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유경-
dc.contributor.author김화영-
dc.creator김화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8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4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875-
dc.description.abstract학문이 성립되고 발전하는 과정에서 독자성과 정체성은 중요한 부분이다. 특히 다양한 인접학문을 포함하고 있는 연구 분야로서 교육행정학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학문적 정체성을 정립하기 위한 노력으로 일정한 기간에 이루어진 연구결과를 분석하는 것은 학문연구의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교육행정학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은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독자성과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의미있는 작업이다. 교육행정학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 교육행정학의 대표 전문 학술지인 『교육행정학연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1983년부터 2007년까지 발표된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논문을 연도별 현황 분석을 기본으로, 연구내용, 연구방법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교육행정학 분야의 연구 경향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교육행정학연구』가 교육행정학 분야의 다양하고 균형있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에 분석의 초점을 두었다. 첫째, 『교육행정학연구』의 연도별 논문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교육행정학연구』에서는 어떤 주제 영역이 강조되어 왔는가? 셋째, 『교육행정학연구』에서는 어떤 유형의 논문들이 발표되었으며 연구방법별 자료수집방법과 자료분석방법은 어떠한가? 그리고 사용한 연구방법에서는 어떠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25년 간 『교육행정학연구』에 수록된 논문 903편을 선정하여 선행연구를 통한 분석기준을 설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교육행정학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육행정학연구』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분석기준을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영역은 5가지로 영역화하였으며 구체적으로 교육기획 및 정책, 교육제도, 교육인사행정, 학교조직경영, 기타의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연구방법에 대한 분석기준은 연구유형, 연구방법, 자료수집방법, 자료분석방법으로 범주화하였다. 연구유형은 경험적 연구와 서술적 연구로 구분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서술적 연구를 제외한 경험적 연구만을 분석기준으로 하여 양적연구, 질적연구 그리고 통합연구로 나누었다. 그리고 연구방법에 따라 자료분석방법을 설정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양적연구의 경우 단일변량분석과 다변량분석으로 구분하였으며, 질적연구의 경우 내용분석, 기술분석 등을 하위범주로 하였다. 다음으로 자료수집방법은 문헌자료, 설문지, 면담, 관찰 통계자료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분석기준에 따라 『교육행정학연구』학술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논문의 현황 분석결과, 발표된 논문 수는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부터 연 4회의 학술지를 발간하며 논문이 양적·질적으로 성장하였으며 이는 교육행정학 연구 분야를 활성화하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둘째, 연구 영역 동향 분석 결과, 1988년 이후로 학교조직경영에 관한 연구는 계속해서 증가함과 동시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교육행정학연구가 교육행정 현상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다보니 현장 중심 연구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실천적 연구에서 벗어나 연구의 기초가 되는 이론 영역의 연구와 함께 다양한 주제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겠다. 셋째, 연구 방법의 동향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유형에서는 서술적 유형의 연구가 많았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방법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른 자료분석방법은 단일변량분석의 통계방법이 많이 이용되었다. 그리고 문헌조사를 자료수집의 방법으로 선택한 연구가 많았다. 이상의 분석결과와 결론을 바탕으로 한국 교육행정학의 발전과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한국 교육행정학의 발전과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고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행정학 분야 연구 내용의 확대가 필요하다. 집중되고 있는 학교조직경영 영역과 함께 교육행정학의 광범위한 다른 영역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영역 분류에 있어서 학자들의 공통된 부분에 한해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영역을 반영하면서 동시에 시대의 흐름에 맞게 영역의 세분화도 필요할 것이다. 예를 들면, 교육행정의 특정영역인 교육재정, 교육경제, 교육정치 등의 분야와 최근 들어 평가, 외국제도에 대한 관심을 연구 영역의 구체화 시 고려할 수 있는 주제일 것이다. 학문적 정체성을 모색하는 사상 및 철학에 대한 연구도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교육행정학 분야 논문의 연구방법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앞의 분석에서도 살펴보았듯이 양적 연구의 비중이 큰 편이다. 그러나 통계분석방법은 극히 일부 기법만을 사용하고 있다. 연구의 주제에 맞게 다양한 통계방법을 필요에 따라 혼합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즉, 연구문제의 적절한 해결을 위해 그에 맞는 연구방법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육행정 현상에 대한 질적 연구 또는 통합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행정학은 이론적인 면과 실천적인 측면을 함께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적연구에 치우치지 말고, 현상학, 문화인류학, 역사적 접근 등 질적인 연구방법도 이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교육행정 현상을 스스로 체험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면접을 통한 사례연구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 셋째, 교육행정 현상 연구에 대한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 몇 가지의 연구방법 및 자료수집방법을 한 연구에서 동시에 실시하는 작업도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방법의 동향 분석에서 연구유형, 연구방법, 자료수집방법, 자료분석방법만을 분석하였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교육행정학 학문의 질적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연구방법론적 고찰을 구체화하여 연구대상, 연구접근법 등을 세분화하여 학술논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들이 교육행정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학술정보원이며 학문 활동의 주요 결과물이 『교육행정학연구』를 대상으로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최근 교육행정학 분야의 연구 동향 및 연구자들의 연구 활동 특성을 설명해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 국내 교육행정학 분야의 다양하고 균형있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by investigating articles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rom 1983 to 2007, and to provide Korea educational administration directions. For this reason, the 903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rom 1987 to 2007. Among them, research areas and research methods were analyzed on 903 articles categorized. The data were summarized us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This study answers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First, what topic areas have been emphasiz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ticles? Second, what types of articles(e.g., essays, empirical studies) have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roughout the past 25years? Third, what information can be gleaned about the methodologies used in empirical studies? The major findings acquir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ticles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since 1983. Second, many papers concerning the fields of school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educational policy, educational institution, educational personnel administration were published. Third, the most frequently used data analyzing method was univariate method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papers related with qualitative research was relatively very low. Fourth, the most frequently used data collection method was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research trends as the above, research methods and categories of research area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presented this study are not absolute or rigid themselves, but ought to be more sophisticated and improvable in accordance with developing on research and theori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3 C. 연구방법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한국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및 발전과정 = 5 B. 교육행정 연구 동향 분석의 방법 및 준거 = 14 C. 영역별 교육행정 선행연구 분석 = 19 Ⅲ. 연구방법 = 31 A. 연구대상 = 31 B. 분석기준 = 33 C. 연구방법 = 40 Ⅳ. 연구결과 = 42 A. 연도별 동향 분석 = 42 B. 연구영역 동향 분석 = 43 C. 연구방법 동향 분석 = 49 Ⅴ. 결론 및 논의 = 55 A. 요약 및 결론 = 55 B. 제언 및 시사점 = 59 참고문헌 = 61 부록 = 66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75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교육행정학의 연구 동향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교육행정학연구』 1983-2007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rend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in Korea :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rom 1983 to 2007-
dc.creator.othernameKim, Hwa Young-
dc.format.pagexi,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