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4 Download: 0

여중고생의 화장(化粧)에 관한 연구

Title
여중고생의 화장(化粧)에 관한 연구
Authors
전보경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화장품시장에서 중요한 소비자층으로 자리잡고 있는 여중고생의 화장에 대해 실증적인 분석을 함으로써 청소년의 화장문화에 대한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연구방법은 화장에 대한 선행연구, 신문, 잡지, 청소년잡지, 인터넷 등의 청소년관련기사, 미용관련기사, 여중고생과의 면접, 화장품 업계 종사자와의 면담 및 제공자료 등을 참조하여 우선 인터넷과 디지털 매체에 익숙한 N세대의 개념을 정의하고 N세대 등장의 사회 문화적 배경과 여중고생의 특성, 현대소비문화ㅏ에서의 영향력 등을 고찰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작성한 설문지조사를 통해 여중고생의 화장의식, 화장품 사용, 화장품 구매에 관해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다. 여중고생은 특유의 구정효과와 구매결정력을 가지고 있으며 능동적, 합리적 소비생활을 하는 한편 소비행동 자체를 문화생활의 일부로 받아들인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이들을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는 새로운 핵심소비층으로 주목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개성이 뚜렷하고 유행과 변화, 혁신을 선도하는 감성세대로서 참여자적 성경을 가지는 능동적 소비자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친구와 동조, 캐릭터 및 스타와의 동일시를 나타내며 나아가서 ‘우리만을 위한 ’ 제품이나 공간을 통해 그들만의 문화를 창조하려는 또래결속성의 특징을 보인다. 문석결과 여중고생의 화방은 학년, 계열, 학군, 거주지 등의 인구통계학적변인과 머리염색, 선호하는 화장이미지 등의 자체변인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서울시내 여중고생들은 화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 화장 및 화장품에 대한 지식이 상당하며 집지나 TV를 통해 정보를 많이 얻고 있다. 선호하는 화장이미지는 ‘청순하고 여성적인 이미지’가 가장 많았으며 외출복 착용스타일은 ‘스포티하고 캐주얼한 의복스타일’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서 여중고생들에게 있어서 화장이미지와 의복스타일에 대한 선호는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기초화장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조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다. 현재 밀크로션은 연구대상자의 82%, 스킨은 75% 이상이 사용한다고 답해서 대부분의 여중고생이 기초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화장품의 경우 화장정도가 비교적 약하게 드러나는 립글로즈와 파우더를 각각 68%와 51%이상의 여중고생이 사용한다고 답했다. 또 매니큐어 30%, 클린징폼 27%, 마스카라 23%, 아이새도 22%, 메이크업베이스 22%, 아이브로 21% 등으로 사용용도가 높았으며 그 외의 화장품도 다양한 제품에 걸쳐 사용도가 나타나 예상외로 화장품사용이 여중고생들에게 제품군에서 보여지고 있어 이미 청소년이 화장품 소비자층이 되었고 화장을 처음 시작하는 시기도 점차 빨라지고 있음을 증명했다. 최근 여중고생들의 화장한 모습을 보면 파우더로 번들거리지 않게 피부표현을 하고 립글로즈와 마스카라, 연한 아이새도를 바른 바로 화장법을 볼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 조사한 ‘현제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 순위와 그대로 일치하며 일부 학생들에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많은 학생들이 이러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입한 적이 있는 기초화장품 브랜드로는 한국존슨&존슨의 ‘클린앤클리어’와 ‘존슨즈베이비’, 보령메디앙스의 ‘지에닉’이 상위를 차지했으며 구매한 적이 있는 색조화장품 브랜드는 기초화장품에 비해 구매율이 몇 브랜드에 편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있는 특징을 보이는 가운데 에뛰드의 ‘에뛰드’, 한국존슨&존슨의 ‘클린앤클리어’, 태평양의 ‘라네즈’가 상위를 차지했다. 여중고생의 화장품 구매는 충동구매양상을 띠고 있지만 구매 전에 미리 브랜드를 정하는 비율이 높다. 그리고 본인이 직접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며 구매시 피부적합성, 품질, 색상 등을 고려한다. 구매처로는 시대 중대형 화장품할인매장이 47%로 가장 많이 이용되며, 화장품구매처를 선택할 때 중학생은 제품의 다양성, 고등학생은 가격을 가장 고려한다. 수입화장품 사용경험은 48.5%로 성인에 비해 많진 않으나 수입화장품에 대한 선호도는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간이 본 연구는 화장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가 여대생이나 전체 화장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급속히 세분화되고 있는 화장품소비시장에 부응하지 못한 경향을 벗어나서, 여중고생의 감성화와 표현주의로 그들의 사고와 문화가 변하고 화장에 대한 관심과 화장연령이 점차 낮아지는 추세에 따라 여중고생의 화장문화를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청소년의 화장문화에 대한 세부자료 및 업계에 화장품시장의 방향성을 보여주는 기초자료로 제공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useful to adolescents' cosmetic culture by investigating and analysing the choices made by female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who have been becoming principle consumers of cosmetics these days. The method used to acquire this informations has been researched the established studies, magazine articles, journals and web sites, which are related to topics including both cosmetics and adolescents. It also includes interviews with female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with experienced employees in the cosmetic industries. Firstly,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concepts of N generation, and then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powers of female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reviewed. And this study also included questionnaire surveys of 500 female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Data were processed using a SPSS⁺ program and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and the X²-test. The major findings run as follows: Female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have the effects of spreading their words quickly and abilities of making a decision what to buy. And they accept consuming behaviors itself as a part of cultural lives. Therefore, industries have acknowledged them as new principal consumers with a powerful influence in the market. they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active consumer as emotional generation who has distinct personalities and prefer fashion trends, changes and innovations. They show conformities with their peer groups and they also want to identify themselves with characters or stars. And they prefer their own goods and spac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cosmetic behaviors of female students relat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ir coloring and preference of make-up image. The cosmetic behaviors of female students relating to demographic chari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o grades, majers, school groups and places of residence. Female students have a lot of interest and knowledge about cosmetics. And the source for them acquiring such a vast amount if information comes from their exposure to magazines. Not only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middle school students use various cosmetic product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age for using make-up for the first time has been becoming younger more and more. That is, the younger generations began to make up earlier than the older generations. They tend to show more interest than older generations did at the same age. Recently, female adolescents tend to use face powder, Lip gloss, mascara and eye shadow. Such make-up techniques are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is that are assessing 'the ranks of cosmetic products used at present'. It is assumed that cosmetic purchases of female students can be considered as an impulsive aspects. However, before purchases, the proportion of students having any particular cosmetic brand in mind previously has been increasing. They prefer to personally buy their cosmetic products at a discount cosmetic store in the city. And they take into consideration skin safety, the quality of product and color, when purchasing cosmetic products. In the evaluation of store attributes, female students in middle school viewed the variety of cosmetic products, while female students in high school seriously viewed price. It is considered that female students use less imported cosmetics than adults, but female students still prefer them. As you can draw from the aforementioned, this study presents concrete and actual analyses of adolescents' cosmetic culture, therefore, can be expected to be a resource for the marketing strategy and the course that cosmetic marketing would follow in the near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