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5 Download: 0

'싱글/맘'의 섹슈얼리티를 통해 본 여성주체성의 변화

Title
'싱글/맘'의 섹슈얼리티를 통해 본 여성주체성의 변화
Other Titles
A Study on Changes of Female Subjectivity Through Sexuality of Single Mothers
Authors
김지혜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결혼 경험 있는‘싱글/맘’들의 정서적·성적 친밀성 추구의 경험을 통해 여성의 성을 규정하는 결혼이라는 경계를 비판적으로 재고하며, 여성 개인의 경험을 통해 다양한 가족들 간에 친밀성 논의를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의 참여자들은 기존의 연구에서‘한부모’로 언급되어왔다. 그러나 ‘한부모 여성’들은‘어머니’이거나‘가장’으로만 인식될 뿐‘성적 존재’로 설명되지 못했다. 이처럼 결혼 시기 이후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다양한 가족 담론 내에서 소통되기 힘든 현실은 결혼 내 배타적 친밀성이 문제가 되는 것 외에도 가족 관계 내에서 ‘억압적 성’ 혹은 ‘무성적 성’으로 정의되어 온 모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성 논의의 한계가 상호작용하면서 구성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가족 다양성 논의에서 한부모 부모 개념의 무성성을 제고하며 결혼의 안과 밖에서 어머니이자 성적 존재로 살아가는 여성 경험의 종합성을 의미화 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다양한‘싱글/맘’들의 맥락 가운데‘결혼경험 있는‘싱글/맘’들의 섹슈얼리티를 연구하려는 이유는 그동안 성의 영역에서 피동적으로 간주되어 온 여성들의 주체적 변화과정을 통해 현 결혼 중심 성문화의 모순성을 첨예하게 드러낼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럼으로써 결혼을 기준으로‘좋은 성’과 ‘나쁜 성’으로 이분화 된 여성 성의 의미규정을 불안정한 것으로 만들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을 부모 정체성이 강조된 한부모라기보다‘여성 개인’을 의미하는 싱글’과 미성년 자녀의 어머니임을 의미하는‘맘’의 복합어로‘싱글/맘’이라 부르기로 하였다. 이는 가족 관계 내에서 위치를 갖는 존재로서가 아니라‘개인’이라는 차원에서부터 접근할 때 오히려 여성의 욕망이 결혼의 배타적 친밀성과 충돌하는 양상, 또한 싱글/맘 일상에서‘어머니인 여성’의 욕망이 자녀와 경합하는 양상이 더 잘 드러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접근은 ‘개인 여성’의 경험을 통해 다양한 가족들 간에 친밀성의 논의가 확장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싱글/맘’의 섹슈얼리티는‘남녀관계’뿐 아니라‘성적 존재인 어머니’로 살아가는 여성 삶의 장 속에서 맥락화 되어야 한다.‘재혼’이 아니라‘싱글/맘’이라는 삶의 과정 속에서 남녀 만남을 보려는 이유는 결혼 경험을 통해 결혼에 대한 관점이 변화되고, 이성과의 친밀성은 추구하되 제도 결혼으로 다시 들어가지 않으려는 참여자들의 현 지점을 중요하게 포착하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가 드러내기 힘든 어머니인 여성 개인의 섹슈얼리티를 다루는 것이기에 심층면접 방법인 질적 방법을 선택하였다. 한편, 보조 참여자로 남성 참여자(5), 참여자의 엄마(1), 60대 이상 ‘싱글/맘’ 여성들(2)이 참조되었다. 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화하는 사적 친밀성의 장에서 성적 친밀성의 증가와 관련하여 여성과 남성에게 결혼이라는 경계는 어떻게 경험되는지, 본 연구의 참여자인‘싱글/맘’ 여성들이‘결혼-싱글/맘’으로의 변화과정 속에서 여성의 성을 규정하는 결혼이라는 경계를 어떻게 재설정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장은 결혼이라는 성적 경계를 두고 단지 ‘남성’과‘여성’의 차이뿐만이 아니라 여성들 간 경계를 경험하는 방식의 차이에 대한 질문 속에 진행되었다. 따라서 이전의 한부모 연구와 교차· 단절되는 지점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결혼-이혼이 연속선상의 사건이듯이 ‘결혼-싱글/맘’으로의 변화과정 동안 여성들의 성적 경계는 결혼과 결혼 이후의 시점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또한 결혼을 중심으로 구성된 '공'과 '사' 경계 또한 단일하게 경험되지 않는다. 결혼이라는 경계가 여성에게 억압이자 동시에 가장 안정적인 심리적· 성적 자아 경계선으로 작동하는 현실 속에서 여성들이 경계를 넘어서는 경험은 심리적 충돌과 갈등을 동반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자아 경계의 위기이자 동시에 ‘눈을 뜨는’ 성적 자아 경계의 확장을 의미하였다. 한편 ‘어머니인 여성’으로서 사적 지위가 우선시 되는 여성이 공적 공간으로 나아가는 과정은 단순한 수평적 확장을 의미하지 않는다. 단일한 ‘공’ 과 ‘사’ 라는 이중적 경계는 불안정한 지위를 협상하는 여성들에 의해 갈등적으로 와해되기도 하며 창조적으로 재구성되고 있기도 하다. 이것은 여성 개인의 ‘경계 확장’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점은 결혼이라는 성적 경계를 강박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자아 경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남성들의 경험과 차별되는 지점이다. 한편 결혼 경험의 연장선상에서 결혼을 벗어나서도 여전히 억압적 성 경험을 하는 것으로 지적되며 가장이자 어머니 정체성으로 설명되는 기존의 한부모 논의와도 차별성을 지니는 지점이다. 둘째,‘싱글/맘’들이 이성애 남녀 만남을 협상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여성들은 만남을 통해 결혼 중심적 성의 한계를 경험하며‘제도 결혼’와 ‘싱글/맘’일상의 접점에서 만남을 협상하였다. 기혼 남성과의 관계를 통해 결혼의 배타적 친밀성과 충돌되는 양상, 싱글(돌싱 혹은 미혼) 남성과의 관계를 통해 재혼과 여성 삶의 독립이 양립되기 힘든 과정들은 결혼중심 성문화 속에서 남녀 만남의 한계를 반영한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는‘싱글/맘’가구를 구성하는 여성 삶과 상호 작용하면서 오히려 성을 협상하는 지점으로 재구성된다. ‘싱글/맘’으로서 독립해가는 과정 속에서 가장이자 어머니로서의 정체성은 불안정한 성적 지위를 협상할 수 있는 무게중심이 되고 있다. 