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9 Download: 0

외국계 생산/제조 기업에서 요구되는 영어 업무 커뮤니케이션

Title
외국계 생산/제조 기업에서 요구되는 영어 업무 커뮤니케이션
Other Titles
A Study about English Communication at a Non-Domestic Manufacturing Company : Case study of A corporation : focusing on administrative assistants
Authors
양지혜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지현
Abstract
The popularity of entering a foreign company among students is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in Korea. This trend is also shown in the area of administrative assistants. However, many people are applying without knowing the differences between foreign companies and local companies in terms of skills and qualifications required to perform their jobs. There is no doubt that this is not okay for both the organizations and the employees themselves. The organizations need to hire the people who they want and need, and the people applying for should also consider if they have enough skills and qualifications the companies are looking for. This will directly lead the organizational success. Having a great business English communication skill at a foreign company, especially when there are subsidiary organizations all over the world, must be one of the essential skill that the employees should have. In this study, 35 employees working at A corporation have participated for the research to find out what kinds of English communications are used at a workplace in a foreign company. To focus on the job of administrative assistants, I have categorized the respondents' into three groups: 15 of administrative assistants to foreign boss, 5 of administrative assistants to Korean boss, and 15 of employees (non-administrative assistants). As an initial step, to draw main issues, a survey method was conducted including open-ended question and critical incident techniques. After that, I proceeded an in-depth interview with 9 people (3 respondents from each group) to get information more in details. With the data I got from the interview, I classified the answers by category and put that data into MS Excel(MS-office 2003) to analyze it by using frequency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emailing was the most frequent and important method in English communication at workplace among all the three groups. Though oral communication and written communication took similar portion in high-ranked frequency in the assistants' group, non-assistant group seemed they were required to use written communication more than oral. Second, in the analysis of English communication barriers at workplace that the employees are having, oral communication (translation, telephoning etc) and written communication (writing English documents) had also similar portion in assistant group to foreign executives. But in assistant group to Korean executives and non-assistant group, various oral communications (telephoning, face to face communication etc) seemed to be a big barrier in English communication in performing their jobs. Third, in the analysis of demands on English communication education of the employees, business writing such as emailing, writing English documents were the ranked as high priorities for written communication. For oral communication, there were high demands on presentation skill, business telephoning etc. This study has meaningful significations in terms of those factors as follows; Most of all, it is the research at initial stage trying to reveal workspace communication in English in Korea. Specially, there was no study about English communication in foreign manufacturing organization at all. Throughout conducting this study, the English communication pattern in real business world, the barriers in that were found out by the employees in reality. Also, this study has an important meaning since it also got hold of educational demands of the employees working at a foreign manufacturing organization which can help them improve their English communication at the workplace. There were several educational demands in both oral and written communication, but the skill writing business English documents, especially writing business email which takes the most parts in the job was the most demanded. Lastly, in the sense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people who like to work at a foreign manufacturing company in their preparation, development plans, it also has the value. This study as the initial step, however, was conducted to research the examples as a case study instead of generalization of a certain situ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ere will be more studies on workplace English communication more in concrete manner which can propose detailed directions and methods for effective English communication education at foreign manufacturing organizations.;외국계 기업에 취직하기를 원하는 학생들과 국내 기업에서 외국계 기업으로의 이직을 원하는 기 취업자들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이는 비서라는 직업 군에서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외국계 기업의 특성이나 외국계 기업에서 요구하는 능력, 자질 등을 잘 알지 못한 채 무조건적으로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기업의 입장에서도, 그리고 취업자의 입장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기업은 자신들이 외국계 기업으로써 원하는, 필요한 인재상을 정확히 뽑아야 하며 구직자들 역시 자신들의 능력, 자질 또 기업으로부터 기대하는 요소들에 부합하는 기업을 골라서 지원을 하는 것이 서로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계 기업 근무에 요구되는 필수 능력 중 영어 커뮤니케이션 활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외국계 생산/제조 기업인 A 기업에서 현재 재직중인 35명 (외국인 상사의 비서로 15명, 한국인 상사의 비서 5명, 그리고 일반 사무직 종사자 1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했다. 이는 2006년 이루어진 안혜원의 외국계 금융기관 종사자에 관한 업무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후속 연구로 외국계 생산/제조업체 종사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기 위함이다. 각 집단에게 요구되는 영어 능력의 범위와 정도를 분석하여 A 기업과 비슷한 특성을 가진 외국계 기업에서 일하기 위해 요구되는 여러 가지 자질 중 영어 능력에 대한 분석을 해보았다. 우선 35명 모두를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과 핵심상황기법 (critical incident technique)을 포함한 설문지를 배포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내용들에 대한 주요 이슈를 도출하였고 이슈들 중 더욱 심층적인 조사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 각 집단 중 세 명씩 총 9명을 선출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결과 중 내용분석이 필요한 부분들에 대해 답변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정리한 후 MS-EXCEL (MS-Office 2003)에 입력하고 빈도 분석으로 순위를 계산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커뮤니케이션 빈도 분석에서는 세 집단 모두 문서 커뮤니케이션 중 이메일이 가장 많이 쓰이고 그 중요도도 가장 크다고 답했다. 외국인 상사 비서직과 한국인 상사 비서직은 구두 커뮤니케이션과 문서 커뮤니케이션이 비슷한 비율로 높은 빈도를 보인데 비해 일반 사무직 종사자들은 문서 커뮤니케이션이 빈도수에서 상위 수준을 보였다. 둘째, 영어 커뮤니케이션 장애 유형 빈도 분석에서는 외국인 상사 비서 집단에서 구두 커뮤니케이션 (통역, 전화응대 등)과 문서 커뮤니케이션 (영문서 작성 등)이 비슷한 비율을 보인 데 비해 한국인 상사 비서 집단과 일반 사무직 집단에서는 여러 가지 구두 커뮤니케이션 (전화응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등)이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어 커뮤니케이션 교육 요구 분석에서는 문서 커뮤니케이션에서는 비즈니스 영작 (이메일, 영문서 작성)이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고, 구두 커뮤니케이션에서는 프리젠테이션 기술과 비즈니스 전화응대 등이 높은 요구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실제 기업의 영어 업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국내 초기연구라는데 의의를 가진다. 특히 외국계 생산/제조 기업에서의 업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기존 연구는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 실제 외국계 생산/제조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비서들과 일반 사무직 종사자들로부터 직접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업무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구체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둘째, 외국계 생산/제조 기업에 실제 종사하는 사람들의 응답을 통해 업무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에 대해 파악하였다는 데에도 의의를 가진다. 구두 커뮤니케이션과 문서 커뮤니케이션에서 모두 교육 요구가 대두되었으며 특히 영어 작문, 그 중에서도 업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즈니스 이메일 작성 기술에 대한 교육요구가 굉장히 높게 나타났다. 셋째, 외국계 생산/제조 기업 취업을 원하는 예비 비서들이나 이직을 원하는 현직 비서들, 그리고 일반 사무직 구직자들의 경력 계발, 준비 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외국계 생산/제조 기업 종사자들의 영어 업무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포괄적으로 탐색해본 기초적 연구로써 앞으로 이를 효율적인 영어 업무 커뮤니케이션의 교육 방안과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