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4 Download: 0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가 경험하는 하루일과에 대한 연구

Title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가 경험하는 하루일과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aily Routine Experienced By Young Children at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s
Authors
이경미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최근 우리나라 유아의 삶 속에 유아교육기관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더 커지면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이 유아기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아침에 등원할 때부터 귀가할 때까지 유아들이 평소에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유아가 경험하는 하루 일과를 유아의 특성과 교육기관의 특성에 따라 분석해 봄으로써 앞으로 유아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더 보완해야 할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가 경험하는 하루일과는 어떠한가? 2.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가 경험하는 하루일과는 유아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가? 2-1. 유아의 성에 따라 어떠한가? 2-2. 유아의 연령에 따라 어떠한가? 3.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가 경험하는 하루일과는 기관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가? 3-1. 기관의 유형에 따라 어떠한가? 3-2. 기관의 질에 따라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전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3·5세 유아 총 166명이었으며, 본 연구 목적에 따라 전국 단위로 실시된 연구에 참여했던 대상 중 일부 유아 150명과 연구 목적에 따라 새로 추가된 만3·5세 유아 16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과 활동을 분석하기 위해 육아정책개발센터에서 제작한 관찰 도구를 사용하였다. 관찰은 2007년 5월부터 7월 방학 전과 11월, 12월 중에 모두 이루어졌는데 일반적으로 유치원은 9시부터 2시 30분까지 관찰하였고, 어린이집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찰하였다. 관찰은 남여 유아를 번갈아가며 실시하였고 한 유아 당 30초 관찰, 15초 기록, 15초 다음 관찰 유아 찾기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하루 일과 전반에 걸쳐 실내자유선택활동을 하면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실내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들은 쌓기놀이와 조형영역, 역할놀이 영역에서 많은 시간을 보낸 반면, 과학, 음률 영역 등에서는 거의 시간을 보내지 않았다. 기관에 따라서는 학습지 영역과 비디오 시청영역을 두어 유아들이 학습지를 하거나 비디오를 시청하는 경우가 있었다. 유아들이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선호하는 활동은 실외 자유선택활동시간이지만 유아들은 하루 일과 중 실외자유선택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이 극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하는 경우 유아들은 특히 물·모래놀이와 종합놀이 기구에서 가장 많이 놀았다. 유아들이 하루일과 중 집단활동 시간에 참여하는 비율은 그리 높지 않았지만 특히 이야기나누기, 문학활동, 음악활동에 특히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하루 생활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활동에 참여하면서 기다리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급식과 간식시간의 1/5 정도와 다음 활동으로 전이하는 시간과 씻고 용변 보는 시간 각각의 약 절반가량을 자기 차례가 오거나 해당시간이 되도록 기다리는데 소비하고 있었다. 유아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다양한 특별활동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그중 영어를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다양한 하루 일과를 보내면서 대체로 적극적으로 하루일과에 참여하였다. 유아들은 실외 자유선택활동과 실내 자유선택활동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집단활동과 특별활동에는 소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유아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 하루일과를 지내면서 전반적으로 보통의 정서 상태를 보였으며, 혼자인 경우보다 또래와 상호작용하거나 교사, 또래와 함께 상호작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실내·외 자유선택활동, 씻기와 용변보기를 할 때는 또래와 함께 활동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집단활동, 전이, 특별활동을 할 때는 교사, 또래와 함께 활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휴식 및 낮잠, 등원, 씻기 및 용변보기는 혼자 활동하기가 많았다. 둘째, 유아의 특성에 따른 하루일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아의 성에 따라 유아가 경험하는 하루 일과는 전반적으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세부 일과에 따라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남아는 쌓기놀이, 대근육활동, 탈것, 동물 관찰과 돌보기에, 여아는 역할놀이, 언어영역에서의 놀이, 조형활동, 음률활동, 그네를 타거나 대화하기에 많이 참여하였다. 반면 집단활동, 특별활동, 급식/간식, 휴식/낮잠, 전이, 씻기 및 용변, 귀가시간에는 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의 연령에 따라 유아가 경험하는 하루 일과는 전반적인 하루일과와 세부일과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볼 때 만5세 유아들은 만3세에 비해 집단활동과 특별활동에 많이 참여하였다. 세부적으로 볼 때 만3세 유아들은 등원, 실내자유선택활동에서의 쌓기 및 역할놀이, 수·조작 놀이, 음률, 대근육 활동, 전이/놀이정리, 실외자유선택활동에서의 종합놀이기구에서 놀기, 단독놀이감 타고 놀기, 뛰어다니기, 전이/놀이정리, 급식/간식, 휴식 및 낮잠, 씻기 및 용변 보기를 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보냈고, 만5세는 놀이계획,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언어, 조형, 과학, 컴퓨터, 학습지 영역, 모든 집단 활동, 실외자유선택활동에서의 그네, 운동하기, 그리고 특별활동을 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의 특성에 따른 하루일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아교육기관의 유형에 따라 유아가 경험하는 하루일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유아들이 모든 일과와 세부일과에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들 보다 더 오래 참여하고 있었으며, 특히 일상생활과 관련된 활동에 더 오래 참여하고 있었다. 유치원에서는 집단활동에 더 오래 참여하고 있었다.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수준에 따라 유아가 경험하는 하루 일과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유치원과 어린이집 두 유형의 기관 모두에서 기관의 질이 낮을 경우, 유아들은 기관에 머무르는 시간이 더 길었고 등원, 조형활동, 특별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었다. 질이 낮은 유치원의 유아들은 집단활동을 많이 하고 있었고, 질이 낮은 것으로 추정되는 어린이집의 유아들은 실내자유선택활동시간에 수·조작놀이영역, 학습지 영역에서 많이 지내고 있었고, 전이시간이 더 길거나, 실외에서는 뛰어다니기를 많이 하고 있었다.;In recent years the rol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daily life of Korean toddlers, and the time spent at these institutions is significantly impacting early childhood growth and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hildren spend their normal day, during the period from morning arrival to home departure, at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s, analyze the daily routine experienced by childre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and therespective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s, and consider measures for kindergartens and nurseries to take in order to improve the children's quality of life. The specific issues under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daily routine experienced by a child at a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 2. How does the daily routine experienced by a child at a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 diff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2-1. How does it differ according to a child's gender?2-2. How does it differ according to a child's age? 3. How does the daily routing experienced by a child at a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 diff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3.1 How does it differ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3.2 How does