이처럼‘싱글/맘’들이 제한된 성을 협상하며 만들어가는 남녀만남은 결혼 중심적 시각에서 잘 드러나지 않는 다양한 이성애 관계의 해체와 재조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변화과정은 더 이상 제도 결혼이 아니라‘싱글/맘’으로서 여성 삶이 성을 협상하는 지점으로 재구성되면서 이루어지는 변화이다. 한편 이러한 만남의 조율과정을 통해 여성들은 결혼 안팎의 경계를 횡단하며 성의식의 확장을 경험하였다. 성이 이분화 되어 있고 여성들이 성의 언어에서 소외되어 있는 현실 속에서 여성들의 성적 경험과 성을 해석하는 언어는 자주 분열되어 있다. 이것은 여성들의 경험에서 쾌락과 출산, 정서적 욕망과 성적 욕망, 억압과 쾌락의 지점들이 충돌되면서 경험과 해석을 정반대로 이끌기도 한다. 이러한 지점은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비이원적인 접근을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여성들의 성의식 변화는 의식적 성 언어로 연결되기보다 여성 삶의 에너지와 활력소, 관계의 조율능력으로 표현되었다. 셋째,‘싱글/맘’의 섹슈얼리티는 단지, 남녀만남을 통해 제도 결혼을 협상하는 과정 속에서 뿐만이 아니라 ‘싱글/맘’으로서 삶의 차이를 협상하는 과정에서 동반되는 인간관계의 변화 속에서 여성의 성을 규정하는 다양한 관계들과의 경합을 통해 구성된다. 섹슈얼리티는 단지 남녀관계와 성적 행위만이 아니라 성을 둘러싼 인간관계의 장 속에서 작동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싱글/맘’이라는 삶의 차이를 협상하는 과정에서 재조직되는 친밀한 관계들은 한편으로 여성들이 어머니이자 싱글여성으로서 성적 차이를 협상하는 과정에서 동반되는 관계의 변화이기도 하다. 여성/어머니인 ‘싱글/맘’의 정체감은 남성과의 관계뿐만이 아니라 여성 일상을 중심으로 한 친구집단, 모녀관계 그리고 아이와의 관계 속에서 경합과정을 통해 구성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가족 다양성 논의에서 한부모 부모 개념의 무성성을 제고하며 어머니인 여성의 정서적·성적 친밀성 추구의 경험을 통해 현재 결혼을 중심으로 정체되어 있는 친밀성의 논의를 확장하는 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결혼의 안과 밖에서 어머니이자 성적 존재로 살아가는 여성 경험의 종합성을 의미화 해보고자 하였다.;This study is aimed to expand discussions on intimacy among various families through individual single mothers' experiences. Therefore, this study critically reconsiders the threshold in life called marriage which defines women's sexuality, through the experiences of single moms, who once got married, about their pursuit for emotional and sexual intimacy. The interviewees in this paper have been referred to as "single parent" in established research and theses. Yet those "single mothers" have only been regarded as "mothers" or "heads of households," not explained as "individuals with a sexual drive." The hard reality in which women's sexuality after the end of their marriage is a family topic hard to be discussed inside the boundary of family is not only caused by "exclusive intimacy" in marriage. It is also caused by the interplay of limitations of discussions on mothers' sexuality which has beendefined as "repressed sexuality," or "neutral sex" in the family relationship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reconsiders "asexuality" of single parents in usual family discussions, and gives a real meaning to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are both mothers and sexual figures inside and outside of marriage. The contents and finding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this. First, as "marriage and divorce" are two continuous events on the samespectrum of marriage, during the transition from "marriage to being a single mom," women's sexual boundary is not clearly drawn between the marriage and post-marriage periods. In addition, the boundary of "public" and "private" which is established by marriage is also blurred. In a reality where marriage serves as a boundary that serves both repression for women and the most stable emotional and sexual protection for their female egos, women's experience of crossing the boundary is accompanied by psychological conflicts and confusions. That, however, is a crisis for female self-boundary as well as expansion of the boundary of female sexual egos. Meanwhile, for women whose private status is put before anything else as both women and mothers, the transition process into public space not just means a horizontal expansion. The boundary of private and public statuses is broken down through conflicts and creatively reestablished by