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6 Download: 0

17世紀 鐵畵白磁 硏究

Title
17世紀 鐵畵白磁 硏究
Authors
변은숙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용이
Abstract
본 논문은 廣州 分院 출토의 鐵畵白磁를 중심으로 17세기 鐵畵白磁의 변화 ·발전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17세기는 壬辰倭亂 이후 丁卯·丙子倭亂을 거치면서 朝鮮前期를 정리함과 동시에 朝鮮後期 문화의 기반이 되는 시기로 도자문화에 있어서는 鐵畵白磁가 중심을 이루며 발전하게 된다. 이 시기 중국에서는 명청교체 시기로 여진이 세운 국가가 중국을 지배함으로써 중국의 문화적 위상에 대한 조선의 인식에 적지 않은 변화가 초래되어 조선·정간의 문화교류의 강도는 조선·명시대 보다도 더 약화되고 그 폭은 더욱 축소되었다. 따라서 이 시기 도자문화 역시 중국의 영향이 이 전 시기보다 적어지게 된다. 중국과의 교류가 적어짐에 따라 도자교류에 있어서도 외부와 단절되는 일면을 보이는데 17세기에 중국·일본 등 다른 동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은 陶磁産業에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반면 한국의 陶磁産業은 국내를 위한 내수용으로 제작되었고 조형적인 면에서도 외부의 영향이 좀처럼 나타나지 않는다. 국내에서는 수집·감상하는 풍조가 크게 유행하고 이것이 단지 사대부 층에 국한되지 않고 서민층까지 확산되었는데 陶磁器도 마찬가지로 그 수용 층이 넓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풍조가 서민층까지 확산될 수 있었던 데에는 당시 시장경제의 발달과 分院磁器의 유출이 중용한 역할을 했다. 시장경제의 발달로 인해 瓷器의 유통은 빠른 속도로 넓은 지역에 확산될 수 있었고 경제적으로 성장한 서민층은 17세기 후반 중요한 수요층이 되어 도자기의 생산과 확산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배경 하에 제작된 7세기 鐵畵白磁는 朝鮮時代 陶磁의 전반적인 특징을 보이면서 17세기 나름의 다른 시기와 구분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 시기 철화백자가 제작된 광주 분원을 살펴보면 祥林里(1631~1636), 仙東里(1640~1649), 松亭里(1649~1653), 柳寺里(1660~1664), 新垈里(1665~1676), 池月里(1677~1680年代)등의 窯址가 있는데 出土品의 특징에 따라 2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鐵畵白磁가 점차 증가하고 뛰어난 陶器가 많이 제작되는 전반기를 Ⅰ기(1600~1660)로 보았는데 철화안료로 시문된 문양은 대체로 발색이 진하고 꼼꼼하게 채색되는 특징을 보인다. 白磁의 質이 전반적으로 저하되고 鐵畵白磁가 대량으로 제작되면서 시문 되는 鐵畵紋樣이 섬세함을 잃어 가는 17세기 후반을 Ⅱ기(1661~1700)로 보았다. 이 시기 鐵畵白磁의 문양은 단순화된 추상적인 문양이 많이 나타나는데 대체로 산만해지는 경향을 보이고 채색보다는 선묘 위주로 문양이 시문 된다. 17세기 鐵畵白磁는 廣州 分院뿐만 아니라 지방에서도 많이 제작되는데 철화백자가 제작한 지방 가마들은 그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민수용 가마들로 주로 식기류를 생산했는데 광주 분원의 철화백자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발견할 수는 없다. 이들 지방 가마에서는 편년자료가 출토되지 않기 때문에 활동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각각의 지역별로 특색 있는 문양이 시문 되었고 시기기ㅏ 내려올수록 문양이 더 구체화되고 구성이 다양해진다. 17세기의 鐵畵白磁는 외부의 영향이 적은 가운데에서 인접한 중국, 일본과는 구별되는 특색을 보이며 다른 시기에 비해 독자적으로 변화·발전했고 戰亂이후의 만명기 문인문화의 확대 등으로 수요층이 넓어짐에 따라 폭 넓게 유행할 수 있었다. 전 시기의 흐름에 연결되어 문양 구성 등에 있어서 한국적인 화풍이 더 부각되고 이 시기에 자리 잡은 문양구성과 채색의 특징은 이수 18세기 청화백자의 기반이 된다.;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white porcelain painted in underglaze iron(Chulwha-Packcha) which was excavated at Punwon(分院) in Kwangju(廣州). Punwon is known as the official kilns of Choson dynasty. During the seventeenth-century, immediately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Imhin-Waeran) Choson dynasty went through two civil wars(Junyu_ and Buungja-Horan) meanwhile, it was time of building foundation for unique culture of Choson period and as an outcome Chulwha_paekcha flourished during this time. In the meantime, in China, the seventeenth-century was the time of shift between Ming and Chung and this resulted in the change of Chinese attention to Choson dynasty. Compared to Ming era, the 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Choson and Chung was enervated and downsized. Accordingly, Chinese influence on Choson's ceramic culture decreased during the seventeenth-century. While Choson became isolated due to the decrease of cultural exchange with China, Japan and other East-Asian countries actively developed ceramic industry. On the contrary to these countries, Choson ran ceramic industry only for domestic supply. As a result, external influence on ceramic form is hardly found. In Choson, collecting works of ceramics and appreciation of them became trend and such fashion was not limited to the gentry but extended to the masses. In this way, the range of demand for ceramics increased and for this, the development of market economy and the outflow of Punwon wares took significant roles. Due to the development of market economy, the distribution of ceramic wares was smoothly expanded and the masses who gained financial power in society became the great demand for ceramic industry in the late seventeenth-century. Under such socio-cultural circumstance, Chulwha-Packcha of the seventeenth-century was evolved and represented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are clearly distinct from other periods. In the examination of the seventeenth-century Chulwha-Packcha, there are six kiln sites found in Punwon, Kwangju; Sangim-ri(1631~1636), Sundong-ri(1640~1649), Songjung-ri(1649~1653), Yusa-ri(1660~1664), Shindae-ri(1665~1676), Jiwol ri(1677~1680s). These sites can be divided into two periods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findings. The first period was concerned with regard to the gradual increase of making Chulwha-Packcha and other outstanding porcelains, and to the strong and articulate colours of patterns painted with Chulwha-Packcha. The second period was concerned with regard to the decay of quality and elaboration which are caused by the mass production in the late seventeenth-century. During this period, patterns tended to be simplified and desultory moreover, lines were much preferred to colours of pattern. Chulwha-Packcha in the seventeenth-century was largely produced not only in Punwon, Kwangju but also in other sites however, those local kilns other than Punwon, were aimed at local supply therefore, mainly produced tablewares however, the evidence of direct engagement with Chulwha-Packcha at Punwon has not been found. It is not easy to point out when the local kilns were actually used because of the lack of historical evidences, however, each local kiln shows uniqueness and diversity in patterns of porcelains. Chulwha-Packcha of the seventeenth-century received lesser external influence though, it had clear distinction from Japanese or Chinese porcelains. Finally, in terms of pattern of Chulwha-Packcha, the sense of 'Koreaness' was highligh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tterns and colours went on to the eighteenth-century and these aspects became the foundation for white porcelain decorated with underglaze blue(Chulwha-Packch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