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준성-
dc.contributor.author전준기-
dc.creator전준기-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1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5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3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544-
dc.description.abstract건설프로젝트에 있어서 설계단계의 영향력이 인식됨에 따라 설계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여러 관리 요소 및 기법들이 개발되고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지만, 역량을 측정을 통해 조직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설정하는 것에 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계조직의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였다. 설계조직의 프로젝트 수행역량 측정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먼저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조직을 평가하는 ISO 품질경영시스템과 CMMI를 고찰하였다. ISO 품질경영시스템은 이미 타 산업에 널리 활용되고 있고, 국내 다수 설계사무소에 도입된 바 있다. 또한 국제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의 프로세스를 평가하는 CMMI 역시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뿐만 아니라 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기존 연구 고찰을 통해 ISO와 CMMI는 모두 어떠한 인증을 받기 위한 목적 외에도, 조직의 약점을 도출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일종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SO 품질경영시스템의 17개 세부항목과 CMMI의 25개 핵심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설계프로젝트의 수행역량 측정항목 23개를 도출하였으며, 도출한 설계프로젝트 수행역량 측정항목에 대한 설계 프로젝트에서의 수행현황과 실무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에 대해 파악하고, 설정한 항목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설계사무소 6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한 설문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뢰성 분석 결과 수행도와 중요도 모두 설문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요인분석결과 23개의 프로젝트 수행역량 측정항목으로부터 6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추출된 요인이 포함하고 있는 항목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조직프로세스 정립’, ‘협업 및 품질 관리’, ‘의사소통 및 리스크 관리’, ‘프로젝트 모니터링 및 분석’, ‘기타’로 5개의 역량 영역을 도출하였다. 프로젝트 수행역량 측정항목별 수행도요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프로젝트 모니터링 및 통제’, ‘조직 교육 관리’, ‘조직 통합 환경’을 제외하고는 수행도와 중요도 사이의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3개 항목들을 제외한 20개의 항목들이 최종 프로젝트 수행역량 측정항목으로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프로젝트 수행역량 측정 영역과 항목으로 프로젝트 역량을 측정하고 개선영역을 도출 할 수 있는 ‘설계조직의 프로젝트 수행역량 측정모델’을 개발하였다. 설계조직의 관리자는 본 모델을 활용하여, 현재의 ‘역량 달성도’를 산정하고, ‘역량분포 매트릭스’를 작성할 수 있다. ‘역량 달성도’는 측정항목별 역량 정도로써 중요도 대비 수행도 값으로 구해지며, 이를 토대로 조직의 프로젝트 수행역량 측정항목의 개선요구 순위가 산정된다. ‘역량분포 매트릭스’는 20개의 역량 측정항목들의 중요도 및 수행도 평균값으로 측정항목들을 ‘유지 관리 영역’, ‘중점 개선 영역’, ‘점진 개선 영역’, ‘지속 유지 영역’으로 도출할 수 있어, 조직의 역량투입 분포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는 설계조직의 역량측정과 개선전략 수립을 위한 정량적인 기준 마련이 시급한 현 시점에서, 설계프로젝트의 특성을 반영하여 조직의 약점 파악 및 전략 수립을 위한 프로젝트 역량 측정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역량 측정항목별로 현재의 조직 상태를 정량화하여 어떠한 부분을 먼저 개선해야 하는 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나의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설계조직의 역량을 진단하고자 하는 기초적인 시도이며, 이를 장기적인 설계조직 경영 도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수행역량 항목별 세부적인 프로젝트 관리 기준과, 프로젝트 업무 담당자 별 역량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Recently, as construction projects are getting bigger and more complex, the design industry has been embossed. Also according to the current trend of deepening competition, design industry in Korea was open to the foreign design firms. So domestic deign firms have to strengthen their capability of performing the design projects. To suggest the method to measure the ability of the team carrying out the project, the ISO 9001's requirements and Key Process Area of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were considered and capability measuring areas of design project were driven. To verify these capability measuring area, questionnaire survey about the degree of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capability measuring area was executed. As a results, twenty capability measuring items of design projects were established. Also the relations between the degree of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capability measuring items were calculated. Using these correlation coefficients, 'A Project Performance Capability Measuring Model of Design Organization' was developed. To see the application of this model, two cases were practiced by questionnaire survey. Through these implementation, the strong capability items and weak capability items of these two design organization were deduced. Using this model, project managers or executes of design organization can estimate the capability of project team and set the strategy for advancement of organiz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제 2 장 선행연구 고찰 = 4 2.1 조직 역량 평가 모델 = 4 2.1.1 역량의 개념 = 4 2.1.2 역량평가 사례 연구 = 7 2.2 ISO 품질경영시스템(ISO Quality Management System) = 9 2.2.1 ISO 품질경영시스템 개요 = 9 2.2.2 ISO 품질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 = 10 2.3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 13 2.3.1 CMMI 개요 = 13 2.3.2 CMMI 기반 프로세스 역량평가 방법 = 20 2.3.3 CMMI 기반 프로세스 역량평가 사례 = 22 2.4 소결 = 24 제 3 장 설계프로젝트 수행역량 측정항목 도출 및 검증 = 27 3.1 설계프로젝트 수행역량 측정항목 도출 = 27 3.1.1 설계프로젝트 수행역량 측정항목 설정 방법 = 27 3.1.2 설계프로젝트 수행역량 측정항목 = 28 3.2 설계프로젝트 수행역량 측정항목 검증 = 33 3.2.1 설문조사 개요 및 구성 = 33 3.2.2 설문분석 결과 = 34 3.3 소결 = 45 제 4 장 설계프로젝트 수행역량 측정모델 개발 = 47 4.1 설계프로젝트 수행역량 측정모델 도출 = 47 4.1.1 설계프로젝트 수행역량 측정 방법 = 47 4.2 사례 적용 = 50 4.2.1 A 조직에 대한 역량측정 결과 = 50 4.2.2 B 조직에 대한 역량측정 결과 = 54 4.2.3 A 조직과 B 조직의 역량 달성도 비교 = 58 4.3 소결 = 62 제 5 장 결론 = 64 참고문헌 = 66 부록. 설문지 = 69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215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설계조직의 프로젝트 수행역량 측정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eveloping the Measuring Model for Project Performance Capability of Design Organization-
dc.creator.othernameJun, Joon Ki-
dc.format.pageⅸ,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