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05 Download: 0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慈愛, 정서적 안녕감 간의 관계 구조 분석과 마음챙김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Title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慈愛, 정서적 안녕감 간의 관계 구조 분석과 마음챙김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Other Titles
An examin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tress of middle-aged women, mindfulness,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well-being, and effectiveness of a mindfulness enhancement program
Authors
이우경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여성의 심리적 안녕감과 관련된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심리적 요인들의 근본적인 변화를 강조한 집단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정서적 안녕감에 어떤 구체적인 성과를 보이는 지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 1에서는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중년 여성 40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심리적 요인에는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 정서적 안녕감이라는 이론적 잠재 변수들을 설정하였다. 이론적 잠재 변수들을 대표하는 측정치로, 스트레스 생활 사건 질문지, 역할 스트레스 질문지, 마음챙김 주의 및 자각 척도, 자기-자애 척도, 정서적 안녕감에는 심리적 안녕감 척도와, 우울, 불안, 적대감, 신체화 등의 심리 증상 측정치가 각기 선정되었다. 선행하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심리적 요인들 간에 가능한 경로와 역할에 대한 가설적인 모형이 제시되었고, 이론적 모형들의 타당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구조 방정식 검증 결과, 마음챙김과 자기-자애는 스트레스와 정서적 안녕감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정서적 안녕감의 측정 변수인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증상에 대해서는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서는 마음챙김과 자기-자애의 이중 매개 모델의 적합도는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자기-자애에서 심리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심리 증상의 경우 마음챙김과 자기-자애의 이중 매개 모델의 적합도가 좋게 나타났고 모든 경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심리 증상 간에 마음챙김과 자기-자애의 완전 매개 모형을 가정한 연구 모델과 가능한 모든 경로를 상정한 대안 모형을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와 심리 증상의 직접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마음챙김과 자기-자애를 통한 간접 경로도 유의미하게 나타나서 완전 매개 모형에 비해 부분 매개 모형의 적합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1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자애, 마음챙김의 함양을 통해 경험의 회피적 대처를 수정하는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중년 여성의 정서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특별히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적 개입이 이러한 변화에 적합한 방법으로 간주하여 구조화되고 체계화된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를 기초로 하였다. 30명의 프로그램 참여자와 대기자 집단에 등록되어 있는 30명의 비교 집단의 수행을 다양한 종속 측정치들에서 비교하였다. 연구 2의 결과를 살펴보면, 프로그램 종결 직후 프로그램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처치 효과를 보이고 있다. 즉, 정서적 안녕감과 관련한 다양한 결과 측정치들에서 프로그램 집단과 비교 집단을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주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효과의 기제를 알아보기 위한 sobel test 결과, 마음챙김, 자기-자애, 역기능적 태도가 프로그램 효과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집단에서 종결 2개월 뒤에 측정한 추후 평가에서도 종결 시점에 나타났던 효과가 유지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2000년대 들어서면서 폭넓은 연구 관심을 얻고 있는 마음챙김과 자기-자애라는 두 개념을 바탕으로 스트레스와 중년기 여성의 정서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한데 있다. 둘째, 국내에서 마음챙김 명상의 임상적 가치에 대한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정신 건강을 위협하는 다양한 역할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정서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입증한데 있다. 이를 통해 삶의 스트레스와 당면한 문제로 생겨나는 불편한 감정들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마음챙김과 자기-자애를 배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과정 지향적 접근을 통해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에서 매개 변인을 함께 살펴보았고 이로써 이들 과정 변인들이 중년기 여성들의 정서적 안녕감을 높이는데 중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심리치료의 긍정적 효과가 널리 입증되고 있는 추세에 있지만 이러한 변화를 가져오는 심리적 과정에 대해서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향후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프로그램의 효과 기제를 알아내기 위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tress of middle-agedwomen, mindfulness,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well-being. The study alsoinvestigated the efficacy of manual-guided mindfulness based intervention formiddle aged women who complain emotional distress. This thesis consists of twoparts. In Study 1, 405 middle aged women completed a packet of questionnairesmeasuring the stressful life event, role stress, mindfulness, self-compassion, and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symptom. Stress, mindfulness,self-compassion, and emotional well-being were defined theoretical latent variables. Hypothetical model for the paths and role among constructs of interest waspresented drawing on previous theoretical background and analyses wereperformed using AMOS 7.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partially mediate between stress and emotionalwell-being. Regarding psychological well-being, dual mediation model of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indicated reasonable model fit, but the path ofself-compassion to psychological well-being was not significant. Meanwhile dualmediation of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between stress and psychologicalsymptom indicated reasonable fit, and all the paths turn out to be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compassion and mindfulness partially mediate thelink between stress and psychological symptom. Study 2 was performed to develop a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enhancement intervention for middle-aged women who complained emotionaldistress and to ascertain whether participation in the mindfulness based programwas associated with increase i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mprovement ofpsychological symptoms. Thirty participants in the program and thirty waiting listgroup members were assessed on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psychological symptom scales, Mindfulness scale, Self-Compassion Scale(SCS), andDysfunctional Attitude Scale(DAS). The measures of program participants werealso assessed at 2-month follow-up. In study 2, time by group interactions weresignificant in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somatization,Positive Affect(PA), and Negative Affect(NA). But comparison group did notreport any positive results. These positive changes were maintained or improvedat the time of 2 months follow-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rticipants in themindfulness enhancement group program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enhancemen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mprovement in psychologicaldistress. And the results show that self-compassion, mindfulness, anddysfunctional attitude mediate between program participation and positive effect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n 8-week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 may beeffective for reducing stress related psychological symptom and increasing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aged wome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broken newground in the study of emotion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includingprocess-oriented questions about mediators of these relations. The study findingsalso suggest that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enhancement program may bean intervention with potential for helping many to learn to deal with emotionaldistress. Although the positive outcomes of mindfulness interventions are widelyaccepted, the changes in psychological process leading to these positive outcomesare not yet fully understood. Further studies to clarify this process will berequir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