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숙-
dc.contributor.author오선민-
dc.creator오선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9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7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4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751-
dc.description.abstractModern novels have triggered the literature of universal language in middle ages to develop the literature of slangs and dialects, and provided the members of community with a reading experience that is based on common memories. As novels were simultaneously delivered by the standardized print language, certain area could be imagined as one linguistic community. Korea also began to develop interest in modern ‘novels; around 1905. As the historical novels and fictional biographies rendered the emergence of ‘nation(minjok)’ as the collective representation and made Korea to dream of the possibility of national literature, political expectation in novels began to heighten even more. What were the historical backgrounds that enabled Korean novels to seek modernity through national literature? What was the epistemological assemblage when the representation of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language was problematized? Predicated on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that supported the movement away from the savage to the civilization, ‘modern’ has bean idealized as the upcoming time and space that one must reach. The modern of the non-West is often called the interpreted modern. In the East,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acquired the position of historical truth, after the Opium War in 1839 and well into the period of Russo-Japanese War and Sino-Japanese War according to the modern international law. Since Korea opened up its port to the West in 1876, many institutional reforms based on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were attempted on political, social level. Civilization discourse understands the diversity in time and life as the simple, linear track that leads the savage to the civilization. In order for Korea to not fall in the hands of the imperial powers as their colonies, it had to prove how well or how much it has embodied civilized institutions or civilized notions. Even the literary modernity was achieved under the pressure of civilizatio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discourse of civilization with the diverse concepts or writings is the pretext to asking the historicity and literarines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re are a few phenomena that indirectly proves literature’s relationship with the civilization. The awareness for national language and the necessity for literary language emerged in the attempt to understand and translate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National language’ became the issue among the students studying abroad as the media for translating civilization, and the literature was also called forth to cultivate people to become civilized human beings with emotional elements. The concept of ‘Korean literary history’ that was conceptualized during the mid-1910s was maintained by the conscious effort to register Korea in the history of world civilization. The influence of civilization discourse is verified in actual narratives, not alone in the concepts that surrounded modern literature.