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3 Download: 0

제 7차 사회과 개정 교육과정의 비판적 담화분석

Title
제 7차 사회과 개정 교육과정의 비판적 담화분석
Other Title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on the Ba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Principles
Authors
최윤정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숙자
Abstract
21세기 한국사회의 변화하는 인구환경과 민족구성, 인종간 긴장과 갈등, 국제결혼 및 이주노동자의 증가로 인한 다문화가정 자녀 등으로 인해 다양한 민족, 인종, 종교, 국가의 문화들이 우리들의 일상적 삶에서 공존하며, 문화적 다양성과 인구구성의 변화 정도는 점차 심화되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인종, 다민족, 다문화적 요소를 끌어안을 수 있는 관점과 태도의 함양을 중시하는 다문화교육이 새로운 교육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과정 구성원리에 기초하여 제 7차 사회과 개정 교육과정이 다문화교육의 원리와 내용을 사회과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반영하고 있는가를 비판적 담화분석방법에 의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제 7차 사회과 개정 교육과정이 다문화교육의 원리와 내용을 사회과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반영하고 있는가? 1-1. 다문화 교육과정 구성 원리인 11개 각 항목이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어있는가? 1-2. 초·중·고등학교 학교급별 교육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2. 교육과정이 생성되는 사회·역사·문화적 배경의 관점에서 제 7차 사회과 개정 교육과정은 한국의 사회·문화적 환경에서 어떠한 영향을 받았나? 3. 향후 교육과정은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며 개선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다음의 내용을 살펴본다. 첫째, 다문화교육의 개념, 원리와 목표,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특히 민주시민성 교육과의 연관성 및 사회과 교육과정에의 통합의 의미를 찾는다. 둘째, 다문화교육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원리 11개 항목을 선정한다. 셋째, 제 7차 사회과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지향의 원리와 내용을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비판적 담화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한다. 넷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을 반영한 사회과교육의 방향을 제언한다. 이를 바탕으로 실시된 분석의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트 분석 차원에서 실시된 교육과정에 대한 항목 분석의 결과 간학문적·다학문적 관점을 통한 통합적 접근과 관점의 다양성을 사회과의 성격과 목표 그리고 내용의 주요 요소로 다루고 있고, 유능한 시민으로서의 기능 발달의 측면은 초·중·고등학교 전 과정의 사회과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를 통해 주요 목표와 내용으로 제시하고, 내용 요소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아·민족정체성 발달, 국내의 여러 민족·문화적 집단의 총체적인 경험과 집단간 갈등, 지역사회 탐구의 원리는 교육과정에 통합적으로 반영되지 못하고 학교급별로 또는 내용 영역별로 편중되어 있고, 교수·학습방법과 평가의 다원화도 제한적으로만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급별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면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지역사회의 탐구와 경험중심 교육의 실현을 교육과정 내용체계의 중심으로 반영하고, 환경확대법의 계열성의 원리를 반영하고 있다. 중학교 교육과정은 한국사를 다루는 8학년 교육과정 역사 영역에서 각 시대별 국가와 사회에 대하여 국가의 영토적·문화적 성장을 다각화된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으며, 국가의 지리문화적 범위 내에서 발달해 온 다양한 사회를 균형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한국근현대사를 다루는 역사영역에서 한국사회의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 민족 정체성, 사회통합을 중요한 구성원리로 다루고 있으나, 일반사회 영역의 단원들은 타학문과의 연계성과 간학문적·다학문적 구성원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주변국들의 역사 왜곡에 대처하고 국가적 통합을 위한 이념을 교육하기 위한 역사 교육 강화의 필요성에 따라 개정된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은 역사 과목이 독립됨으로써 종합적이고 총체적인 시각이 요구되는 사회인식과 통합교육의 원리가 제한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반면 국가위상확립과 역사교육강화의 목표를 강조하여 사회·문화적 변화를 반영한 교육과내용 제시와 내용 체계 개편에는 소홀하여, 변화하는 시대상황과 한국 사회의 다문화적 변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모순을 보인다. 넷째, 제 7차 사회과 개정 교육과정이 한국 사회·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메커니즘을 가장 특징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사항은 제 7차 사회과 개정 교육과정에서 남북분단과 갈등, 정치·경제·사회·문화·언어적 차이, 평화통일을 위한 노력 등 한국의 분단국가로서의 사회적 특수성을 다문화적 요소로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가 제언하는 한국사회와 학교 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과 향후 다민족·다원주의 사회에서 다문화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의 의미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다문화교육 이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피부색이나 민족집단에 관한 내용의 다문화교육 차원을 벗어나서 교육적 평등과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 유능한 민주시민을 기르는 교육 개혁 운동의 일환으로서 이해하고 이론을 정립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둘째, 다문화교육의 원리와 내용을 반영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혁과 학교 차원에서의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사회과교육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에 이르기까지 교육과정의 전반에 걸쳐 타인을 이해하고, 문화와 민족적 특성을 존중하고 다양한 집단의 문화와 가치를 인정하는 관용적 태도를 갖고, 자유·정의·평등과 같은 민주주의적 이상을 추구하는 내용과 목표를 반영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전반을 개혁하는 동시에 민족·문화적 다양성이 전체적인 학교 환경에 스며들고, 전반적인 학교 정책과 절차가 긍정적인 다문화적 상호작용과 이해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학교 차원에서의 노력도 기울여야 한다. 셋째, 현장 교사들이 다문화교육 실시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교실 수업에서의 다문화교육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의 제한점을 개선해야 한다. 국가 교육기관은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충분한 자료의 제공과 인식의 확산이 중요하다. 그리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이나 교과서 집필 시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미래의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보다 강조하거나 심도 있게 다루어야 할 다문화교육의 내용 요소를 반영해야 할 것이다.;One of the major social changes of Korean society since the 1990s is diversified population and the advent of multiculturalism. A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labor immigrants, and the second gene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re getting increasing, diverse racial, ethnic, religious, and cultural groups coexist in our daily lives. In this situation, how best to educate citizens to function effectively in a multicultural society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as the ethnic, racial, and cultural context of Korea deepens. Accordingly, it is about time we wake up to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helps students have tolerant attitudes and diverse perspectives to understand people who are different from