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0 Download: 0

정악 해금 연주법 고찰

Title
정악 해금 연주법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raditional Playing Technique for Haekum : Focused on the bowing and musical sign
Authors
류정연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I studied in this thesis how Uhngoongbub (運弓法, bowing technique), Ing-eojil (잉어질, one of the typical playing technique for heakum) and Eum-nerimpyo (음내림표, one of musical sign for heakum) appear in Jeongak(正樂) and how they are associated with the technique of other instruments. I studied the Uhngoongbub for the cases of Hyonak youngsan hoesang (絃樂靈山會相), Pyoungjo hoesang (平調會相), Gwanak youngsan hoesang (管樂靈山會相), and Chuitageju (吹打繼奏). There are three general types of bowing. The first is the basic bowing, 1 bow for 1 jeonggan (井間). The second is one bow for more than two jeonggans when the same tone continues or more than two tones are linked with one bow. The third is when the bow changes. The bow changes more than twice in one jeonggan, or the bow continues from the former jeonggan and then changes at 3/3 time in a jeonggan. In this case, the bow changes to '3 jeonggan 2 bow' and '3 jeonggan 3 bow' when each tone in 3 jeonggan is 5/3·1/3·3/3 time' respectively. In the case of '3 jeonggan 2 bow', we can find the noniropyo (노니로표, ) of haegeum and jeonsung (轉聲) and jachool (自出) of stringed instruments, which are shown as mainly 'pulling bow-pushing bow'. The '3 jeonggan 3 bow' is found when the first tone and the third tone are the same, and each tone uses yuhyon junghyonyuhyon(遊絃中絃遊絃). We can find jeonsung, jachool and ddeul(뜰) of stringed instrument in the second tone which uses the 'pulling bow-pushing bow-pulling bow.' The bowing characteristic of each piece found in 『Kimgisubo』 is as follows. In , bowing is irregular from Sangryongsan (上靈山) to Yombul dodery (念佛도드리) following each melody and the bowing of the repeated musical phrases of Doderi jangdan (도드리長短) is the same. Taryong jangdan (打令長短) is characterised by '2 jeonggan 1 bow+1 jeonggan 1 bow' and '3 jeonggan 1 bow', which is similar to the rhythm of a gak (角, one rhythmic cycle). has simpler type of bowing compared with Hyonak youngsan hoesang and more use of '1 jeonggan 1 bow'. In , more changes of bowing are found comparatively. In Sangryongsan and Joongryongsan, the types of bowing are seen irregularly by junbak(준박). In Dodery jangdan, '3 jeonggan 3 bow' is not seen and there's a positional change of '2 jeonggan 1 bow' in Yombul dodery. Chita and Gilgunak (길軍樂) of have simpler bowings than pieces of Yongsan hoesang. They are mainly '1 jeonggan 1 bow' and '2 jeonggans 1 bow.' In Giltaryong (길打令)ㆍByolwoojo taryong (別羽調打令)ㆍGunak (軍樂), there is the characteristic of Taryong jangdan. The difference among music books is seen as follows. In the musics of Yongsan hoesang, different music books have different bowings, while in Chitageju the types of bowing are almost the same. In 『Aakbu haekumbo』(a haekum music book edited by Yiwangjik Aakbu) the types of bowing are irregular compared with those of current music books and in Gwanak youngsan hoesang, there' no bowing marked. In 『Kimgisubo』(a heakum music score edited by Kim Gi su), we can find some places where mistakes and irregularity of 『Aakbu haekumbo』were corrected. Though melodies are the same, bowing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rganization and the technique of the stringed instruments. In 『Gangsajoonbo』(a haekum music score edited by Gang Sa joon), when the musics belong to the same line and the tunes are the same, bowings are the same. In 『Yoonchangoobo』(a haekum music score edited by Yoon Chan