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0 Download: 0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정서조망수용 및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

Title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정서조망수용 및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self,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uthors
한영미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정서조망수용 및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정서조망수용 및 정서조절 능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1-1.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정서조망수용능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1-2.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정서조절능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만 4세, 만 5세 유아 48명이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도덕적 자아를 측정하기 위하여 Kochanska(2002)의 Moral self 하위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 측정은 Denham과 Couchoud(1990a, b)의 유아 정서 인식 하위척도 중 정서조망수용능력 부분을 사용하였으며, 정서조절능력 측정은 Goleman(1995), Saarni(1990), Salovey와 Mayer(1990)의 정서지능 척도를 조인영(2007)이 수정, 번안한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에 대한 교사용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Cronbach's α를 구하고 Pearson의 상관분석(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정서조망수용 및 정서조절 능력의 전반적 경향을 알아본 결과, 유아들은 도덕적 자아의 하위 차원 중 감정이입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고, 그 다음으로 보상, 부모와의 좋은 감정에 대한 관심, 규칙 위반에 대한 민감성 수준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다. 반면 위반 뒤 죄책감과 감정적 불안에서는 가장 낮은 점수를 얻었다.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은 총점 24점 중 평균 15.38(SD=9.35)을 나타냈다.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하위 요인 중 타인정서조절능력이 자기정서조절능력보다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첫째,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유아의 정서조망수용 및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의 관계에서 도덕적 자아의 하위 도덕적 차원 중 고백이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이 높을수록 유아가 자신의 잘못에 대해 타인에게 더 많은 고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에서는 유아의 도덕적 자아 총점과 도덕적 자아의 하위 차원 중 고백, 보상, 타인비행관심이 정서조절능력 총점과 정서조절 능력의 하위 요인 중 타인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가 타인과 관련된 정서를 더 잘 조절할수록 자신의 도덕적 위반 행위에 대하여 더 잘 고백하고 더 많은 보상을 하며, 타인이 행하는 비행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정서조절 능력의 총점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하위 요인 중 타인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가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높을수록 타인과 관련된 정서를 더 잘 이해하고 조절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This research aims for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moral self,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following are research problems. 1. W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moral self,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1-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self and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1-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self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forty eight children who are 4 or 5 years old. In this research, I used subordinate standard for Moral self by Kochanska(2002) to measure children's moral self. For measuring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I utilized part related to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mong children's affective recognition subordinate standards by Denham and Couchoud(1990a, b). And for measuring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 used the standard for rating for the teacher, which is the resulf of what Cho In-young(2007) revised and chang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Standard by Goleman(1995), Saarni(1990), and Salovey and Mayer(1990). In this research, I also applied SPSS 12.0 statistics program to hav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α and operated the correlation analysis by Eparson to deal with the collecteddata.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overall tendency of children's moral self,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hildren graded the highest score for empathy among subordinate positions of moral self, compensation, interests about good emotion with parents, sensitiveness about violating rules in the order named. On the other hand, children graded the lowest score for guilty conscience and emotional anxiety after violating rules.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showed the average of 15.38(SD=9.35) on a scale of 24.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got a better grade than that about one's self. First,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moral self,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self and their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confession, one of the moral self's subordinate moral positions, seems to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That is, the higher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gets, the more often the children's confess their faults to other peop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self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mong the total of children's moral self's mark and their subordinate positions, confession, compensation, and interest about other people's misconduct seem to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Thus, I could say that the better children are to control emotions related with other people more, the more often they can confess and compensate bad activities for violating rules, and become more interested in other people's misconduct. Furthermore, the total score of both children's moral self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shows a meaningful relation.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former seems to posses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one subordinate factor among the latter's types. In conclusion, the more children can recognize and understand other people's emotions, the more they can understand and control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