them. Multicultural education is a field of study designed to improve race relations and to help all students acquire the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needed to participate in cross-cultural interactions and in personal, social, and civic action that will help make nation-state more democratic and just. Also, it is an educational reform movement to challenge previous educational contents, curriculum, and school practices to help students develop the knowledge, values, and skills needed to become effective citizens in a particular and democratic society. Given that the world at large and Korea in particular have experienced pluralism and multiculturalism in the 21^(st) century, this research critically examines newly revised Korean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2007 focusing on curriculum principl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research examines the concepts, purposes, principles, and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inds the meaning of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citizenship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n, it selects the 11 social studies curriculum guidelin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nalyzes how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reflects the principle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text analysis reveals that social studies curriculum successfully reflects diversified perspectives to understand society including interdisciplinary?multidisciplinary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and focuses on developing the skills necessary for effective interpersonal, interethnic, and intercultural group interactions. On the other hand, self and ethnic identity development, understanding conflicts between ideals and realities always existing in human societies, and local community studies are not integrated in the curriculum in bala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well as evaluation are limitedly diversified. When it comes to the educational level,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ocuses on maximum use of experiential learning, especially local community resources, and is constructed based on the environmental expansion principle. Middle school curriculum, particularly 8^(th) grade history part, views the development of national territory and culture with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When it comes to the high school curriculum, 20^(th) century history part thoroughly examines Korean society’s development toward multicultural, ethnic identity, and social integration. However, social science part lacks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deal with social issues. Second, discourse practice analysis reveals that the revised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which is constructed, distributed, adopted, and educated by national educational organizations, concentrated its efforts on separating history from social studies and intensifying history education to educate national integration and to build social consensus on national history. However, it makes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ailed to realize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and curriculum integration principles. Also, it does not include diverse racial, ethnic, cultural groups’ life, culture, and discrimination and deal with Korean society’s changes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Third, unique characteristics that revised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particularly shows are Korean War, the divis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ir efforts for peaceful unification as special aspects of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revised curriculum fails to deal with new social conditions and educational problems caused by the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and multiracial children since the 1990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s integration with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pluralistic 21^(st) century. First, Korea as a society should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t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n educational program to teach different skin colors or ethnic cultures but be considered an educational reform movement to giv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everybody and to raise effective citizen in the more diverse, pluralistic, and democratic future society. Second, social studies curriculum reform to reflect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principles should be done with school practices. Social studies curriculum, from its characteristics to evaluation, must include tolerant attitudes to understand other people and their lives, respect others’ language and culture, and pursue democratic ideals like freedom, just, and equity. At the same time, school should recognize its diverse population and individual differences and help students have better multicultural interactions. School administrators and policies als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and the princip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administrators should know the difficulties of school teachers to do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ir classrooms and improve the barriers and problems that teachers have. Thus, they must provide abundant informatio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o research to find out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It will improve the futur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classroo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