goo) and 『Ahnheebongbo』(a haekum music score edited by Aha Hee bong) there are different bowings in some parts from those of 『Kimgisubo』. As for the special techniques found in Jeongak music, I studied Ing-eojil and Eum-nerimpyo. Ing-eujil is seen in musics such as Hyonak youngsan hoesang, Pyoungjo hoesang, Gwanak youngsan hoesang, Chuitageju, Chonnyon mansei (千年萬歲), Utdoderi (細還入) and Gakok (歌曲). The melodies are downward tunes with the fingering going down like 4→2(Hwang-Lim(潢-林), Lim-Tae(林-太)) or 4→3(Tea-Nam(汰-南), Nam-Joong(南-仲), Hwang-Nam(潢-南). In fingering of Joong 1, melodious types of Hwang-Lim that goes from yoohyun 4→2 appears most frequently. Two sounds of Ing-eojil tune are fixed and are likely to appear at regular places in Yongsan hoesang musics. When the special technical melodies of piry (??), kayagum (伽倻琴) and geomungo (玄琴) appear at the same place of Ing-eojil, the first tones may be different, but the next tones are almost the same. When the special techniques of other instruments aren't found where Ing-eojil appears, the melodies are likely to be the same, especially with the next tone. We can find the second sound associated with both Ing-eojil and the special technical melodies of other instruments. With Ing-eojil of Gakok, Uhjogakok is associated with suhchimpyo of piry and Gemyonjo gakok (界面調歌曲) is associated with ddeuldong (뜰동) of stringed instrument. Eum-narimpyo is the mark to make a note a step lower than the original one. The note with the mark should be played differently from the note which is a step lower without the mark. Including the exceptional cases seen only in 『Aakbu haekumbo』, Eum-narimpyo appears in Hyonak youngsan hoesang, Pyoungjo hoesang, Gwanak youngsan hoesang, Chitageju, Gakok, Soojechon (壽齊天), Yeominrak (與民樂), Bohuhja (步虛子) and Kyongrok-mookangjigok (景?無彊之曲) among Jeongak musics except ritual musics. Em-narimpyo can be classified roughly into two cases. One is the case that appears in yoohyon 1, and the other is the case functioning as kyongahnpyo (經按標). The Em-narimpyo with yoohyon 1 is seen in fingering of Tae (太) 1, Joong (仲) 1, and Lim (林) 1 of the dang-piry (唐??) centered musics. We can find the technique of making Tae (太) 1 a step lower to Sansung (散聲) and making it retreated or pulled up to the original note. In the musics of fingering Jung 1, the technique of piry is associated. Piry appears with 'Hyeop (夾) 2ㆍHyeop (夾)ㆍother tone', making the standard of haegeum technique. It also appears in goonak(軍樂) of Hyonak youngsan hoesangㆍPyoungjo hoesang (Joongryongsan - goonak), Chitageju, and Bohuhja. The functioning of Em-narimpyo as kyonganpyo is classified into ‘Tae(太) lim(林) -Joong(仲)’ tone, dangpiry -centered music, melodies with grace note and short tone of current music. In 'Tae(太) lim(林) -Joong(仲)' tone, piry appears as 'Tae(太) joong(仲) 2-joong(仲)', which is seen in gakok. In dangpiry- centered musics, 'Hwang(潢) ' is found in Bohuhja and ‘Hwang(潢) -?’ in Kyongrok-mookangjigok. grace notes and short short tones of current music are found only in Aakbu haekumbo. When there is a tone using Yokahn (逆按) technique in grace notes or a short tone joong(仲), they are marked with Em-narimpyo to be played with kyongahn technique. After studying Uhngoongbub and the special techniques found in Jeongak musics, I found that they have certain rules and are associated with the tones and techniques of other instruments. I also found that there are more or less difference in bowings among music books and Ing-eojil and the special technique of Em-narimpyo have been handed down almost the same from the time of Aakbu to today except the function of Em-narimpyo that is found only in 『Aakbu haekumbo』.;본 논문에서는 운궁법?