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9 Download: 0

장루보유자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Title
장루보유자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Ostomates
Authors
이복순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ostomates with colon cancer. The subjects consisted of 82 ostomates who were registered in a general surgery department of the E hospital and the A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 2008 to June 30, 2008 using structured questionaries including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RSES),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Medical Outcome Survey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SF-36), and a stoma-specific quality of life(Stoma-QO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2.0 Program. The actual number, percentag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of self-esteem was 26.29, social support was 3.33, Physical Component Summary(PCS) of SF-36 was 45.25, Mental Component Summary(MCS) of SF-36 was 44.93 and Stoma-QOL was 34.85.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according to age(r=-.27, p=.01), marital status(F=4.18, p=.00), educational status(F=4.71, p=.00), monthly family income(F=4.34, p=.00), financial burden(t=-2.30, p=.02), and in social support according to age(r=-.29, p=.00), marital status(F=4.48, p=.00), educational status(F=5.30, p=.00), monthly family income(F=7.69, p=.00), length of time since ostomate surgery(r=-.31, p=.00), financial burden(t=-3.16, p=.00), and in PCS according to educational status(F=4.17, p=.00), monthly family income(F=4.13, p=.00), skin problem(t=-2.18, p=.03), financial burden(t=-3.64, p=.00), and in MCS according to marital status(F=3.76, p=.01), educational status(F=3.48, p=.01), monthly family income(F=2.69, p=.03), skin problem(t=-2.00, p=.04), financial burden(t=-2.63, p=.01), and in Stoma-QOL according to marital status(F=3.29, p=.02), educational status(F=6.16, p=.00), occupational change after ostomate surgery(t=-2.17, p=.03), monthly family income(F=5.52, p=.00), skin problem(t=-2.59, p=.01), financial burden(t=-4.55, p=.00). 3.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r=.43, p=.00), between self-esteem and PCS(r=.50, p=.00), between self-esteem and MCS(r=.57, p=.00), between self-esteem and Stoma-QOL(r=.50, p=.00), between social support and PCS(r=.28, p=.01), between social support and MCS(r=.42, p=.00),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oma-QOL(r=.41, p=.00), between PCS and Stoma-QOL(r=.67, p=.00), between MCS and Stoma-QOL(r=.73, p=.00). 4. 33% of variance in PCS was explained by self-esteem, monthly family income.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self-esteem. 38% of variance in MCS was explained by self-esteem. 36% of variance in Stoma-QOL was explained by self-esteem. As a result,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Thus, efficient and variou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ostomates should be developed and to improve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본 연구의 목적은 장루보유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 간의 관계를 탐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장루재활에 필요한 개별화되고 총체적인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3차병원 일반외과 외래에서 정기적으로 추후관리를 받고 있는 20세 이상, 대장암으로 인한 장루보유자이며 장루형성술 후 5년 이내의 장루보유자를 대상으로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하기로 동의한 82명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Rosenberg self-esteem scale로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였고, Zimet 등(1988)이 개발한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를 이용하여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였다. 삶의 질은 Ware와 Sherbourne(1992)에 의해 개발된 일반적 삶의 질(SF-36)과 Prieto등(2005)에 의해 개발된 장루관련 삶의 질(Stoma-QOL)을 사용하였다. 연구자료 수집기간은 2008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이며 자료수집 방법은 전화로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받은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평균 26.29±3.49점으로 낮게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는 평균 3.33±0.65점으로 낮게 나타났고, 일반적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은 평균 45.25±12.97점, 정신적 건강은 평균 44.93±14.83점으로 낮게 나타났고, 장루관련 삶의 질은 평균 34.85±17.92점으로 삶의 질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자아존중감은 연령(r=-.27, p=.01), 결혼상태(F=4.18, p=.00), 교육수준(F=4.71, p=.00), 가구수입(F=4.34, p=.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회적 지지는 연령(r=-.29, p=.00), 결혼상태(F=4.48, p=.00), 교육수준(F=5.30, p=.00), 가구수입(F=7.96, p=.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은 교육수준(F=4.17, p=.00), 가구수입(F=4.13, p=.00)에서 정신적 건강은 결혼상태(F=3.76, p=.01), 교육수준(F=3.48, p=.01), 가구수입(F=2.69, p=.0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장루관련 삶의 질은 결혼상태(F=3.29, p=.02), 교육수준(F=6.16, p=.00), 장루보유 후 직업변화유무 (t=-2.17, p=.03), 가구수입(F=5.52, p=.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자아존중감은 장루용품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t=-2.30, p=.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회적 지지는 장루보유기간(r=-.31, p=.00), 장루용품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t=-3.16, p=.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은 피부합병증(t=-2.18, p=.03), 장루용품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t=-3.64, p=.00)에서 정신적 건강은 피부합병증(t=-2.00, p=.04), 장루용품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t=-2.63,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장루관련 삶의 질은 피부합병증(t=-2.59, p=.01), 장루용품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t=-4.55, p=.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5. 일반적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변수는 자아존중감, 가구수입 순이었으며, 이들 변수들은 신체적 건강항목에 대해 3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일반적 삶의 질의 정신적 건강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변수는 자아존중감 이었으며, 정신적 건강항목에 대해 38%를 설명하였다. 장루관련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변수는 자아존중감 이었으며, 장루관련 삶의 질 항목에 대해 36%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장루보유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는 낮고 일반적 삶의 질과 장루관련 삶의 질도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별한 경우와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장루보유 후 직업변화가 있는 경우, 가구수입이 적을수록 피부합병증이 있는 경우와 장루용품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감이 있는 경우가 삶의 질이 낮았고, 자아존중감이 높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장루보유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사 및 환자 교육프로그램과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