women negotiating their unstable private and public statuses. This means "the boundary expansion" of individual females. This is the point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perience of males who make their ego boundary stable by forcefully tearing apart their sexual boundary. In the meantime, this is also a clear distinction from established discussions on single parents that recognize the identity of females as both mothers and bread winners who still endure suppressed sexuality even after the end of their marriage. Second,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single mothers negotiating encounters of heterosexual partners at the intersection of "institutionalized marriage" and their daily routines. Conflicts with exclusive intimacy of marriage through relations with married men, and the extremely difficult compatibility of remarriage through relations with single men (regardless of their experience of marriage) and independence of female lives reflect the limitations of gender-based encounters in a culture that puts great emphasis on marriage. But these limitations have been recreated as negotiation points on female sexuality by interacting with the lives of women who consist of the single-mom families. In the process of becoming independent as single moms, their identity as both heads of households and mothers is the center of gravity that helps negotiate their unstable sexual status. Meanwhile, through the arbitration process of these encounters, they experience expansion of their awareness about sexuality, crossing the boundary of marriage. With the dichotomy of the sexes and the current reality where women are excluded from conversations about sexuality, women's sexual experience and their language interpreting sex are often divided. This is because in their experience, theirpoints of pleasure, childbirth, emotional and sexual desires, and suppression and pleasure are conflicting, leading their experience and analysis into the opposite direction. These points seem to require a non-dichotomous attitude towards female sexuality. In addition, the process of changing sexual awareness of women living as mothers in daily routines is expressed as daily energy, life forces and the ability to arbitrate relationships, rather than leading to conscious language about sexuality. Third, single moms' sexuality is established not only by the process of negotiating institutionalized marriage through encounters of men and women, but also by conflicts with various relations defining female sexuality in changed human relationships that accompany the process of negotiating life changes as single moms. The reason is that sexuality plays out not just in sexual intercourses between men and women, but in human relations affectingfemale sexuality. The sense of true identity of single moms as both women and mothers is established not only in relations with males, but also in the process of conflicts where mothers as sexual figures change normative conditions of motherhood in the relations with friends and their mothers and children. Through the sexuality experience of single moms who once got married, this study is designedto give a real meaning to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live as both mothers and sexual figures inside and outside of marriage.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reconsiders "asexuality" of single parents in previous studies on families, and sets the stage for new discussions on intimacy based on the experiences of "individual women who are also mothers."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