잉어질·음내림표 등이 정악해금곡 안에서 나타나는 양상과 다른 악기 연주법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운궁법의 연구대상악곡은 현악영산회상, 평조회상, 관악영산회상, 취타계주로 하였다. 일반적인 운궁의 유형은 크게 세가지로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1정간 1활의 경우로 가장 기본이 되는 운궁법이다. 두 번째는 2정간 이상 1활의 경우로 동일음이 지속되거나 둘 이상의 음이 한 활로 연결되는 경우이다. 세 번째는 정간 안에서 활이 바뀌는 경우로서 한 정간 안에서 활을 두 번 이상 바꾸거나 이전 정간의 활이 연결되다가 정간의 3/3박에서 활이 바뀌는 경우로 나타난다. 정간의 3/3박에서 활이 바뀌는 경우는 3정간에서 나타나는 각 음의 싯가가 각각 ‘5/3·1/3·3/3박’인 선율형에서 ‘3정간 2활’과 ‘3정간 3활’로 나타난다. ‘3정간 2활’은 활이 바뀌는 두 번째 음에 해금의 노니로표(), 현악기의 전성, 자출이 나타나고 대부분 ‘당기는 활-미는 활’로 나타난다. ‘3정간 3활’은 제 1음과 제 3음이 동일한 음이고 각 음들이 유현-중현-유현을 사용하는 경우에 나타난다. 두 번째음에 현악기의 전성, 자출, 뜰이 나타나며 ‘당기는 활-미는 활-당기는 활’로 사용된다. 김기수보를 중심으로 한 악곡별 운궁특징은 다음과 같다. <현악영산회상>은 상령산부터 염불도드리까지는 선율에 따라 운궁형태가 불규칙하게 나타나며, 도드리장단 악곡의 반복악구(樂句)의 운궁형태는 동일하다. 타령장단 악곡에서는 한 각의 선율의 리듬형태와 유사한 ‘2정간 1활+1정간 1활’과 ‘3정간 1활’의 운궁유형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평조회상>은 현악영산회상에 비해 운궁의 유형이 단순해지고 1정간 1활의 사용이 더 많아진다. <관악영산회상>은 운궁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난다. 상령산과 중령산에서는 준박에 의해 운궁의 유형이 불규칙하게 나타나며, 도드리장단 악곡에서 3정간 3활은 나타나지 않고, 염불도드리의 2정간 1활의 출현 위치도 변화가 있다. <취타계주>의 취타와 길군악은 운궁유형이 영산회상계통 악곡보다 단순하게 나타난다. 대부분 1정간 1활과 2정간 1활로 나타난다. 길타령·별우조타령·군악에서는 타령장단악곡 특징이 나타난다. 각 악보간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영산회상계통 악곡에서는 악보간에 운궁형태에 차이점이 나타나고 있으나, 취타계주의 운궁형태는 상대적으로 대동소이하다. 『아악부해금보』는 운궁의 형태가 현행 악보에 비해 불규칙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관악영산회상은 운궁이 표기되어 있지 않다. 『김기수보』는 『아악부해금보』의 오류나 불규칙성을 바로 잡은 부분이 나타난다. 동일한 선율형에서 현악기의 주법·편성 유무에 따라 운궁형태를 다르게 표기하는 부분이 나타난다. 『강사준보』에서는 동일한 계통 악곡의 동일한 선율형에서는 동일한 운궁형태가 나타난다. 『윤찬구보』와 『안희봉보』는 『김기수보』와 일부분에서 다른 운궁형태가 나타난다. 정악해금곡에서 나타나는 특수주법으로는 잉어질과 음내림표를 살펴보았다. 잉어질이 나타나는 악곡은 현악영산회상, 평조회상, 관악영산회상, 취타계주, 천년만세, 웃도드리, 가곡으로 그 선율형은 운지법상으로 4지→2지(潢-林, 林-太), 혹은 4지→3지(汰-南, 南-仲, 潢-南)로 진행하는 하행선율형이다. 仲1지 운지법에서 유현 4지→2지로 진행하는 潢-林의 선율형이 가장 많이 출현한다. 잉어질 선율형의 두 음은 고정적이며 영산회상계통 악곡에서는 출현위치도 일정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잉어질과 동일한 위치에서 나타나는 피리, 가야금, 거문고 특수주법의 선율형은 그 선율형의 첫음은 다양하게 나타나기도 하나 선율형의 뒷음은 잉어질과 동일하다. 잉어질의 출현위치에 다른 악기의 특수주법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도 그 선율형은 동일한 유형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선율형의 뒷음은 거의 동일하다. 잉어질과 다른 악기 특수주법의 선율형에서 서로 관련있는 음은 선율형의 두 번째 음임을 알 수 있다. 가곡의 잉어질은 우조가곡은 피리의 서침표와 연관성이 있고, 계면조가곡은 현악기의 뜰동과 연관성이 나타난다. 음내림표는 ‘음내림표가 기보되어 있는 음의 운지법에서 기보된 음보다 한음 낮은 음을 소리낸다’는 의미로 원래의 한음 낮은 소리와는 다른 방식으로 연주하는 기호이다. 제례악을 제외한 정악해금곡에서 음내림표가 나타나는 악곡은 『아악부해금보』에서만 나타나는 경우를 포함하여 현악영산회상, 평조회상, 관악영산회상, 취타계주, 가곡, 수제천, 여민락, 보허자, 경록무강지곡이다. 음내림표는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유현 1지음에 나타나는 경우, 경안표로서의 기능을 하는 경우이다. 유현 1지음에 음내림표가 나타나는 경우는 太1지 운지법과 仲1지 운지법, 당피리 중심 악곡의 林1지 운지법에서 나타난다. 1지를 산성쪽으로 한음 낮은 위치로 벌려 올린 후 퇴성하거나 본음으로 끌어당기는 연주법이 나타난다. 仲1지 운지법 악곡에서는 피리 연주법과 연관성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때 피리는 ‘夾二·夾·다른 선율’로 나타나서 해금 연주법에 기준이 되기도 한다. 현악영산회상·평조회상의 군악, 관악영산회상(중령산-군악), 취타계주, 보허자에서 나타난다. 경안표로서의 기능을 하는 경우는 ‘太林-仲’의 선율형인 경우, 당피리 중심 악곡의 경우, 현행 악보의 장식음선율이나 짧은 싯가의 음에 해당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太林-仲’의 선율형인 경우는 피리도 ‘太仲二-仲’로 나타나며 가곡에서 나타난다. 당피리중심악곡의 경우는 보허자에서는 ‘潢’, 경록무강지곡에서는 ‘潢-?’으로 나타난다. 현행 악보의 장식음선율이나 짧은 싯가의 음에 해당하는 경우는 『아악부해금보』에서만 나타나는 경우이다. 장식음에 해당하는 선율에 역안주법을 사용하는 음이 있을 경우나 짧은 싯가의 仲이 나타나는 경우에 음내림표를 사용하여 경안법으로 연주하도록 표기되어 있다. 정악해금곡에서 나타나는 운궁법과 특수주법을 살펴본 결과 이러한 연주법들은 해금 정악곡 안에서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악기의 선율형 및 연주기법과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운궁법은 각 악보간에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다른점이 나타나고 있고, 잉어질과 음내림표의 특수주법은 『아악부해금보』에서만 나타나던 음내림표의 기능을 제외하고는 아악부시절부터 현재까지 거의 동일하게 전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