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2 Download: 0

Benjamin Britten 작품에서의 Passacaglia 연구

Title
Benjamin Britten 작품에서의 Passacaglia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Passacaglia in Benjamin Britten’s Works Analysis of 「Dirge」in “Serenade for Tenor, Horn, Strings, Op. 31” and 「The Storm」 in “Noye’s Fludde, Op. 59.”
Authors
신한나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홍인
Abstract
20세기의 영국 음악에서 가장 대표적인 작곡가라고 할 수 있는 벤자민 브리튼(Benjamin Britten, 1913-1976)은 기악곡, 성악곡, 합창곡, 오페라 등 거의 모든 장르에서 활발한 작곡 활동을 보였으며, 특히 성악곡과 오페라에 있어서 뛰어난 작품들을 남겼다. 그의 특징적 작곡 기법으로 볼 수 있는 대위법, 변주곡, 선법의 사용, 주제의 동기적 사용, 르네상스 시대에 주로 나타난 패로디 기법, 종지의 모호성 등이 그의 작품에서 주로 나타난다. 또한 그는 전통적인 음악 기법과 현대적 음악 어법을 함께 작품 속에 사용하는 영국 음악의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본 논문은 브리튼의 파사칼리아의 기법으로 작곡 되어있는 작품들 성악곡인 “테너, 호른, 현악합주를 위한 세레나데 Op. 31(Serenade for Tenor Solo, Horn and Strings Op. 31, 1943)” 의「Dirge」와 오페라인노아의 대홍수 Op. 59(Noey’s Fludde Op. 59, 1957)” 의「The Storm」을 분석하여 그가 사용한 파사칼리아 주제 구조, 작곡기법과 그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분석에 앞서 브리튼의 생애와 작품시기의 구분, 그리고 이에 따른 작품의 특징을 살펴보고 본 연구 작품에 사용된 시, 가사와 형식, 파사칼리아 주제의 선율과 동기, 리듬, 음계적 소재, 선율 진행, 화음의 사용 및 반주부를 중심으로 분석 하였다. 브리튼의 “테너, 호른, 현악합주를 위한 세레나데 Op. 31”중 네 번째 곡인“Dirge”에서는 성악 성부에서 여섯 마디로 이루어진 파사칼리아의 주제 선율이 지속적이고 규칙적으로 나타난다. 파사칼리아 주제는 주로 순차 진행하는 선율 구조로 인한 아치형의 선율 윤곽을 보이며, 주제에 나타난 동기들은 곡 전체에서 변형, 발전되어 나타난다. 반주부(Horn, Strings)에서는 그에 대응하는 푸그 주제에 의해 곡이 전개 되는데, 파사칼리아 주제의 동기적 요소에 의해 변형,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중심음에 따라 이도 되어 주제가 변형되어 나타난다. “노아의 대홍수 Op. 59”의「The Storm」에서는 현악 반주에서 네 마디로 이루어진 파사칼리아 주제가 나타나며, 주제에 대응되는 다른 주제는 없지만, 오케스트라 반주와 합창에서 주제의 동기적 요소에 의해 변주가 나타나 단조로운 파사칼리아 주제를 발전시킨다. 이 두 작품을 통해 브리튼은 전통적인 작곡 기법인 파사칼리아의 사용으로 작품에 통일감을 주고자 했다. 이 두 작품 모두 기악곡이 아닌 성악곡의 파사칼리아라는 점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Dirge」에서는 파사칼리아 주제에 대응하는 푸그 주제가 반주 성부(Horn, Strings)에서 나타나며, 주제의 동기적 요소에 의해 확대, 발전된다. 반면, 「The Storm」은 파사칼리아에 대응하는 주제는 없지만, 주제의 동기적 요소에 의해 오케스트라 반주가 악기 구성을 달리하여 음색적 대립을 이루고 있으며, 주제의 동기적 요소가 끊임없이 변주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진행 속에 현악 반주에서 지속적으로 파사칼리아 주제가 반복되어 곡의 통일감을 주고자 했다. 그는 이 두 작품에서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파사칼리아 주제와 그에 대응하는 주제의 동기적 요소를 사용하여 발전시켰으며, 다양한 변주 형태를 반주 성부에서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브리튼은 전통적인 대위양식과 더불어 새로운 음악 어법을 통해 자신만의 독창적인 음악을 발전시켰으며, 침체 되었던 20세기의 영국 음악을 구축하려 노력한 작곡가임을 확실히 보여주었다.;Benjamin Britten is considered as one of the England’s most influential composers after Henry Purcell in the 20th century. He is famous for synchronizing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and contemporary modern musical elements without losing the essence of musical tradition in England in the 20th century. This thesis analyzes two pieces of Britten’s works from both voice work and opera which are composed using passacaglia during the period of 1942 to 1962. The first is 「Dirge」 in [Serenade for Tenor Solo, Horn and Strings Op. 31, 1943] and the second is 「The Storm」 in [Noey’s Fludde Op. 59, 1957]. Through analysis of these works, it reviews the theme structure, method of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ssacaglia he presents. This thesis sheds light on Britten’s life, categorization of his works and prominent features of his works accordingly. Furthermore it analyzes the poems employed in his work, lyrics and structure, melody of the passacaglia theme, motive, rhythm, the scale, the progress of melody and usage of chords and the accompaniment. Although Britten utilized traditional counterpoint technique, he developed his own style of music. By adopting repetition, regularity, and the major traditional elements of passacaglia, he pursued the consistency and balance throughout his entire music. Britten created his expressive and original music in presenting another theme in response to the themes passacaglia, introducing a subtle method of varied themes, and integrating traditional symphonic tone with those of the 20th century. These two works chosen in this thesis reflect well upon his diligence and fervor for establishing a new direction for England’s music in the 20th centu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