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8 Download: 0

북한 아동영화에 나타난 아동 교양사상 연구

Title
북한 아동영화에 나타난 아동 교양사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oughts in Children's Culture and Education appeared in North Korean Films for Children
Authors
김영숙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석향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주체의 공산주의 새 인간 양성'이라는 북한 아동교육정책의 이념이 아동영화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기존의 북한 아동영화 연구는 아동영화의 일반적인 특성과 아동영화의 남북교류 방안 모색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 논문은 선행연구의 한계를 인식하고 아동영화의 주제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북한 아동교육정책의 구체적 내용이 작품에서 어떻게 구현되어 아동을 교양하는지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북한 아동영화는 '공산주의적 새 인간 양성'이라는 북한 교육정책의 목표에 따라 아동의 사상을 공산주의적으로 교양하기 위해 창작된다. '공산주의적 새 인간'은 주체사상으로 무장된 인물로 혁명성과 도덕성, 지적 능력을 갖춘 인간형이다. 북한의 사회주의 교육은 인민을 ‘혁명화’, ‘노동계급화’하며 ‘지덕체를 겸비한 공산주의적 인간’으로 교육하는 것이다. 사회주의적 교육은 일차적으로 학교 교육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차적으로는 일상생활을 통해 이루어진다. 아동영화는 아동의 연령과 심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중요한 이차적 교양방식이다. 역설적으로 아동영화를 통해서 사회주의 교양 교육의 주제를 확인할 수 있다. 사회주의 교육 주제로서 아동영화에 반영된 주제의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교육 주제이다. 과학교육 주제의 아동영화는 수학, 과학 등의 기초 지식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수학이나 과학의 기본 원리가 일상생활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에피소드 형식으로 전달한다. 둘째, 생활교훈 주제이다. 생활교훈 주제는 체력의 필요성과 사회구성원들의 단결, 어른에 대한 공경, 친구와의 약속 지키기 등 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할 기본 예의도덕을 주제로 한다. 셋째, 조선민족제일주의와 관련한 민족주의 주제이다. 주로 민족적 우수성을 강조하는 내용으로서 조국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주제로 한다. 넷째, 사상교양 주제이다. 북한의 일반 예술영화와 달리 사상교양을 주제로 한 영화는 많지 않으며, 반제국주의 교양보다는 반계급 교양이 중심이다. 사상교양 주제는 사회주의적 애국주의와 계급교양 주제로 세분화 된다. 북한 아동영화의 주제별 창작편수는 생활교훈 주제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과학교육 주제, 민족주의 주제, 사상교양 주제 순으로 창작되었다. 북한 아동영화는 기본적으로 교육과정과는 다른 일상생활에서의 교양을 강조하기 때문에 교육정책의 이념을 포괄적으로 수용하고 있지만 아동영화라는 장르적 특성으로 인해 일부 주제가 강조되기도 하고 약화되기도 한다. 이러한 점은 아동영화에서 사상교양 주제의 작품보다 지식 교양주제의 작품창작이 더 두드러지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북한 교육정책의 이념이나 아동영화의 사상교양적인 주제의식이 약화되는 것이 아니라 아동영화라는 장르적 특성이 반영되면서 겪는 필연적인 결과이다. 따라서 북한 아동영화를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시기에 따라서 일정정도 진폭이 있기는 하지만 북한 아동교육정책의 내용인 '사상교양(계급교양, 반제교양)'과 '지식교양(과학지식, 생활지식)'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how the ideology embedded in the North Korean children’s education policy, dubbed “Training people anew needed in self-reliant Juche Communism” has been realized in the North Korean films for children.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of North Korean films for children focus on seeking methods for exchanges of South-North Korean films for childre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of. In the paper, the researcher aims to identify how the detailed contents of North Korean education policy for children have been realized in the films for children and how it does edify and cultivate children through analysis of theme-consciousness of the films for children having recognized the limit of the precedent researches. North Korean films for children are to be created in order to educate children according to the North Korean educational policy, under the motto; ‘Training people anew that fits in communism.’ ‘New communist human being’ is an individual armed with Juche ideology and is a human equipped with revolutionary ideas, morality, and intelligence. Socialist education in North Korea makes people ‘revolutionalized’ and, at the same time, is to develop ‘hierarchaized labor,’ and edifies people as ‘communist humans endued with intelligence, virtue, and physical health.’ Socialist education is primarily carried out through school education, and secondary, it is done amid tasks of everyday life. Films for children are secondary method for education based on children’s age and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Paradoxically, we can confirm the theme of socialist education through the films for children. As for the theme of socialist education, the theme-consciousness that reflected onto the films for children are as follows: First, the theme is concerned with science education. The films for children on the basis of science education theme are chiefly composed of fundamental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science, etc. It conveys how the basic principles of math and science are being utilized in everyday life by means of episode. Second, the theme is concerned with precepts for life. The themes concerned with precepts for life comprise those subjects related to basic propriety and morality that children are obliged to abide by in their everyday life, including the necessity of physical strength, unity of social constituents, respect to elderly, and keeping promise with friends, etc. Third, the theme is concerned with nationalism relative to Korean (or Joseon) people-first principle. It is chiefly composed of those contents that emphasize Joseon Nation’s superiority, and deals with self-confidence and pride of homeland. Fourth, the theme is concerned with edifying thoughts of people and inculcating self-reliant ideology in the minds of people. Different from general artistic films of North Korea, there are few films produced as with the theme for edifying thoughts of people. The works are centered on inculcating anti-hierarchical ideology into the minds of people, rather than edifying anti-imperialistic stance. The main subjects concerned with edification for thoughts of people become divided into segments, such as socialistic patriotism and the subjects in relation to education on hierarchical system. Among the numbers of North Korean films for children that produced according to theme, the most popular theme is concerned with the precepts for life, next is scientific education followed by the theme for nationalism, and then for edification for thoughts of people. North Korean films for children basically lay emphasis on the culture of everyday life, different from education curriculum, and accept the ideology of education policies, but some themes are being stressed on more or less because of their genr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films. This brings about the result that the children's films with the theme for knowledge education are more prominent than those with the theme for edification thoughts of people . This is not because the ideology of education policies in North Korea or the theme for edification thoughts of people of children's films have been weakened, but it's an inevitable result reflecting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films. Therefore, when North Korean films for childre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themes, it was proved that they were made centering around the contents of North Korean children’s education policies, that is, 'edification thoughts of people (class culture, anti-imperialism culture)' and 'knowledge education (science knowledge, everyday life knowledge), even though with some differences of degree depending on the periods.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