological age so it was regarded as the superior level. Reading motivation of children was higher generally. Meta-linguistic ability was shown to be partial. Fourth, it was shown that 5-year-old children have more abundant vocabularies than 4-year-olds. The higher age is, the higher meta-linguistic ability appears in general, but it'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and as for reading motivation of children, there'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curiosity of intrinsic motivation. In other words, for 4 & 5 year olds, it means there's no big difference in reading motivation. In the mean time, it was shown that children having mom employed have higher level of vocabulary than those having mom unemployed. There's no big difference in meta-linguistic ability & reading motivation according to employment of mother. Fifth, as the result of inspecting the home literacy environs & children's emergent literacy, it was shown that literacy development is done better including vocabulary, meta-linguistic ability & reading motivation as home literacy environs is bett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가정문식환경 = 5 B. 유아의 문식성 발달 = 7 C. 가정문식환경과 유아의 문식성 발달 = 14 Ⅲ. 연구방법 = 16 A. 연구대상 = 16 B. 연구도구 = 17 C. 연구절차 = 20 1. 예비연구 = 20 2. 본 연구 = 20 D. 자료분석 = 21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22 A. 유아의 가정문식환경 = 22 1. 유아의 전반적인 가정문식환경 = 22 2. 유아 연령, 어머니 취업 여부에 따른 가정문식환경 = 23 B. 유아의 문식성 발달 = 25 1. 유아의 전반적인 문식성 발달 = 25 2. 유아 연령, 어머니 취업 여부에 따른 유아 문식성 발달 = 27 C. 가정문식환경과 유아의 문식성 발달간의 관계 = 33 Ⅴ. 논의 및 결론 = 35 A. 논의 = 35 B. 결론 = 42 참고문헌 = 45 부록 - 1 가정문식환경 질문지 = 49 부록 - 2 유아의 문식성 발달 평가지 = 57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21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정문식환경과 유아의 문식성 발달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ⅶ,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