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화영-
dc.contributor.author이율의-
dc.creator이율의-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6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3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62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비만의 지표인 BMI와 복부비만의 지표인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비만의 유형을 분류하여 비만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임상적인 특징과, 비만 유형별로 비만 관련 인자(나이, 교육, 식이섭취) 및 질병 유병률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1998년과 2001년, 2005년에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20~79세의 성인 중 각 년도 별로 본 연구에 사용한 항목에서 한 개 이상의 자료가 누락되거나, 에너지 섭취량이 평균보다 표준편차의 4배 높은 사람을 제외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은 BMI와 허리둘레에 따라 4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BMIWC군은 BMI≥25 Kg/m²이면서 허리둘레가 남자≥90cm, 여자≥85cm, WC군은 BMI<25 Kg/m²이면서 허리둘레 남자≥90cm, 여자≥85cm, BMI군은 BMI≥25 Kg/m²이면서 허리둘레는 남자<90cm, 여자<85cm, Normal군은 BMI<25 Kg/m²이면서 남자<90cm, 여자<85cm으로 분류하였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 성인(20-79세)은 1998년에서 2005년으로 년도가 지날수록 남자는 체중과 허리둘레, BMI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여자는 체중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허리둘레와 BMI는 3개 년도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총콜레스테롤은 1998년도에 비해 2005년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압은 년도가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 1998년도와 2005년도 사이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상자들의 3개 년도 비만율을 분석한 결과 BMI≥25Kg/m²이상인 사람의 비율과 복부비만율은 남자의 경우 년도가 지날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여자는 년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비만의 유형에 따라 비교해 본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비만인 중에서 BMI와 허리둘레가 함께 높은 군(BMIWC)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BMI만 높은 군(BMI), 허리둘레만 높은 군(WC)의 순으로 비율이 낮아졌다. 본 연구에서는 비만 관련 인자로 나이와 교육수준, 식이섭취 양상을 살펴보았다. 나이는 1998년도 남자를 제외한 나머지 년도에서 남녀 모두 WC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BMI군에서 낮게 나타나, 나이가 증가하면서 허리둘레가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남자는 비만율에서 교육수준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여자는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복부비만의 비율이 높아 성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남자의 경우 전체적으로 고등학교와 대학교 졸업자에서 비만인 사람의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 여자는 BMIWC군과 WC군에서 교육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비만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대학교 졸업자가 3개 년도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다. 식이양상을 비교한 결과 남자의 경우 3개 년도에서 에너지, 단백질, 지방, 당질, 무기질, 비타민의 섭취량과 당질, 지방, 단백질의 에너지 구성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여자의 경우 3개 년도 모두 에너지, 지방 섭취량은 WC군이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고 BMI군과 Normal군에서 섭취량이 높았다. 영양밀도 및 에너지 분포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의 경우 WC군에서 탄수화물의 비율이 높았다. 비만의 유형에 따른 4군의 혈청 지질수준에서는 총콜레스테롤, 총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 농도가 3개의 비만군이 정상군에 비해 높았고, HDL-콜레스테롤은 비만 군에서 낮았다. 혈당과 혈압도 비만군에서 정상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남자에서는 혈청 지질수준에서 비만 3군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자에서는 1998년도와 2001년도의 경우 총콜레스테롤, 총중성지방에서 BMIWC군과 WC군의 결과와 BMI군과 Normal군의 결과가 서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질병 유병률은 당뇨병과 대사증후군이 남녀 모두 BMIWC군과 WC군에서 BMI군과 Norma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고혈압과 고지혈증 유병률에서는 남자의 경우 2005년도를 제외하고 비만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여자는 모든 년도에서 비만군의 질병 유병률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는 년도가 지남에 따라 남자에서 비만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비만의 종류별 분류에서는 BMI와 허리둘레가 함께 높은 군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 비만군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사료된다. 남녀 모두 나이가 많을수록 복부비만의 비율이 높아졌으며, 여자에서는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비만율이 높아졌다. 식이섭취량은 비만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여자에서는 식이섭취량이 비만군에서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군은 정상군보다 혈압 및 혈액성상, 질병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허리둘레가 큰 군에서 당뇨병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과 위험도가 높아 복부비만인 경우 이들 질병의 위험이 크게 나타나므로, 비만의 종류에 따라 건강관리를 달리 하는 것에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obesity defined by BMI and by waist circumference. The subjects were 15658 who participated in the 1998, 2001, and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ged over 20.