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2 Download: 0

국회 여성보좌관의 역할 수행과 세력화에 관한 연구

Title
국회 여성보좌관의 역할 수행과 세력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ole Performance and Empowerment of Female Assistants in the National Assembly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필화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국회 보좌진의 역할이 강화되고 특히 여성보좌진들의 활동이 가시화됨에 따라, 여성보좌진에 대한 독립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제기로부터 비롯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회 여성보좌관의 역할 수행 경험과 그 과정에서의 장애요인 그리고 극복전략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이들의 세력화를 위한 과제를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보좌관으로서의 역할 수행에 있어 ‘국회’라는 남성 중심적 조직과 ‘여성’이라는 성별을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보고, 이를 연구자의 여성주의적인 시각을 바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회 여성보좌진의 ‘가시화’는 여성보좌진의 상위직급으로의 진출이 두드러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국회 보좌진의 ‘정책파트너’로서의 역할 강화와 여성의원의 증가, 그리고 여성의 공공부문에서의 참여 확대와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여전히 여성보좌진은 소수에 불과하며, 대부분의 여성보좌진들은 하위직급(9급)에 집중되어 있는 등 국회 내 성별?직급별 불균형은 심각하다. 한편 여성의원들은 여성보좌진을 채용하기 위해 ‘의식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한편으로 여성으로서 느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오히려 여성보좌진을 기피하는 여성의원 또한 많은 것이 사실이다. 둘째, 여성보좌관들은 정책 전문가로서의 자부심을 가지고, 여성이기 때문에 역할 수행에 있어 남성보좌관들과 차이가 있다거나 불리하다고 느끼지 못한다. 특히 그간 남성의 영역이라 생각되었던 국회에 여성보좌관들의 진출이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은 입법 및 정책 과정에 여성의 관점 혹은 양성평등적 관점이 개입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긍정적 의미를 지닌다. 다만 여성보좌관이면 누구나 여성이슈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며, 여성보좌관 혹은 보좌하는 여성의원의 여성의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셋째, 입법기관이 아닌 ‘조직’으로서의 국회는 다른 조직과 마찬가지로 남성 중심적, 보수적, 위계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여성보좌관들의 역할 수행에 장애요인이 된다. 다수의 남성이 주류가 되는 국회 내에서 실제로 여성보좌진들은 소외되거나 배제되고 있었으며, 유리벽과 유리천장 등의 보이지 않는 차별을 겪고 있었다. 특히 연구사례 대부분은 보좌관의 핵심 업무인 ‘정무’ 업무에서 배제되는 경험을 하고 있었는데, 이는 남성 중심적 조직문화와 비공식적으로 형성되는 남성들끼리의 네트워크로부터 배제된 여성보좌관들이 정보 획득과 정치네트워크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라 분석된다. 넷째, 여성보좌관들은 보좌하는 여성의원, 파트너 남성보좌관, 하위직급 여성보좌진들과의 관계 형성에 있어 다양한 갈등의 지점들을 보여주고 있었다. 우선 여성의원과 여성보좌관은 동지적 관계에 있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여성보좌관을 성장시켜 주어야 할 존재가 아닌 단순 비서로 생각하였다. 한편 상당수의 연구사례 여성보좌관들은 남성보좌관과 보좌방식의 차이를 보이며 갈등을 겪고 있었고, 하위직급 여성보좌진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같은 ‘여성’이라는 점이 오히려 부정적 경험을 하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다섯째, 이러한 상황에서 여성보좌관들은 노력과 정보력 그리고 여성의원의 지지를 바탕으로 전문성, 투명한 보좌활동, 수평적 리더십과 같은 ‘여성의 방식’을 통해 역할 수행상의 장애요인을 극복하고 있었다. 특히 여성보좌관이 지닌 여성주의적 가치관은 기존의 잘못된 남성적 관행에 타협하지 않고 이를 변화시켜 나가며, 여성이라는 연대의식 하에 기꺼이 희생을 감수할 수 있는 ‘창조적 소수자’가 될 수 있는 중요한 원동력이 되고 있었다. 여섯째, 여성보좌진들의 세력화를 위해서는 우선 보좌진의 고용불안, 직급별 업무의 미분화와 같은 보좌진 제도 자체의 문제점이 개선되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일과 가정의 양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성보좌진들의 근무환경이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여성보좌진 교육의 확대와 내실화, 여성보좌진의 수(數) 확대를 위한 노력들이 필요하며, 여성보좌진들 간의 연대를 위한 멘토링과 네트워킹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회의 남성 중심적 조직문화를 양성평등적, 가족친화적으로 변화시켜 나가기 위한 노력이 함께 이루어질 때 여성보좌진들이 진정한 전문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그간 잘 알려지지 않았던 여성보좌관들의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제고하고, 전문성 있는 여성 정치자원으로서의 여성보좌관의 가능성을 부각시킴으로써 여성정치발전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생각한다. 특히 여성보좌진에 대한 선행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이뤄진 본 연구는 미흡하나마 여성보좌진 연구와 보좌진 연구에 있어 젠더 분석에 이론적 단초를 제공하여, 향후 더 깊이 있는 연구로 이어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을 ‘여성’의원을 보좌하는 ‘여성’ ‘보좌관’으로 성별과 직급을 한정함으로써, 여성보좌진 간의 직급별 차이, 남성의원을 보좌하는 여성보좌관의 경험, 남성보좌관과의 차이 등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진행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에 대한 좀 더 깊이 있고 구체적인 논의는 후속연구의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This study was conducted as the role of female assistants became important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ir activities became more visible and hence, independent study on them was needed.