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묘경-
dc.creator전묘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1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3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6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309-
dc.description.abstract삶은 유동하는 세계 속에 자신을 세우는 과정이다. 누가 대신하여 ‘나’를 살아 줄 수 없다. 그러면서도 ‘인간’은 나 이외에 타인의 존재 없이는 진정한 나를 발견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주체성과 함께 타자성을 가져야 한다. 인간은 세계-내-존재로서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의 관련을 통해서 스스로를 형성하는 존재이며 이런 뜻에서 사람은 나면서부터 ‘사람임’이 아니고 그의 삶을 통해서 사람이 되는 것이다. 한편, 인간은 다른 동물과는 달리 이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교육의 가능성을 말해준다. 이에 인간의 가능태를 현실태로 이끌어 내어야 하는 교육은 주체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함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인간이 이성을 가지며 주체성과 함께 타자성이 전제되어야만 자신에 대한 인식과 그를 토대로 한 삶이 가능하다면 교육은 자신에 대한 인식과 함께 주체적으로 사고하며 타인을 배려하는 인간으로 성장함을 도와야 하며 또한 이러한 삶의 과정에서 자신이 소외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 것은 명백하다. 교육이 삶의 과정에서 함께 하며 ‘인간다운 인간’의 형성에 목적이 있다면 자신을 소외시키는 교육은 지양되어야 한다. 삶은 행복을 추구하며 자신으로부터 소외된 인간은 결코 행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타인과도 진정 만날 수 없기 때문이다. 진정한 자아실현을 위한 교육은 자아존중을 바탕으로 한 자아인식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교육 현실은 자신을 존중하고 자기 인식을 확장하기에는 제도상․내용상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무엇보다 ‘생각할 수 있는 여유’를 주지 못하는 주입식 교육형태는 반항적이거나 수동적인 인간만을 양성하였다. 이러한 속에서 80년대 초, 암기․지식․입시 위주에 편중된 교육방식에서 벗어나고 교육의 인간화와 전인교육을 실현하고자 고등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자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그러나 근본적인 치유책이 없이 임시방편적으로 이루어진 철학교육은 그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 교육의 근본이 개인의 가능성을 이끌어 내어 자아실현을 돕는 데에 있으며 철학교육의 목적이 그를 위한 개인의 주체적인 사고력의 형성에 있는 데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교육은 지적인 측면과 정의적인 측면에서 모두 많은 문제를 낳았다. 사람들은 생각하기를 싫어하며 스스로에게서 소외되고 있는 것이다. 고등교육에서부터 실시하는 철학교육은 이미 사고하는 성향을 잃어버린 피교육자에게 흥미를 주지 못하여 이에 어려서부터 사고하는 성향을 키워야 하는 근거가 있다. 어린이는 철학자의 초심자적 태도를 가지고 기본적이며 근원적인 물음을 던지곤 한다. 사고하는 성향이 어린이에게서 발견되어진다면 교육의 본래적 측면에서 이를 이끌어 내어주기 위한 계획을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사고를 함에 있어서 그것이 실천으로까지 연결되지 못한다면 이론과 실천을 통합하여야 하는 철학교육의 의미를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주체적인 인간을 길러내는 철학교육이 지향하여야 할 근본적인 목표로서 사고가 행위로 더욱 의미있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심리적 요인으로서 자아존중감이 필요하다. 자아존중감은 자기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차원으로써 소속감, 능력감, 가치감을 그 영역으로 한다. 또한 자신에게 중요한 타인에 의해 인정되고 존중되는 분위기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논자가 제시한 근본적인 철학교육의 목표로서 자아존중감을 함양하기 위해서 그에 맞는 방법을 고찰함에 있어 탐구공동체 모형을 제시하였다. 철학 교육의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은 논박과 산파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대화 상대자에게 앎에 이르게 하는 방법으로서의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이는 보편적 진리관에 입각한 교사중심의 대화라는 점에서 자아존중감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비해 탐구 공동체 모형은 집단 안에서 배려적 사고를 기반으로 하여 서로간에 존중과 수용의 분위기로 개인의 자아존중감을 함양시킬 수 있는 모형이며 이는 철학교육이 지향하여야 할 사고와 행위가 통합된 건강하고 주체적인 인간의 양성에 적절하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철학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근본적인 목표로서 자아존중감을 제시하였다. 자아존중감과 사고력의 형성은 어려서부터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하며 자신의 경험 속에서 의미를 발견하며 주체적으로 사고하고 행위할 수 있는 삶에의 발판을 마련해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모든 어린이가 진정한 의미에서 자신을 존중하고 그를 기반으로 타인에 대한 진실한 사랑과 더불어 삶에의 사랑을 잃지 않도록 하여야 하겠다. 본 논문은 철학교육이 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서는 시선의 전환 즉 개인이 내부에로 눈을 돌려야 함을 말하고자 하였으며, 사고와 감성이 이원화되지 않고 하나되어 합리적이고 진실한 행위로 이어지는 통합적인 철학교육을 지향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어릴 때 부터의 ‘인간’을 존중하고 사고하는 능력을 밟지 않으며 자아존중감을 길러야 함을 논의하였다.;The fundamental problem inherent in our education yielding several side effects lies in knowledge-centered education based on universalism, which is inappropriate for bringing up wholesome human being carrying thinking and emotion into action. Therefore, this study discuss desirable Teaching Philosophy for the early childhood from a fundamental position that education should be transformed into human-centered education by restoring its original mean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intend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education and Teaching Philosophy currently enforces in Korea and to