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civilization,’the modern novels can be identified as a formal series on both levels of narrative content and expression. This series can be named as the narrative of oversea study. Since 1905, the literary works that tried to achieve literary modernity in line with the fictional biographies laid their eye on those who went overseas to accomplish civilization. Starting with The Tears of Blood, the incidents that happen to the characters who go abroad, experience the civilization, come back and/or go abroad again become an important aspect of a novel. The fact that numerous sinsoseol, the novels that occurred and grew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ook up the overseas study experience as a theme allude to the strong influence from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called the civilization discourse. To be sure, many students were going abroad at the time. It was urgent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essence of ‘civilization’ that already existed in the West in order to get the ‘civilization’ translated, which was good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Novels sometimes treated the process of civilization as an event, using its narrative imagination, even before that many students went abroad, and definitely before these students came back. Novels were not merely reflecting the reality, but already deploying the thoughts on civilization, along with or prior to the reality. When novels invented the sympathetic community based on the reading experience of national literature, they produced directly the communal identity through the fictional characters. If the historical novels or fictional biographies planned the poiesis of people’s empathy by using the national heroes as the protagonists, what kind of identity was produced by the novels that used students studying abroad as protagonist? What kind of imagination was evoked to the readers of the community by the fictional characters who specialized them within the theme of overseas study? Tracing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novel with the theme of overseas study would be an attempt at revealing how the literary imagination driven by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constructed the collective identity of Korea inside and out.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was reconstructed as a cultural discourse around 1919. In the 1920s, the logic of ‘from the savage to the civilization’ was deployed in artistic and spiritual level. This was not unrelated to the beginning of Daisho period in 1921 and the democracy craze that swept away the imperial Japan. The result was a shift of gravity: ‘culture’ acquired more importance over ‘civilization.’ This coincided with the time when modern novels no longer took study abroad experience as an important theme of imagination. Overseas study was considered as a universal path to acquire higher education in real life, and the literary attempts to produce identity predicated on the civilization discourse have secured certain figures of civilized subject. Along with this change, the narrative of overseas study lost its momentum. In the 1920s’ novels, the characters studying abroad idled around in their little rooms without studying, or frustrated by failed romance. They faded into the background and the overseas experience itself did not evoke meaningful events. However, the kind of novel that reflected on the logic of civilization and its epistemological power were still being written occasionally, whether the objective was ‘civilization’ or ‘culture.’ In some novels that appeared after the mid-1920s, attempts were made to problematize the violence embedded in the identification process coerced by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The narrative of overseas experience showed absolute faith in the identification of civilization, but it also questioned the antinomy of civilization. This dissertation aims to demonstrate the intimacy that civilization discourse shares with the manifestation of modern novels by focusing on the emergence of concepts such as “Korean language,” “literature,” “history of Koran novels,” etc. Within the large category of the narrative of oversea study, the novels that problematized the question of civilization and the production of identity are divided into different types on the level of content and expression. The beginning of narrative of overseas study that sought the modernity of Korean novels along with civilization could be marked by The Tears of Blood (1906), and the end could be marked by The Tale of Manse (1923; first published under the title, “The Cemetery.”) The series of overseas study narrative planned, represented and acknowledged the identification of civilization. “The Price of First Love”, “Diary of Kim Jeong-gui” and “During the Half-Year” questioned the identification of civilization from the mid-1920s to the early-1930s, when the righteousness of civilization was no longer questioned. These novels denied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and the identification process, upon which the narrative of overseas study depended until 1910s by its narrative expression. Recognition of self is achieved through the other. However, none of the non-Western areas display a homogeneous phenomenon, though they identically recognized themselves through the other called the West or the civilization. Hence, by examining a series of accepting and interpreting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novel, the singularity of Korean novel among the modern phenomena of world li terature which was indebted to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since the nineteenth century.;본 연구는 한국 근대 소설에 나타난 해외 유학의 서사적 특성을 밝힘으로써 소설 안에서 생산되는 주체의 문명화 과정을 검토하고자 한다. 국민 국가가 소설의 감화력과 계몽성에 기대어 그에 내속하는 국민적 정체성을 생산할 수 있었다면, 그때 생산된 정체성의 성격이 문제가 될 것이다. 영토의 식민화 과정 속에서 이루어진 주체화의 문학적 형태들은 문명이라는 단어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국의 근대성은 야만에서 문명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문명론’적 역사 인식에 반응하면서 구축되었다. 1876년 개항을 기점으로 제국 열강들과 맺게 되는 불평등 조약은 문명화의 대의와 함께 강제되었다. 가열찬 식민화의 압박과 함께 수용된 문명 개념은 하나의 집단과 한 사람에게 자발적 계기에 의해 달성되는 문명화를 인정하지 않았다. 조선을 근대적 문명국으로 만들기 위해, 또 조선인이 문명인이 되기 위해서는 문명이 있다고 말해지는 곳으로 나아가서 배워 올 수 밖에 없었다. 해외 유학과 해외 유학생의 삶이 사회적으로 주목받게 된 까닭이 여기에 있다. 근대 소설의 기원을 장식하는 작품들 안에서 해외 유학은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정치적 식민화에 밀려 가면서 문명 주체로의 전환에 서둘렀던 계몽 지식인들에게 소설은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한 문명화 도구였다. 그러나 소설에 해외 유학생이 출현하고 문명의 학습처가 배경으로 주어진다고 해서 그것이 현실을 반영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유학이 본격화되기 전이나, 여학생의 사회적 출현이 자연스러워지기 전에 소설에서는 이미 태평양을 건너는 여자 유학생들이 등장하고 있었다. 근대 소설은 문명론을 둘러싼 이념과 실제 사이에서 문명화 과정 자체를 질문하는 사유의 공간이었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문명론이 근대 소설에 미친 영향력을 확인하고, 문명 주체화의 서사적 유형론을 만들기 위해 실제 해외 유학생들의 행보를 추적해 볼 수 있는 당대의 신문과 잡지, 유학생들의 학회지, 해외 유학을 다루고 있는 소설 작품들을 적극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선택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유길준의 「서유견문」(1895), 이인직의 「혈의 루」(1906), 1900년~1910대 유학생 학회지의 다양한 서사물, 현상윤의 1910년대 작품들, 나혜석의 「경희」(1918)와 구미 유람 실기(1920~1930년대)들 , 이광수의 유학기인 「동경잡신」(1916), 이광수의 장편 「무정」(1917), 염상섭의 「만세전」(1923), 주요섭의 「첫사랑값」(1924, 1927), 임영빈의 「김정긔의 일기」(1931.1933), 박태원의 「반년간」(1933). 쓰여진 시대와 다루고 있는 해외 유학의 모습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들은 모두 문명 주체화에 필요한 타자 인식과 자아상의 구축 과정을 서사의 중심 테마로 삼고 있었다. 본문의 논의들은 다음의 진행을 따른다. Ⅱ장에서는 동아시아 근대 문명론이 어떤 과정을 통해 출현하게 되었는지 진보와 진화 개념의 번역 과정을 통해 밝히게 된다. 문명론과 근대 문학이 갖는 상관성 속에서 해외 유학 서사가 출현하게 되는 맥락을 재구해볼 것이다. 조선의 식민화란 문명론을 인정하고, 보다 개명한 일본에 지적으로 종속되는 과정이었다. 작품 안에서 해외 유학은 일본을 경유해서 서양으로 나아간다는 발상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Ⅲ장과 Ⅳ장은 해외 유학 서사가 구현한 주체화의 양상을 서사적으로 유형화한다. 서사가 발생시킨 문명 주체의 모습을 문명의 이념적 주체와 문명의 체험적 주체로 나누었다. 