it differ according to the quality of institu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166 children aged 3 to 5 who attend kindergartens and nurseries nationwide. There were 150 children participating for the nationwide study and 16 children newly added according to study objectives. The study employed the observation tool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o analyze children's work and activities. Observations were made from May to July prior to summer vacation and during November and December in 2007. In general, kindergartens were observed from 9 AM to 2:30 PM, and nurseries from 9 AM to 6 PM. Male and female children were alternately observed, with 30 seconds given for observation, 15 seconds for observation recording, and another 15 seconds for finding the next subject for observation. The main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spent most of the time throughout the daily routine on indoor free choice activities. During the indoor free choice activities period, the children spent much time on playing with building blocks, doing arts and crafts and role playing, and hardly any time was spent on science and music.Depending on the institutions, study sheets and videos were sometimes made available and the childrencould do study sheets and watch videos. Although outdoor free choice activities were most desired and participated by the children, the time for such activities during the daily routine was extremely limited. When children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play outdoors, they spent most time playing with water, sand and the playground equipment set. Time for participation in group activities did not take up a high portion of the daily routine, but the participating children spent particularly a large amount of time in sharing stories, literature and music activities. The children were found to be spending a lot of time waiting while participating in the various activities making up the daily routine at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s. The children were using about 1/5 of the meal and snack times and half of the next activity transition time as well as washing and toilet time on waiting for their turns or the scheduled starting time.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a variety of special activities at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s, and of these, most time was spent on English learning. In general, the children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daily routine while spending the school day in a variety of activities. They participated most enthusiastically in both outdoor and indoor free choice activities, but passively in group and special activities. The children overall displayed normal emotional state while spending time at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s, and interacted more often with either their peers or peers and teachers than spending time alone. Interaction with peers was greatest during outdoor and indoor free choice activities and during washing and toilet times. Interaction with teachers and peers was substantial during group, transition and special activities. Acting alone was substantial during resting and napping, attendance taking, washing and toilet times. Second, the daily routine based on the children's characteristics revealed the following. There was no overall difference based on gender in the daily routine experienced by children, bu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etails of the routine. Male children participated largely in building blocks play, large muscle activities, riding toys, and observing and caring for animals; while the female children participated largely in role-playing, language related activities, arts and crafts activities, music, and playing on a swing or conversing.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by gender in time spent on group activities, special activities, meal/snack eating, resting/napping, transition, washing and toilet activities, and in departure time. By ag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aily routine experienced by the children, in terms of the overall routine and the detailed routine. In terms of the overall routine, five-year olds participated more in group and special activities compared with three-year olds.In terms of the detailed routine, three-year olds spent more time, for indoor free choice activities, on playing with building blocks and role playing, hand manipulated games, music, large muscle activities, transition/putting back toys and spent more time, for outdoor free choice activities, on playing with playground equipment set, riding toys, running, transition/putting back toys, meal/snack eating, resting/napping, and washing and toilet activities. Five-year olds spent more time on play planning, and for indoor free choice activities, on language, arts and crafts, science, computer, study sheets, and all group activities, and for outdoor free choice activities, on swings and sports, as well as on special activities. Third, the daily routin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as follow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aily routine experienced by children based on the typ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 In general, compared with children going to kindergartens, children attending nursery schools spent more time in daily routine participation, and they spent more time especially in everyday life related activities.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s spent more time on group activities participation.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the daily routine experienced by children based on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 At low quality kindergartens and the nursery schools, children were found to spend longer hours at the institutions and participate to a greater extent in attendance taking, arts and crafts, and special activities. At low quality kindergartens, children spent more time in group activities, while at low quality nursery schools, children spentmore time in hand-manipulated gamesand study sheet activities during indoor free activities time, and the transition time was longer or greater time was spent running around outdo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