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햇살유치원 만 4세 유아들의 혼잣말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Title
햇살유치원 만 4세 유아들의 혼잣말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Other Titles
An Ethnographic Study on Private Speech Four-Year Old Children in Sunshine Kindergarten
Authors
김은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홍용희
Abstract
본 연구는 햇살유치원 만 4세 그림반 유아들이 사용하는 혼잣말의 기능은 무엇이며 혼잣말의 사용형태는 어떠한지, 유아들이 사용하는 혼잣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4세 그림반 유아들이 사용하는 혼잣말의 기능은 무엇인가? 2. 만 4세 그림반 유아들이 사용하는 혼잣말의 형태는 어떠한가? 3. 만 4세 그림반 유아들의 혼잣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신도시에 위치한 햇살유치원의 만 4세 그림반의 유아들과 담임교사였다. 연구기간은 2007년 3월부터 2008년 8월까지로 자료 수집은 총 55회의 참여관찰과 관찰기간동안 이루어진 7회의 교사면담과 추후 1회의 교사면담을 추가하여 총 8회의 교사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밖에 유아면담, 동영상촬영, 사진촬영, 오디오녹음, 문서수집 등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참여관찰 및 면담 내용은 현장기록으로 작성하여 자료화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햇살유치원 만 4세 그림반 유아들이 사용하는 혼잣말 기능은 ‘창의적 사고하기’, ‘자신을 표현하기’, ‘지식을 구성하기’, ‘문제인식 및 해결하기’, ‘정서조절하기’, ‘언어놀이하기’, ‘의사소통 유발하기’의 일곱 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사고하기’와 관련하여 혼잣말을 사용해 동일한 대상을 새로운 시각에서 해석하는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기’를 볼 수 있었다. 또한 혼잣말을 통해 기존의 놀잇감을 가지고 새로운 방식으로 놀이로 전개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놀이하기’, 혼잣말을 사용하여 아이디어를 확장하여 활동을 전개하는 ‘아이디어 확장하기’가 나타났다. 또한 혼잣말을 사용하여 자신의 머릿속에 존재하는 생각을 이야기로 풀어내어 세상에 단 하나뿐인 ‘이야기 창작하기’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자신을 표현하기’와 관련하여 그림반 유아들은 혼잣말을 사용하여 자신의 기존지식을 표현하기도 하고 새롭게 알게 된 지식을 표현하기도 하는 ‘자신의 지식 표현하기’를 하였다. 또한 혼잣말로 자신이 현재 경험하는 정서 상태가 어떠한가를 표현하는 ‘자신의 감정 표현하기’를 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자신의 생리적 상태와 기호도, 소망 등을 혼잣말로 표현하는 ‘자신의 정보 알리기’를 하기도 하였다. ‘지식을 구성하기’와 관련하여 그림반 유아들은 혼잣말을 사용하여 새로운 지식을 기존 지식에 통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문제인식 및 해결하기’와 관련하여 그림반 유아들은 ‘문제인식하기’와 ‘문제해결하기’에 혼잣말을 사용함으로써 문제해결하기에 도움을 받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정서조절하기’와 관련하여 그림반 유아들은 혼잣말을 사용하여 자신의 부정적 정서를 표현함으로써 ‘부정적 정서 해소하기’를 하였다. 또한 ‘자신의 실수 용납하기’의 과정에서 혼잣말을 사용함으로써 스스로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언어놀이하기’와 관련하여 그림반 유아들은 혼잣말로 ‘의성어 발화하기’, ‘단어 조합하기’, ‘대구(對句) 만들기’를 하면서 소리의 즐거움을 위해 발화하는 언어놀이하기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의사소통 유발하기’와 관련하여 유아들이 발화한 혼잣말을 듣고 다른 유아가 이에 반응함으로써 의사소통이 시작되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둘째, 햇살유치원 만 4세 그림반 유아들이 사용하는 혼잣말 형태를 살펴보면 ‘축약 및 생략하기’, ‘반복하기’, ‘자문자답하기’, ‘중얼거리기’, ‘흥얼거리기’, ‘소리 내어 읽기’ 등의 형태로 혼잣말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약 및 생략하기’와 관련하여 그림반 유아들은 ‘술어화’와 ‘단순화’의 형태로 혼잣말을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반복하기’와 관련하여 ‘의성어 반복하기’, ‘어절 반복하기’, ‘구 반복하기’와 같은 형태로 혼잣말을 사용함을 볼 수 있었다. ‘자문자답하기’와 관련하여 ‘스스로에게 질문하기’, ‘자문자답하기’의 형태로 혼잣말을 사용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중얼거리기’와 같이 소리를 들을 수 있었지만 의미를 인지할 수 없는 혼잣말을 발화하기도 하였으며 ‘흥얼거리기’와 같은 형태의 혼잣말을 사용하기도 하였는데 ‘콧노래 흥얼거리기’와 ‘노랫가락 흥얼거리기’ 등으로 표현되었다. ‘소리 내어 읽기’와 관련해서는 ‘단어 소리 내어 읽기’와 ‘문장 소리 내어 읽기’의 형태로 혼잣말을 사용하였다. 셋째, 햇살유치원 만 4세 그림반 유아들의 혼잣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흥미’, ‘대중매체’, ‘또래’, ‘교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의 혼잣말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준 것은 ‘흥미’로 유아들은 어떤 흥미영역에 있건 어떤 활동을 하건 자신의 흥미에 따라 혼잣말을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림반 유아들의 혼잣말에 영향을 준 또 다른 요인으로 대중매체를 들 수 있는데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애니메이션’뿐 아니라 ‘공상과학영화’, ‘시사보도프로그램’, ‘오락프로그램’, ‘광고’, ‘인터넷’에 이르기까지 유아들의 혼잣말에 영향을 주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림반이라는 공간에서 함께 상호작용하는 ‘또래’ 역시 유아의 혼잣말에 영향을 주었는데 또래가 사용하는 혼잣말을 기억하였다가 적절한 상황이 되었을 때 그것을 발화한다거나 그 자리에서 즉각적으로 따라하거나 또래와 자신을 비교하면서 혼잣말을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교사’도 그림반 유아들의 혼잣말에 영향을 주었는데 담임교사가 일과운영을 통해 반복하여 지도하는 것들은 그림반 유아들에게는 반드시 지켜야하는 법규처럼 인식되고 있었으며 이를 지키기 위해 혼잣말을 사용하여 자신을 조절해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function of 4 year-old children's private speech in the Picture class of Sunshine Kindergarten, the form of the private speech,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private speech to children by the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For the above goals, the research questions included: 1. What are the functions of private speech on 4 year-old children in the Picture class? 2. What are the forms of private speech on 4 year-old children in the Picture class? 