문명 주체화를 하나의 이념으로 삼고 쓰여지는 서사들은 유학처로 떠나는 모습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를 출발 서사라고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바다를 건너게 되면서 문명론 자체가 주제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문명은 아버지로 조선은 어머니로 표상되었고, 아픈 어머니를 떠나 문명한 아버지의 세계로 건너가는 모험 속에서 주체들은 비로소 자신의 미성숙을 깨닫고 성숙한 문명인이 되어갔다. 문명국의 학습처인 도시는 그 자체가 거대한 학교였다. 이 거대한 학교는 조선의 궁벽한 현실을 되비추어 주었다. 이때 유학처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도시적 삶을 소개하는 방식으로 서사화되기도 했다. 조선은 상대적으로 궁벽한 농촌으로 표현되었다. 유학생 주인공이 환상적인 경험을 하는 서사에서는 문명과 야만 사이에서 방황하는 주체를 확인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서사들은 문명 주체로 거듭나는 장면으로 수렴되곤 했다. 출발 서사와 마찬가지로 일상의 서사화에서도 문명화를 하나의 이념으로 받아들이는 주체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한편, 문명 주체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체의 분열과 갈등을 서사화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이런 시도들 중에는 재출발의 형식을 취하는 것들이 있다. Ⅳ장의 A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는 바가 이것이다. 해외 유학의 서사화에서 보다 문제가 되는 것은 유학을 끝내고 조선으로 귀환하는 일이었다. 「무정」과 「만세전」은 조선과 문명화 과정이 갖는 관계를 논리화시키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문명 주체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단순히 전근대적 조선을 부정하거나 추상적으로 해외의 문명을 긍정해서는 안되며, 조선이라는 고향을 적극적으로 문명화 과정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인식이 작품 속 유학생들의 여로를 통해 드러났다. Ⅳ장의 B에서는 해외 유학이 강제한 문명 주체화를 회의하는 작품들을 분석했다. 유학처에서 이국 여인과 만나게 되는 남자 유학생들은 공부도 못하면서 사랑에도 실패했다. 우승열패와 적자생존의 논리를 갖는 문명론은 이민족간의 순수한 사랑을 지켜줄 능력이 없었다.(주요섭, 「첫사랑값」) 때로 문명이 온전히 백인들만의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게 되면, 문명화되기 위해 도항을 감행했던 이들에게는 돌아갈 곳이 없어져 버리기도 했다.(임영빈, 「김정긔의 일기」) 문명인도 조선인도 될 수 없는 이들의 이중 구속된 처지는 사랑의 불가능성과 함께 폭력적으로 재현되기도 했다.(박태원, 「반년간」) 그리고 문명론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삶의 출구에 대한 암시가 드러나기도 했다. 작품 안에서 문명 주체화에 도달하지 못하는 주인공이 등장한다고 해서 이들 서사의 의미가 퇴색하는 것은 아니다. 식민지 조선에서 문명 주체화란 조선의 입장에서는 피식민 주체화 과정이기도 했다. 해외 유학 서사는 문명론의 이율배반을 회의하면서 피식민 주체화에 저항했다. 본고는 해외 유학생들을 통해 근대 문명을 도입하는 일이 가능했었다는 점에 착안해서, 그들을 문명의 번역자, 문명과 조선을 왕복운동하는 환승자로 정의한다. 번역자에 의해 두 개의 언어 공동체가 연결되고 서로를 지탱할 수 있듯이, 해외 유학생들을 통해 문명과 야만이라는 경계가 확인되고 또한 매개된다. 문명과 야만을 상태적으로 정확하게 분절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들 개념은 절대적 배리 관계에 있지 않고, 상대적 참조 관계 속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외 유학생들을 통해 두 세계는 배타적으로 설정되었다. 해외 유학 서사는 식민지 출신의 유학생이 자기 내부에서 끊임없이 문명과 야만을 분절해 내는 모습을 보여준다. 서사화된 유학생들은 문명국의 시민 교육 속에서 소외를 느꼈을 뿐만 아니라 고향의 전통과도 서서히 유리되어 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 1 A.연구 목적과 연구사 검토 = 1 1.연구 목적 = 1 2.연구사 검토 = 3 B.연구 방법과 연구 범위 = 9 1.연구 방법 = 9 2.연구범위 = 18 Ⅱ.동아시아 근대 문명론과 해외 유학 제도 = 19 A.동아시아 근대 문명론과 앎의 제국주의 = 19 1.근대적 '문명'개념과 문명론의 출현 = 19 2.진보와 진화 개념 수용과 앎의 제국주의 = 23 B.조선의 식민화와 해외 유학 제도 = 31 1.일본 유학과 지적 식민화 = 31 2.문명 담론의 확산과 해외 유학처 다변화 = 39 C.문명론의 문학적 수용과 해외 유학 서사의 출현 = 47 1.[서유견문]과 재현 체계 간의 혼용 불가능성 = 49 2.미디어 언어관과 객관성의 출현 = 53 3.이광수의 국문관과 언어적 과도 시대 = 57 4.문명 주체화와 해외 유학 서사 = 61 Ⅲ.해외 유학 서사와 문명의 이념적 주체 = 67 A.출발 서사와 문명 주체화 구상 = 68 1.출발의 반복과 문명론의 주제화 = 68 2.문명의 아버지와 조선의 어머니 = 81 3.계몽 서사의 문명 주체 기획 = 87 B.일상의 서사와 문명 주체화 실현 = 96 1.학습과 여가의 시공간 재현과 문명론의 실체화 = 97 2.문명과 야만의 장소적 이분법 = 110 3.분열 서사의 문명 주체 체현 = 120 Ⅳ.해외 유학 서사와 문명의 체험적 주체 = 143 A.재출발의 서사와 문명 주체화 정립 = 144 1.귀환과 재출발의 여로와 문명론의 절대화 = 144 2.문명의 생명화와 조선의 재생 = 153 3.환승 서사의 문명 주체 변화 재현 = 167 B.사랑의 서사와 문명 주체화 균열 = 182 1.사랑 불가능성 반복 제시와 문명론의 한계화 = 182 2.인종적 문명화와 조선의 민족화 = 192 3.이중 구속 서사의 피식민 주체화 회의 = 199 Ⅵ.한국 근대 해외 유학 서사와 식민지 주체화의 의미 = 213 Ⅶ.결론 = 218 참고문헌 = 224 ABSTRACT = 2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875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근대 해외 유학 서사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Narrative of Overseas Studying Experience in Early Modern Korea-
dc.creator.othernameOh, Sun Min-
dc.format.pageⅶ, 24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