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0 Download: 0

금융보험업의 세계화와 여성노동 이미지의 정치경제학

Title
금융보험업의 세계화와 여성노동 이미지의 정치경제학
Authors
윤경자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노동시장에서의 여성 지위의 구성과, 문화적 체계로서의 이미지와의 관련성을 밝혀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결혼한 여성을 호명하는 언어로서 ‘아줌마’ 이미지에 대한 연구를 시도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사회에서 대표적인 ‘아줌마 부대’로서 호명되고 있는 여성 보험설계사 조직이다. 글로벌 경제하에서 보험 산업 세계화는 보험판매 조직을 새로운 구조로 만들지만, 이 과정은 성별성을 재조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계화시기에 특정 산업이 재편되는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변화하는 역사적 시기에 여성의 지위가 구성되는 방식을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하에서 본 연구는 한국 보험 산업의 성장 과정을 추적하고자 했다. 연구의 주된 방법으로는 면접법을 통한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보험설계사 여성들과의 면접을 통해, 어떻게 보험 판매노동 양식이 회사의 일상적 관리 구조에 의해 구성되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 보험 산업의 성장은 국가 주도적 근대화 프로젝트 하에서 ‘회사 규모 확대’ 전략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보험 아줌마 부대’는 근대 산업화 과정에서 작동하는 미시적 권력 구조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연구사례에서 보험 판매노동은 회사의 영업 전략과 관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 일상은 회사가 기획한 프로그램에 의해 감독되었다. 보험사의 구조는 ‘우리’라는 말로써 한 가족을 표방하지만 회사구조의 위계적 권력관계는 여성 판매조직의 일상을 규율하는 힘을 갖는다. 생명보험 산업의 근대화 과정에서 생성된 ‘보험 아줌마’ 이미지는 세계화 시기 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요소로서 작동하게 된다. 금융자본주의의 확산은 서비스 영역에서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소비자본주의하에서 소비는 하나의 기호이자 취향이 된다. 여기서 서비스는 하나의 상품으로서의 지위를 갖게 된다. 금융 산업의 하나로서 보험 산업은 서비스의 질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을 갖게 되었고, 보험업을 지식기반 산업으로서 위치시키기 위한 노력을 시작하고 있다. 이렇듯 변화를 요구받고 있는 노동과정은 새로운 노동주체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 지점에서 근대화 과정에서 형성된 아줌마 이미지는 그들이 주변화 되어야 할 정당한 근거로서 작동하게 된다. 이제 보험 산업은 ‘재무 설계사’라는 새로운 노동주체를 만들어 내고 있다. 그들은 금융에 관한 다양한 지식을 근거로 보험을 금융상품의 하나로 만들면서 새로운 판매양식을 구축하고 있다. 그런데 새로운 노동주체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사람의 조건은 현 시기 한국 사회가 중요하게 여기는 자원을 갖고 있는 사람이다. 그들은 대부분 남성들로서 ‘학벌’, ‘인맥’ 등의 자원을 가지고 있다. 학벌과 인맥과 판매노동자로서의 남성에 대한 신뢰는 여성 노동력과의 차별성을 만들면서, 지식노동자로서의 이미지를 형성한다. 보험 산업의 성장을 위한 경제적 기반이 조성되지 않은 조건에서의 성장전략은 필연적으로 모순을 내재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성장과정에서 형성된 보험 산업의 모순은 보험 판매를 담당했던 여성설계사들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로 전가되었다. 그리고 세계6위의 시장으로 성장한 한국 보험 산업에서 여성 노동력이 구축했던 생산성은 아줌마 부대라는 부정적 이미지에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었다. 이것은 보험아줌마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형성이 보험 산업성장 과정의 모순으로부터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은폐하고, 반대로 보험아줌마들의 잘못된 노동관행에 의해 보험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형성된 것으로 만들어 버린다. 결론적으로 여성보험 설계사들은 압축적 성장을 위한 보험사의 영업전략 수행과정에서 가장 큰 공헌자였지만, 그러한 생산성의 수립과정에서 만들어진 보험아줌마 이미지는 세계화라는 변화의 시기에 여성을 퇴출의 대상으로 만들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사례는 여성 집단을 재현하는 이미지가 사회 문화적 구조 하에서 구성되고, 그렇게 구성된 이미지가 특정한 시기에 구체적으로 여성지위 형성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우리의 일상을 구성하고 있는 문화가 단지 관념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 체계 안에서 구성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여성 삶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적 작용을 하는 것임을 보여주고자 했다.;This thesis started with the object of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position and their image as a cultural system in the labor market. Research was dome on the image of married women, who are labelled "azoomma". The main subject of this research is concerning 'women insurance planner' in the Korean society being called "the azoomma force." Under the global economy, the globalization of insurance industry becomes gender-based rule definitions with constructing the new selling organization. Along with thi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appening, this study seeks to examine how to construct women's position under the changing history. For this purpose research was accumulated on Korean insurance industry growth aspect. Collected data through interviews and the qualitative method were used. Through women insurance planners interviews, the management structure of insurance companies selling style was looked at. The growth of korean insurance companies came true through "the business's enlargement strategy". For modern industrialization, the insurance azoomma force has been formed by microscopic power structure which was working the course of modern industrialization. In the research cases insurance selling work was thoroughly related to marketing strategy. In the business their everyday interaction was supervised by planned programs. In an insurance companies structure, the term of "we" means one family, but the meaning works as a hierarchical power that supervises their everyday lives. Insurance industry's globalization has been influenced by the image of "Insurance azoomma"and has also influenced downsizing as an acting principle. Financial capitalism's diffusion has a effect on the service domain. Under the capitalism consumption has become a sign and a style. Right here service becomes one of the products. The Insurance industry is needed the development of the quality in the service. Effort has been made to make Insurance companies stand as knowledged-based business's. New labor subjects are necessary in the labor process where new change is asked rapidly. At this point, with modernization, the "azoomma" image was automatically formed. Now Insurance companies are making new labor subjects. They have addressed a new selling method in the origin of various knowledge and about finances. But as new labor subjects in Korean society they hold the needed. As selling workers men's education and personal relation. As selling workers men's education and personal relations create a gender difference and form images of informed laborers. Because economic foundations were not formed for insurance companies, the growth strategy's necessity was contradictory. A negative image about women planners was passed on because of contradictory growth factors. However because Korea's insurance companies being 6th in the world, the bad image of azoomma's was not seen. The formed bad image about the insurance azoomma was concealed by the new insurance companies growth contradi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insurance azoomma's negative image was formed owing to their labor faults. In conclusion even though women insurance planners were the biggest contributors for the compressed growth in business strategy, the new image of the insurance azoomma made them get out of their labor market. This research case shows the process that the women's representation is constructed under the society and cultural structure, and constructed image has a effect on women's position concretely during the specific period. This study reveals that culture is not only mental thing but also material base which is able to influence women's li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