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여성정치인의 의회진출을 통한 대의성의 구성과 정치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여성정치인의 의회진출을 통한 대의성의 구성과 정치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presentativeness and Political Change Resulting from the Entry of Female Politicians into National Assembly : Focusing on 17th National Assembly Women
Authors
김연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의 제도정치 참여 필요성을 전제로, 제17대 국회에 있어 기존의 정치엘리트(Political elites/Partisan elites)와 구성이 다른 과소대표 그룹의 의회진출을 통한 의사결정기구에서의 대표성 확보가 해당 정책의제에 관해 어떠한 방식으로 대의성을 구성하고 있으며, 정치문화에 긍정적인 변화의 가능성을 안고 민주주의의 증진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가의 주제를 제17대 국회에 등원한 여성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대표권 확보를 통한 여성의 대의성 구성은 대의정치가 민주주의의 기본원리로서 작동되지 못하는 민주주의의 한계상황에 직면하여, 그 자체로 정치개혁의 한 과정으로서 의사결정기구에서 대의과정의 개방과 여성을 비롯한 과소대표 그룹의 참여 확대, 민주주의의 심화와 증진이라는 전반적인 기획의 맥락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며, 제17대 국회에서 비례대표 의석 확대와 교호순번제, 할당제 등의 제도적 성취를 통하여 여성을 비롯한 기존 과소대표 그룹이 의회에 진출하고, 대의성을 구성하고, 기존의 관성화된 정치문화에 변화를 가져오면서 궁극적으로 민주주의의 심화와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 과정에서 작동하는 구조적 문제들을 드러내고 제17대 국회에 있어 여성정치의 성과와 한계에 대해서 논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17대 국회에 있어 여성의원의 증가를 통하여 각 상임위원회에 여성의원들이 참여하게 되므로써 의정의 전 분야에 고르게 성인지 관점이 이식되는데 기여하였으며, 여성의원을 통한 젠더의제 활동의 수행이 크게 증가한 것을 비롯하여 남성의원들의 젠더의제 활동도 촉진할 수 있었음을 살펴 보았다. 또한 17대 국회를 기점으로 의회 내에서 여성들이 ‘예외적 존재’에서 ‘소수집단’으로 유의미한 위상의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와 함께 국회를 둘러싼 인적구성의 변화가 유도되고 여성 민원인과 이익집단 등의 의회 접근성이 높아지므로써 여성들의 정책요구가 전달되는 주요 네트워크로서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제반여건을 통하여 17대 국회에서는 호주제 폐지 등 여성운동의 오랜 숙원과제가 해결되고 성인지 예산과 성별영향평가 도입 등 여성정책의 진일보한 새로운 축으로서의 성인지 정책 추진을 위한 제도적 틀이 마련되는 등의 성과를 이루었다. 그러나 여성의원들은 젠더의제 성과에 대한 17대 국회 후반의 반발(backlash)과 여성가족부 폐지 사안 등을 통하여 소속 정당의 한계를 넘지 못 하고 초당적 연대의 구축에 미흡하였음을 드러내었고, 17대 국회에서 비정규직 의제와 신사회위험(new social risks)에 대한 대응 등 이니셔티브 구축이 필요한 의제에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정치적 과정이 부족하였다는 한계를 노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여성정치인이 직면할 수 있는 의회와 정당에 존재하는 구조적 문제들을 드러내었다. 남성을 중심으로 연대하고 정치자원이 배분되어온 정치조직 전반의 가부장성이 존재하는 가운데, 여성의원은 초선에서 초선으로 교체되는 양상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면서 여성정치자원의 연속성이 담보되지 못 하고 여성의 정치력이 구성되고 축적될 수 있는 공간이 단절되는 양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젠더의제 활동이 개별 정치인 내지는 정당에 정치적으로 큰 이익을 가져오지 않는다는 판단이 작동하면서 젠더의제의 정치적 중량감이 간과되거나 약하게 취급되는 경향이 존재한다. 여성들의 다양한 정책요구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젠더의제 의정활동의 성과가 정치적 이익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유권자와 여성정치인의 관계설정을 포함한 전략적 접근이 요청된다.;This study examines legislative activity and political culture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based on how the increase in the representation of under-represented groups is contributing to the advance of democracy. This paper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established political elites and structurally different under-represented groups in the deliberations of the 17th Korean National Assembly, and how the attendance of female assembly members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is providing positive political change and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of democracy, based on the premise that participation of women is necessary in a parliamentary democracy.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 National Assembly through guaranteed representation tests the limits of democracy, in that such representative politics cannot function as a basic principle of democracy, but opening up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ensuring attendance of under-represented groups such as women is itself a stage in the overall of process of strengthening and advancing democracy. The results and limits of women's politics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are examined and discussed from this viewpoint by looking at accomplishments such a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eats, the system of rotating seats and the quota system used in the form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adopted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which has increased representation in the National Assembly of under-represented groups such as women, and by looking at the possibility of this process ultimately helping to strengthen and advance democracy and investigating structural problems resulting from this process. The present research shows that, due to the increase in participation of female assembly members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and the increase in female assembly members participating in each standing committee of the National Assembly, gender-sensitive viewpoints have become established in all parts of the legislature, and the activity of male assembly members has accelerated the gender agenda. Moreover,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women has gone through the phase of changing from being exceptional cases to being a minority group, and as a result of the change of the make-up of the National Assembly, there has also been an increase in female civil petitioners and interest groups.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due to the conditions described here and the achievement of long-cherished demands of the women's movement, such as the abolition of the patriarchal family register system, women's policies have taken a great step forward, and this has achieved the goal of providing a structural framework for an increase in gender-sensitive policies. However, cases such as the backlash against the gender agenda and the abolition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the Family show the lack of cross-party activity and expose the limits of the political process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of the strategic initiative building necessary to deal with the irregular agenda and new social risks resulting from the gender agenda. The present research also shows problems in the ability of female politicians to confront structural problems present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in political parties. In the existing patriarchal system, in which distribution of political resources is centered entirely on men, the continuation of female political political representation cannot be guaranteed and it is possible that the increase in women's political power could come to a halt. Moreover, since the gender agenda does not bring large political benefits to individual politicians or political parties, there is the tendency for its political importance to be overlooked or treated lightly. In order for the diverse political demands of women to be implemented, and for the the gender agenda to bring legislative results, it must be connected to political benefits, and thus a strategic proximity is required between the electorate and female politicia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