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BMI and waist circumference: 1)BMIWC group(BMI≥25 Kg/m² and waist circumference of male≥90cm, and female≥85cm); 2)WC group(BMI<25 Kg/m² and waist circumference of male≥90cm, and female≥85cm); 3)BMI group(BMI≥25 Kg/m² and waist circumference of male<90cm, and female<85cm); 4)Normal group(BMI<25 Kg/m² and waist circumference of male<90cm, and female<85cm). In male subjects, w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BMI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1998~2005 years and in females, weight were increased but waist circumference and BM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uring 1998~2005 years. Blood concentration of total 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were decreased from 1998 to 2005. Obesity prevalence was increased in male but in fema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uring the time periods. According to the type of obesity, the proportion of BMIWC group was highest among the three obesity groups followed by BMI and WC groups. In male and female subjects, mean ages were highest in WC group and lowest in BMI group, except the 1998 survey.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education and obesity. In male subjects, obesity prevalence was not different by levels of education but in female subjects, lower levels of educ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obesity prevalence, showing lowest obesity rates among college graduates. Dietary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our groups both in male and female subjects. In females, energy and fat intakes were lowest in WC group. Blood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otal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were higher and HDL-cholesterol was lower in obesity groups(BMIWC, WC, BMI) than normal group. Blood glucose and blood pressure were also higher in the three obesity groups than normal group. Among the three obesity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blood lipid concentrations in males, but in females, total cholesterol and total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MIWC and WC groups than BMI and Normal groups.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and metabolic syndrom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MIWC and WC Groups than BMI and Normal groups both in male and female subjects.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hyperlipidemi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hree obesity groups than normal group, except 2005 survey in males and in all years in females. In conclusion, obesity prevalence of Korea has increased during 1988~2005 years in males. In obese people, the proportion who have high BMI and large waist circumference was highest, therefore more concern about these people are needed. Age was associated with abdominal obesity in males and females, lower levels of educa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obesity prevalence especially in femal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ietary intakes between obese and normal subjects. The subjects with abdominal obesity showed the high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and metabolic syndrome. It seems to be difference in disease prevalence by the type of obes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 6 A. 연구 대상 = 6 B. 조사내용 및 방법 = 7 1. 일반 사항 및 식이섭취조사 = 7 2.신체계측 조사 및 혈압 측정 = 8 3. 복부비만 기준 및 관련 인자 = 9 C. 자료분석 및 통계처리 = 9 Ⅲ. 연구결과 = 11 A. 1998년~2005년 국민건강 영양조사 결과 = 11 1. 일반사항 = 11 2. 신체계측 = 13 3. 혈액 성상 및 혈압 = 15 4. 식이섭취 = 18 B. 1998-2005년도 국민건강 영양조사 결과에 나타난 비만율과 비만 관련 인자 = 22 1. 비만율의 연령별 분포 = 22 2. 비만대상자의 교육수준별 분포 = 23 3. 비만 유형에 따른 일반사항 및 혈액성상 비교 = 27 3-1. 남자 대상자 = 27 3-2. 여자 대상자 = 29 4. 각 비만 유형의 교육수준 비교 = 34 5. 비만 유형에 따른 식이섭취비교 = 37 6. 비만 유형에 따른 질병 유병률 비교 = 43 6-1. 비만 유형에 따른 질병 Odds ratios(OR) 비교 = 47 6-2. 비만군 내에서의 질병 Odds ratios(OR) 비교 = 50 6-3. BMI와 허리둘레를 지표로 한 비만군과 정상군의 각 질병 Odds ratios(OR) 비교 = 52 7. Waist-to-height ratio와 혈액 성상 및 혈압 간의 관계 = 54 Ⅳ. 고찰 및 결론 = 56 참고문헌 = 65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51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비만 관련 인자 및 비만 유형에 따른 만성 질병 유병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998 - 2005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 분석-
dc.title.translatedFactors related to obesity and chronic disease prevalence according to obesity types: 1998-2005 KNHANES-
dc.creator.othernameLEE, YUL EUI-
dc.format.pageⅷ,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