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9 Download: 0

단축판 역기능적 신념검사의 타당화 연구

Title
단축판 역기능적 신념검사의 타당화 연구
Other Titles
The Validation of a Short Version of the Dysfunctional Beliefs Test
Authors
장혜정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조용래와 원호택이 사회공포증의 주된 인지적 내용의 하나로 간주되는 역기능적 신념들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한 역기능적 신념검사의 단축판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자료 수집은 대학생집단을 대상으로 하였고, 동일인에게 설문을 2회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에서 문항에 불성실하게 반응한 경우와 1차 설문에만 참여했거나 2차 설문에만 참여한 경우는 제외하고 성실하게 1, 2차 설문에 모두 응해준 총 231명의 자료만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단축판 역기능적 신념검사의 기술통계치와 신뢰도를 분석하여 문항의 양호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역기능적 신념척도의 단축판을 제작한 홍세희, 조용래(2006)의 연구 결과와 같게 각 하위요인 별로 문항이 묶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단축판 역기능적 신념검사에 반응한 자료를 요인분석 한 결과, 대부분의 문항이 홍세희, 조용래(2006)의 연구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기존의 연구 결과와 달리 다른 요인에서 높은 부하량을 나타내는 문항들도 있었는데 이는 역기능적 신념검사를 구성하는 세 가지 하위요인이 높은 상관관계에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원판 척도의 요인구조로 밝혀진 위계적 3요인모형에 대해 단축판과 원판 역기능적 신념검사의 자료를 적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단축판과 원판 역기능적 신념검사 모두 적합도가 양호하였으며 모형에 대한 단축판의 표준화계수 값도 모두 유의미하였다. 단축판 역기능적 신념검사의 적합도가 양호하고 표준화계수 값도 유의미하여 단축판 척도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구성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한 검사들과 단축판 척도의 세 가지 하위요인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세 개의 하위요인은 사회공포증과 관련이 있는 척도인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와 .396-.623,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척도와 .210-.617, 그리고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 척도와 .149-.577의 상관을 보였고 상관관계가 모두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사회공포증과 개념적으로 구분되는 우울 정도를 측정하는 Beck의 우울척도와는 -.047-.029의 상관을 보였고 상관관계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단축판 역기능적 신념검사의 신뢰도 검증에서는, 요인 1인 사회적인 자기에 대한 부정적인 개념이 .89, 요인 2인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이 .87, 요인 3인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 및 실수에 대한 과도한 염려가 .81로 세 가지 하위요인 모두 적당한 수준의 내적합치도를 보였다. 2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요인 1인 사회적인 자기에 대한 부정적인 개념이 .78(p<.01), 요인 2인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이 .81(p<.01), 요인 3인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 및 실수에 대한 과도한 염려가 .63(p<.01)로 양호하여 시간적 안정성도 높음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단축판 역기능적 신념검사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었고, 단축판 척도를 원판 척도와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도 검증되었다. 단축판 척도는 원판 척도의 절반 수준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어 실시소요시간이 단축되어 임상 현장 및 연구 목적으로 다른 검사들과 함께 사용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A Short Version of the Dysfunctional Beliefs Test(SDBT) is a 36-item self-report inventory and 6-point rating scale. In this study, to compare the short version of the DBT with a original version of the DB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as applied to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of the DBT in a sample of undergraduate students(N=231). Results showed that model-fit indexes of short and original version of the DBT was reasonable. And the short version of the DBT was examin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the short version of the DBT was highly reliable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split-half reli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nd the short version of the DB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aladaptive thoughts, emotional and behavioral symptoms, and trait anxiety related to social phobia as well as a vulnerability to fear of negative evaluation, but not with depression inventory. In conclusion, the short version of the DBT appears to be a highly reliable, valid measure to assess dysfunctional beliefs of social phobia. Lastly,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ies we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