printout the importance of Teaching Philosophy. And it suggest that for Teaching Philosophy to have efficiency, Teaching Philosophy should be provided in educational institutions more than elementary school for short time but children the potentiality of adults should strive to live a happy life by thinking in their experiences, cultivating the ability to discover the meaning of an object and growing up humanely be mature adults. Growing up humanely means allowing children to a subjective thinking power children need to cultivate self-esteem as the agency to translate subjective thinking into subjective action. Saying that philosophy is practical science, it is important especially in teaching philosophy to integrate knowledge and practice. Self-esteem is synonymously referred to as self-conviction, self-reinforcement, self-image, self-concept, self-consciousness and so on in broad sense and means that an individual evaluates him/her-self as a positive concept. It can be seen that when a person behaves himself, he decides the direction of behavior. Therefore, it can be said to play a catalitic role of behavior. This self-esteem is a persistent individual judgement and is not an inborn trait but an acquired trait. In this sense, it is desirable to change self-esteem through a special educational method and measure that fosters a sound self-concept from childhood. The ability to form subjective self and find its meaning, presented as one of the objectives of teaching philosophy by previous studies, can not be achieved unless it is premised on self-esteem. In this respect, this study propose that the fundamental objective of Teaching Philosophy oriented to humanization is to cultivated self-esteem. This study attempt to investigate the "Socratic method" that is generally used as the method of Teaching Philosophy for providing children with Teaching Philosophy as the method to make such a method possible is important. And it mention that the "Community of Inquiry" model is effective as the method of Teaching Philosophy to cultivate self-esteem. The community of inquiry model is the method of Teaching Philosophy appropriate for cultivating self-esteem based on considerate thinking and allows children to enhance susceptibility to others based on self-esteem and cultivate quality and morality as democratic citizen through experience in discussion. If the human being is an existence that call 'I' into question education aimed at eliciting man's ability should assist children in expanding self-cognition and self-realization. This is consistent with education of philosophy aimed at "doing philosophy" subjectively in life, not knowledge-centered education. Subjective life based on self-consciousness is possible when it is premised on self-esteem that becomes the agent of thinking and action, where there is the importance of self-esteem when subjective self-formation integrating knowledge and action is the purpose of Teaching Philosophy,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elf-esteem through more primary Teaching Philosophy to educatee. Therefore the formation of self-esteem can be said to be the fundamental objective of Teaching Philosophy and if can be cultivated by having experience of dialog in "Community of Inqui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인간과 교육 8 1. 교육의 개념 8 2. 인간 11 3. 인간과 교육 13 4. 철학교육의 의의 15 III. 조기 철학 교육 20 1. 조기철학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20 1) 한국의 초등교육과 철학교육 20 2) 조기 철학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23 (1) 조기 철학교육의 필요성 23 (2) 조기 철학교육의 목적 28 2. 조기 철학교육의 가능근거 32 1) 조기 철학교육에 대한 부정적 시각 32 2) 철학과 어린이의 특성 34 3) 피아제(J. Piajet)의 발달 심리학의 오류 38 3. 조기 철학교육의 실제 44 1) 한국의 사례 44 2) 외국의 사례 - 미국의 IAPC 45 IV. 조기 철학교육 방법론과 자아존중감 함양 47 1. 전통적 철학교육 방법론 47 1) 소크라테스식 문답법 47 2) 소크라테스식 문답법의 한계 50 2. 조기 철학교육과 어린이 자아존중감 52 1) 어린이와 자아존중감 53 2) 자아존중감에 대한 이해 54 3. 탐구공동체(Community of Inquiry) 모형 60 1) 어린이 철학교육의 방법론 60 2) 탐구공동체 철학수업과 자아존중감 66 V. 결론 71 참고문헌 74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967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자아존중감을 통한 조기 철학교육-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탐구공동체'와 '자아'개념을 중심으로-
dc.format.pageii, 8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철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철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