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15 Download: 0

조선시대 치마에 관한 연구

Title
조선시대 치마에 관한 연구
Authors
김남정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여성의 대표적인 하의(下衣)인 치마에 대해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각 시대적 변천을 살펴보고, 현재 전통 한복치마의 형태를 제공한 조선시대의 치마를 용도에 따라 분류하고 그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치마는 허리를 둘러 입는 옷의 총칭으로 이를 의미하는 한자로는 상(裳), 군(桾), 치마[赤亇], 보로(甫老)가 있으며 고대부터 우리 민족의 기본복(基本服)으로 착용되었다. 삼국시대의 치마는 고구려벽화를 통해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은 치마허리에서부터 밑단까지 주름이 잡혀있는 주름치마이다. 또 주름마다 색이 다른 색동치마와 여기에 속하지 않는 다양한 모습의 치마를 볼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흥덕왕복식금제(興德王服飾禁制)의 내용에서 치마가 내상(內裳)과 표상(表裳)으로 분리되어 나타나 복식이 한층 복잡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경주 용강동과 황성동 토용에서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 저고리 위에 치마를 착용해 가슴 높이 여며 입는 방식을 볼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통일신라시대의 저고리 위에 치마를 입는 방법과 전통적인 착장법인 치마 위에 저고리를 입는 방법이 혼재하였으며 조선초기까지도 이러한 두 가지 방법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조선 중ㆍ후기에 이르러서는 치마 위에 저고리를 입는 방법이 완전히 정착된 듯 하다. 유물과 화학, 문헌자료를 통해 조선시대에는 다양한 종류의 치마가 존재하였고 그 차림새도 각 시기에 따라 변화됨을 알 수 있다. 조선 초기에는 저고리 길이가 길어 치마는 상대적으로 짧았으며 가슴이 아니라 허리에 착용하였다. 이 시기의 유물로 앞부분에 덧주름을 한 치마가 발견된다. 이는 예복용이었으며, 덧주름은 보행의 편리를 위한 것 혹은 2개의 치마를 겹쳐 입기 위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조선 중기에는 초기와 큰 차이가 없으나 저고리 길이가 조금 짧아져 허리선에 이르며 반대로 치마는 조금 길어졌다. 가장 큰 변화를 보이는 것은 조선 후기로 저고리가 극도로 짧아짐에 따라 치마의 길이와 폭이 넓어졌으며, 이것을 허리띠로 거두어 입는 색다른 착장방법이 나타난다. 유물로 살펴볼 때, 조선 초기와 중기에는 솜치마, 누비치마, 홑치마, 겹치마 등이 나타나나 후기에 와서는 솜치마와 누비치마는 사라지고 겹치마와 홑치마만 입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치마에는 용도에 따라 예복용, 일상용, 친의용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에 속하는 치마종류를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예복용(禮服用) 치마로는 스란치마, 대란치마, 위치마, 전행웃치마가 있다. 스란은 치마에 장식선을 직금(織金) 혹은 금박(金箔)한 것으로 이것이 한층 있으면 스란치마이고 두 층 있으면 대란치마이다. 위치마는 의례시에 치마를 두 개 입었을 때 위에 입은 치마를 말하는 것이다. 전행웃치마는 조선말에 궁중에서만 사용하던 예복용 치마로 대란치마에 덧입었던 것이다. 일상용(日常用) 치마는 형태상의 큰 구별은 없으나 색과 재료를 사용함에 차이가 있다. 홑치마는 여름에 겹치마, 솜치마, 쟁치마는 봄가을과 겨울에 착용하여 계절에 따라 그 종류가 달라지는 것이다. 도련치마는 안감의 도련단과 옆선에 선이 둘러진 치마를 의미한다. 친의용(襯衣用) 치마는 겉에 입은 치마의 실루엣을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둔부를 부풀리는 무지기치마와 하단을 넓게 펴지도록 하는 대슘치마가 있다. 위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세수치마, 휘건치마, 쟈근치마, 잇치마, 생풀치마 등이 있다. 말군(袜裙)은 치마는 아니지만 기마(騎馬)시에 치마 위에 착용한 것으로 고려시대 선군(旋裙)에서 유래된 것으로 생각된다. 보로(甫老)는 의례적이고 장식적인 용도로 치마 위에 입혀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조선시대는 신분제 사회였던 만큼 그에 따른 규제도 엄격하였는데, 이것이 치마에서도 색과 재료의 규제, 장식적 요소의 첨가, 여밈방향의 구분으로 나타난다. 또한 조선시대의 치마는 홑치마, 겹치마, 솜치마, 쟁치마 등 계절감이 뚜렷하였다. 전체적으로 치마의 색은 다홍과 남색이 주류를 이루며 이외에도 양남, 일남, 갈매, 분홍, 옥색 등 다채로왔다. 치마의 옷감은 보통 사(紗)종류가 많으나 치마종류마다 단(鍛), 주(紬), 초(綃), 라(羅)등 사용된 직물에 차이를 보인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치마의 종류를 언급함에 있어 일부 치마는 보충되는 자료의 부족으로 추정하는 단계에만 그쳐 이에 대해 앞으로 더 많은 자료와 검증을 통하여 명확한 정립이 필요할 것이다.;This paper attempts to study on Korea women's skirt, ch'ima¹⁾. At first, we shall trace the changes of ch'ima from the ancient period to Choson dynasty(AD 1392-1910). Then we shall study some characteristics of ch'ima, of Choson dynasty, which brought the modern Hanbok(Korean traditional costume) ch'ima, and classify it into several types by its use. Chi'ma is a native Korean word which is equivalent to western term skirt. In general, ch'ima means a kind of garment, wearing around one's waist, which shares its meaning with many Chinese characters, such as Sang(裳), Kun(桾), Chima(赤亇), Poro(甫老). Ch'ima had been worn as a basic item throughout Korean history. We can see early shapes of ch'ima from the Kokuryo (37 BC.-AD. 668) mural painting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57 BC.-AD. 668). One of the most frequent수 shape of ch'ima from these mural paintings is churum ch'ima(pleats skirt). In addition to this, we can also find ssaekdong-sh'ima, which has different colours on each fold, and other various shapes of ch'ima. In Unified Silla period(AD. 668-935), ch'ima was divided into naesang(inner skirt 內裳) and p'yosang(outer skirt 表裳), according to 'Costume Prohibition of King Heungdok(r. 826-836)(興德王服飾禁制)'. This reflects more sophisticated development of the costume including ch'ima. Moreover, some earthen figurines from Kyongju Yongkangdong and Hwangsongdong indicate the influences of Chinese Tang dynasty(AD 618-907). Unlike the indigenous way of wearing chogori(jacket) over ch'ima, the Tang-influenced style shows the opposite