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종진-
dc.contributor.author한소영-
dc.creator한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2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2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29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가야금 산조 중 중중모리 전체가 강산제로 이루어진 김죽파류, 김윤덕류, 강태홍류, 김병호류의 음악적 특성을 분석하여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연구한 것이다. 첫째 김죽파류, 김윤덕류, 강태홍류, 김병호류 중중모리 강산제의 출현음은 적게는 6음에서 많게는 14음 나타나고, 각 유파의 공통적인 주요 구성음은 d, e, g, a, c 와 d, e, g, a 이며 가장 많이 나타나는 주요 구성음은 d, e, g, a, c 이다. 김죽파류 중중모리에만 등장하는 주요 구성음 형태는 d, g, a, b♭이고, 김윤덕류 중중모리에만 등장하는 주요 구성음은 d, g, a 이며 김병호류 중중모리에만 등장하는 주요 구성음은 d, f, g, a, c 와 d, g, a, c 로 나타났다. 둘째 네 유파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주요 구성음 형태인 d, e, g, a, c 는 평조음계로 중중모리 강산제는 평조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김죽파류 (1)-1장은 d, g, a, b♭으로 구성된 계면조 음계인 것으로 보아 강산제는 대부분 평조로 이루어져있지만 부분적으로 계면조가 나타나기도 한다. 셋째 종지형의 기본 선율은 두 가지로 나타나는데 A형은 a→g→g→g 로 이루어진 2도 하행 진행형이고, B형은 g→G→g→g 로 이루어진 동음옥타브 진행형이다. 김죽파류, 김윤덕류, 강태홍류는 두 가지 선율형이 모두 나타나고 김병호류는 A형 선율만 나타난다. 종지선율의 출현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김윤덕류, 강태홍류, 김죽파류, 김병호류이다. 넷째 네 유파를 동일∙유사선율의 출현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김윤덕류, 강태홍류, 김죽파류, 김병호류 이다. 김윤덕류와 강태홍류의 동일∙유사선율이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두 유파가 서로 많은 영향을 주고받은 것으로 보여 지고 김병호류는 나머지 세 유파와의 유사선율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다른 유파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창적인 강산제로 발전한 것으로 보여 진다. 이와 같이 김죽파류, 김윤덕류, 강태홍류, 김병호류 중중모리 강산제는 같은 계보를 가진 산조로써 주요 구성음과 선율의 형태에서 유사성을 지녔다. 하지만 각 유파마다 다양한 주요 구성음이 나타나고 독자적으로 창작∙발전해 온 선율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고유성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is dissertation researches commonness and differences among Jungjungmori, classified into types of ‘Juk-pa Kim’, ‘Yun-deok Kim’, Tae-hong Kang’ and ‘Byeong-ho Kim’, in Gayageum Sanjo and composed with Kangsanje. First, appeared notes in Kangsanje of ‘Juk-pa Kim’, ‘Yun-deok Kim’, ‘Tae-hong Kang’ and ‘Byeong-ho Kim’ are between 6 and 14 notes. Composed notes of these types are one set of d, e, g, a, c and the other set of d, e, g, a and the most occurring main note is a set of d, e, g, a, c. The main formation of main scale in Jungjungmori, type of ‘Juk-pa Kim’ is ‘d, g, a, b♭’ and the main scale in the type of ‘Yun-deok Kim’ is ‘d, g, a’ and the main scale in the type of ‘Byeong-ho Kim’ is ‘d, f, g, a, c or d, g, a, c’. Second, the set of d, e, g, a, c, the most occurring formation of composed notes in 4 types, is Pyoengjo scale, and thus, Pyoengjo can be considered as Jungjungmori’s principal scale. However, Chapter (1)-1 in the type of ‘Juk-pa Kim’ is composed of Gyemyeonjo Scale, a set of d, g, a, b♭. It shows that Kangsanje partly features Gyemyeonjo, mostly Pyoengjo though. Third, basic melody of ending type has two forms. The one form, A type, is 2 steps down going progressive form a→g→g→g . The other form, B type, is same sound in an octave progressive form g→G→g→g. Both A type and B type appear in the types of ‘Juk-pa Kim’, ‘Yun-Deok Kim’, ‘Tae-hong Kang’ but in the type of ‘Byeong-ho Kim’ only A type appears. If four types of ‘Yun-deok Kim’ ‘Tae-hong Kang’ ‘Juk-pa Kim’ and ‘Byeong-ho Kim’ which are arranged by occurring frequency. Fourth, if four types are arranged by occurring frequency of same similar scale, the order is ‘Yun-deok Kim’ ‘Tae-hong Kang’ ‘Juk-pa Kim’ and ‘Byeong-ho Kim’. Higher frequency in ‘Yun-deok Kim’ and ‘Tae-hong Kang’ indicates that two types affected much each other. The type of ‘Byeong-ho Kim’ which has few similar scale with the rest types indicates that, with no affection of the rest, type of ‘Byeong-ho Kim’ was developed into original Kangsanje. In this way, Jungjungmori, classified into types of ‘Juk-pa Kim’, Yun-deok Kim’, ‘Tae-hong Kang’ and ‘Byeong-ho Kim’, in Gayageum sanjo and composed with Kangsanje, share a common genealogy and have similarity with one another in composed notes and scale. However, each of them also has originality: various composed notes appear respectively in each of those types. Also, they create and develop their own scale that is given much weigh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1. 연구목적 및 의의 = 1 2. 연구범위 및 방법 = 1 3. 선행연구 = 3 Ⅱ. 출현음과 구성음 및 빈도수 = 5 1. 김죽파류 중중모리 = 5 2. 김윤덕류 중중모리 = 12 3. 강태홍류 중중모리 = 16 4. 김병호류 중중모리 = 21 Ⅲ. 종지형 = 27 1. A형 = 27 2. B형 = 30 Ⅳ. 동일·유사선율 비교 = 34 Ⅴ. 결론 = 52 참고문헌 = 53 부록악보 = 55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545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야금산조 중중모리의 강산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김죽파, 김윤덕, 강태홍, 김병호류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Kangsanje in Gayageum Sanjo Jungjungmori : Focus on ‘Juk-pa Kim’, ‘Yun-deok Kim’, ‘Tae-hong Kang’, ‘Byeong-ho Kim’-
dc.creator.othernameHan, So Young-
dc.format.pageⅷ,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