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2 Download: 0

김정일의 군부대 현지지도 연구

Title
김정일의 군부대 현지지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im Jong Il's ‘On-the-Spot’ Guidance to the Military Forces
Authors
Wada Haruko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1995년 이후 이루어진 김정일의 군부대 현지지도를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라스웰(H. D. Lasswell)은 커뮤니케이션이 발신자, 메시지, 채널, 수신자, 효과 등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발신자로부터 수신자를 향한 직선적이며 의도적인 메시지의 전달 과정이라고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그가 제시한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로동신문」이 보도한 김정일의 군부대 현지지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김정일은 ‘군부대 현지지도’와 ‘군부대 현지지도 보도’라는 두 가지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사람들, 북한 주민들, 군부라는 세 가지 수신자들을 대상으로 한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을 구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분석을 통해 발견한 김정일의 군부대 현지지도의 수신자별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김정일은 군부대 현지지도라는 제1의 채널을 이용하여 군부를 수신자로 한 커뮤니케이션을 실시한다. 이 커뮤니케이션에서 김정일의 목적은 김정일에 대한 충성심 배양, 군부에 대한 감시·검열, 의사 혈연공동체 의식의 창출이다. 둘째, 김정일은 군부대 현지지도 보도라는 제2의 채널을 이용하여 북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커뮤니케이션을 실시한다. 이 커뮤니케이션에서 김정일의 목적은 모범정신의 제시, 당 정책의 정당성 과시, 현 시대 군령도의 기록과 과거 군령도의 공식화, 군부의 사회적 지위 제고이다. 셋째, 김정일은 군부대 현지지도 보도라는 제2의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커뮤니케이션을 실시한다. 이 커뮤니케이션에서 김정일의 목적은 군사국가상 조성, 외교 수단으로서 활용, 체제의 안정성 과시이다. 북한은 1994년 이전 시기에는 창군기념일에 즈음한 축하방문과 같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서는 김일성 또는 김정일의 군부대 현지지도를 거의 보도하지 않았다. 그러나 1995년을 기점으로 하여 북한은 김정일 군부대 현지지도를 보도를 통해 적극 선전하기 시작하였다.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변화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김정일이 1995년을 기점으로 하여 군부대 현지지도 보도라는 채널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을 적극 활용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1995년 이후 김정일의 군부대 현지지도와 기존의 현지지도와의 차이점은 김정일이 커뮤니케이션을 하고자 하는 대상이 군부뿐만 아니라, 북한 주민들, 나아가 외부 사람들로 확대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Il's 'on-the-spot' guidance to the military forces, conducted exclusively by him since 1995, from the viewpoint of a communication. H. D. Lasswell recognized communication as a ‘straight, intentional, message-sending process’ and pointed out that the process consisted of 5 elements - the communicator, the message, the channel, the receiver and the effect. In this study, the articles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s newspaper “Rodong Sinmun” were analyzed using Lasswell's model. The finding is the fact that Kim Jong Il establishes communication processes by using two channels: 1. the action of 'on-the-spot' guidance and 2. the report of it, with 3 kind of receivers - the military forces, the people and the outsiders. The purposes of the communications with each of the receivers are as follows: First, Kim Jong Il establishes communication with the military forces by using the first channel. That is, the action of 'on-the-spot' guidance. The purpose is to raise loyalty to the leader, to conduct surveillance and inspection on the forces, and to build up a ‘pseudo’ blood-related community spirit with them. Secondly, Kim Jong Il establishes communication with the people by using the second channel. That is, the reporting of this 'on-the-spot' guidance to the military forces, in order to present an ‘ideal’ spirit, to demonstrate the legitimacy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s policies, to record his present leadership and reveal his past leadership to the military forces and to upgrade the social status of the military forces. Lastly, Kim Jong Il establishes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rs by using the second channel. That is, the report of the 'on-the-spot' guidance to the military forces, to influence the outsiders to hold the “military-first” state image towards North Korea, to utilize it as a means of diplomacy, and to display the regime's stability. North Korea, before 1995, rarely reported Kim Il Sung’s or Kim Jong Il's 'on-the-spot' guidance to the military forces, with the exception of a special visit on the foundation day of the Korean People's Army. But since that time, 1995, North Korea began reporting Kim Jong Il's 'on-the-spot' guidance to the military forces to disseminate his activity. From the standpoint of communication, this is a very important change, because it means that Kim Jong Il began actively using the second channel in 1995. In other words, the North Korean people and the outsiders have been involved in Kim Jong Il's communication process related to the 'on-the-spot' guidance to the military forces as a ‘new receiver’ since 1995.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