way, which wore chi'ma over chogori. This way of wearing ch'ima coexisted with the traditional way throughout Koryo dynasty(AD 918-1392) until the early Choson period. However, in the middle and the late Choson periods, it seems that the traditional way- i.e. wearing chogori over ch'ima- settled down completely. In Choson dynasty, we can understand the existence of different types of ch'ima, and its various changes in each period, through many existing material remains, paintings, written documents. In the early Choson period, ch'ima was worn around waist, instead of around breast. One of ch'ima in this period has totjurum(additional folds) at the front part, which is thought to have been a ceremonial costsume. In this case, totjurum seems to have been added either for the purpose of walking convenience or for the overlapping one ch'ima over the other. During the middle Choson dynasty, there is no remarkable change from the previous period, except the of length of chogori. Chogori was now shortened up to the waist-line, and this caused to extend the length of ch'ima longer. In the late Choson period, the most important change was appeared, which chogori became extremely shorter. In contrast with this, ch'ima was longer and broader, to create the unique way of wearing ch'ima by using belt. As regards of existing material remains of ch'ima, in the early and middle Choson periods, som-ch'ima(cotten-padding skirt), nobi-ch'ima(quilted skirt), hot-ch'ima(unlined skirt), kyop-ch'ima(lined skirt) and so on were appeared. In the late period, however, som-ch'ima and nobi-ch'ima were disappeared, while hot-ch'ima and kyop-ch'imathere were continuously worn. Ch'ima of Choson dynasty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ceremonial use, everyday use, underwear, etc. The first category is ceremonial ch'ima, which are suran-ch'ima, taeran-ch'ima, ut-ch'ima, chonghaengut-ch'ima. Suran means the decorative tier on which sewed by gold thread or plated by gold foil. If there is one decorative tier, it is suran-ch'ima, and if there are two, it becomes taeran-ch'ima. Ut-ch'ima means the upper-most skirt, when women wear two ch'ima at the ceremony. Chonghaengut-ch'ima is a ceremonial skirt, which was only worn at the palace during the end of Choson period. This was worn over taeran-ch'ima. In the category of everyday use, shape is not ver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ategory, however there are distinctive uses of colours and materials. Hot-ch'ima was worn in summer time, while kyop-ch'ima, som-ch'ima, chaeng-ch'ima were worn in the other seasons. It indicate that the types of ch'ima differ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seasons. Toryon-ch'ima is skirt which has lines at the hem and sideline of lining material. The third category is underwear, which consist of mujigi-ch'ima and taeyum-ch'ima. The former makes the buttocks well up, and the latter makes the lower part broaden for better sillhouette. Apart from ch'ma of these three categories, there are sesu-ch'ima, hwigon-ch'ima, chyagun-ch'ima, it-ch'ima, saengpul-ch'ima, etc. Furthermore, even though malkeun(袜裙) is not really ch'ima, it wore over ch'ima, when women rode a horse. It seems to have been derived from sonkun(旋裙) in Koryo period. Poro(甫老) was used ceremonial and decorative purposes, which was worn over ch'ima, too. As choson dynasty had the very rigid-hierarchy system, there were many strict regulations throughout various different aspects. Ch'ima was not an exception from these regulations, as we can safely assume from severe restrictions of colours and materials; the addition of decorative elements; the distinction of adjusting direction; and so on. Moreover, ch'ima of Choson dynasty reflected the very distinctive seasonal features, such many kinds of skirt as hot-ch'ima, kyup-ch'ima, som-ch'ima, chaeng-ch'ima, etc.. In case of colour, crimson(多紅) and indigo(藍) were mainly used, together with other many colours. Normally, materials for ch'ima were used sa(紗), however others were also used such as dan(鍛), chu(紬), cho(綃), ra(羅), according to the types of ch'ima. Lastly, we should bear in mind that some of ch'ima are barely discussed throughout this study, due to lack of supporting material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carry on deeper and broader studies and researches of this topic in future, which may help to understand it better and mo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