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ir experience of acting as female assistants in the national assembly, obstacles in doing their roles and strategies to overcome those obstacles, and identified what is needed for them to get necessary power. When studying their role as assistants, we found the "men-dominant" organization like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ender of "female" an important factor and tried to analyze it from a feminist view point. Summarie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female assistants of the national assembly become "visible" as they get promoted to higher grades. Female assistants, however, are still very few and most of them are concentrated in the low level(grade 9). There is a serious imbalance of gender and grade within the national assembly. While female assembly members make a "conscious" effort to hire female assistants, it is also true that a lot of them avoid female assistant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ey face as women. Second, female assistants have the pride as policy makers and they do not feel discriminated even when they are treated differently from their male counterparts. Especially, it is seen positive that female assistants are increasingly entering the national assembly, which has been regarded traditionally the men's area and therefore, female or gender equal viewpoints are taken in law- and policy making procedures. Yet, it is not that all female assistants are interested in female issue. The viewpoint of female assistants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how the female assistants or national assemblywomen see the role of women. Third, the national assembly, as an "organization" but not as a law enacting body, can have the male-centered, conservative and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which is an obstacle for female assistants to play their role. In the national assembly dominated by men, female assistants are either isolated or excluded and face the discrimination such as the glass walls or the glass ceiling. In most cases studied, female assistants were excluded from their "ordinary" roles, their essential roles, and therefore have difficulties in gaining information and forming networks. It seems because there was male-center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y were excluded from the men's informal networks. Fourth, female assistants presented many difficulties in building relations with the national assemblywomen they support, their partner male assistants and female assistants of lower grade. Female assembly members and female assistants are in a partner relation, but in most cases, the assemblywomen regard their female assistants just as their secretaries, but not as the ones they should help grow. Also, in most cases, female assistants showed different ways of assisting their bosses from their male counterparts and therefore were in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 with the female assistants of lower grade, the fact that they were "females" worked negatively. Fifth, in this environment, female assistants were overcoming the obstacles through their own efforts and information gathering, and supported by national assemblywomen, in "female ways" such as professionalism, transparent assisting and horizontal leadership. The feminist values of female assistants, in particular, worked as an important driving force to become "creative minority" that do not compromise with the wrong traditional masculine customs, rather change them and readily sacrifice under the joint spirit of females. Sixth, to build power of female assistants, problems of the female assistant system such as the unstable employment and not sufficiently detailed allocation of tasks per grade should be solved first. Besides, the working environment of female assistants should be improved as they also have to support their families. Also, efforts to expand and firm education of female assistants and to increase the number of female assistants are needed. Mentoring and networking for solidarity among female assistants need also to be activated. Lastly, when there are efforts to transform male-centered organizational culture to gender-equally and family-friendly one, female assistants can truly grow into professiona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female politics by analyzing activities of female assistants that have been not known so far, drawing a social attention to them and showing the potential of female assistants as political resources. Especi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when there was no precedential study on female assistants, and therefore, provides a theoretical platform for the gender analysis in the study on female assistants and leads to more in-depth studies in future. This study, however, also has limitations in that it did not analyze variety of issues such as experiences of female assistants who support male assemblymen or their differences from male assistants by limiting their gender and grade by defining the study subjects just as "female" "assistants" that support "female" assembly members. More in-depth and concrete studies are needed in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