3. What are the factors of influences of private speech on 4 year-old children in the Picture clas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as 4 year-old children in the Picture class of Sunshine Kindergarten, and their homeroom teacher. The researching period was from March 2007 to August 2008, with 55 times of participant observation, 7 tim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including a subsequent conference with the teacher making a total of 8 times of in-depth interviews on data collection. In addition, informal interviews with children, photographing, audio & video-tape recording, document research were collected for data. The contents of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transcribed in field notes. Collected cases were encoded and classified into appropriate categ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4 year-old children in the Picture class' functions of their private speech consist of 7 factors which are 'creative thinking', 'self expression', 'knowledge composition', 'problem perception and resolving', 'emotion control', 'language amusement', and 'invoking communication'. It was possible to find out 'process on other views' which was associated to 'creative thinking' when using private speech on interpreting an object into a new angle. Also through private speech, 'amusement in a new method' with the existing toys, and 'idea enhancement' by branching out ideas with private speech appeared. Moreover, the unique 'story creation' by the children using private speech with uttering what they thought was visible. With 'self expression', the Picture class children expressed their original and newly acquired knowledge and by private speech. Besides, they expressed what they experienced and had in mind presently in private speech by 'self emotion. Additionally, they 'signaled their information' about their physiological status, desire, and preference through private speech. 'Knowledge composition' was used as a new way of integration on Picture class children's preexisting knowledge. 'Problem perception and resolving' was used as a method of problem solving by private speech. The children expressed their negative emotions related to 'emotion controlling' with private speech to 'relieve negative emotions'. Also 'fault recognition' was used as controlling themselves' emotions with private speech. Concerning 'language amusement', children used 'onomatopoeic speech', 'word combination', and 'parallelism'. On 'communication invoking', children who spoked to themselves started communication with others when they listened and responded on it. Second, the forms of the private speech that the children used were 'abbreviation and abridgement', 'repetition', 'self inquiring and self answering', 'murmuring', 'crooning', and 'reading out loud'. Children used 'verbal talking' and 'simplification' concerning 'abbreviation and abridgement'. On 'repetition', children used 'onomatopoeia repetition', 'phrase repetition' on private speech. Concerning 'self inquiring and self answering', children tended to 'inquire to themselves' and 'use private speech'. Like 'murmuring' there were soliloquies that were not conceivable but audible, and 'crooning' was formed as 'humming' and 'lyrics and rhythm humming'. On 'reading out loud', children used 'reading out loud' and 'reading sentences out loud' with private speech. Third, the factors that affected 4 year-old children in the Picture class of Sunshine Kindergarten's private speech were 'interest', 'mass media', 'fellows', and 'teachers'. The strongest factor that effected children's private speech was 'interest', that they spoke to themselves when something interesting were spotted. Another factor of private speech was mass media, in which 'animation', 'science fiction movies', 'social affairs program', 'entertainments', 'advertisements', and 'internet' were influenced factors that invoked children's private speech. In an environment surrounded by the 'Picture class', the children themselves each other influenced private speech by memorizing the style of it, and they started to use it when an appropriate situation occurred. The 'teacher' also effected the Picture class children, in which the homeroom teacher taught a routine system of management throughout the class, and the children received it as a discipline to keep in mind murmuring with private speech to control themsel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