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기업 명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동기 및 적합성이 위기 시 기업 정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기업 명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동기 및 적합성이 위기 시 기업 정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orporate reputation, perceived motivation and perceived fi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the recognition of corporate legitimacy in crisis : Based on the oil spill incidence of Samsung Heavy Industries
Authors
박수정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With the turn of the 21st century, the society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globalization,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ntensification of competition in the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strengthening of the power of consumers and civic groups, aggravation of criticism on corporations, and etc. With these influences, corporate legitimacy is at risk. The society is demanding even greater responsibility to the corporations in return of exercising its enlarged influencing power. In this era where the legitimacy is threatened, entrepreneurial activities have become even more importance than ever in order to obtain trust from the public and to be accepted as an ethical enterprise.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a corporation’s risk as to the question of its maintenance and abolition, as corporate reputation indicates the general judgment of the stakeholders and a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represents the satisfactory level of the expected corporate environment, the recognition of these two factors can play an important role. This study assumes corporate legitimacy as the necessary element in overcoming the crisis where the corporation’s maintenance and abolition is in question. With this respect, it further states what kind of effect the exercise of corporate reput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have on ensuring corporate legitimacy in crisis. To ver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research hypotheses and one research question were set. Through a scenario experimen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corporate reputation,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legitimacy. First and foremost, the effect on corporate legitimacy acknowledged by the public depending on the rise and fall of corporate reputation was identified. In addition, the change in the recognition of corporate legitimacy in crisis depending on the public awareness on the perceived motivation and perceived fi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as affirmed. Last but not least, this study confirmed of the influence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rporate reputation and the recogni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on corporate legitimacy. A case analysis of the oil spill incidence cause by Samsung Heavy Industries and the backup measure stated by Samsung Heavy Industries was selected and was further conducted by assigning 320 people subjected to this research. The major research results and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usual corporate reputation of Samsung Heavy Industries affects the corporate actional legitimacy in case of crisis. In this research, it indicated that even though corporate reputation did not affect the institutional legitimacy of Samsung Heavy Industries, the group that read the reputed scenario tended to value the legitimacy on the backup measures of Samsung Heavy Industries higher than the group that read the ill reputed scenario. Thus, corporate reput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in overcoming a corporate crisis and in obtaining the legitimacy of the backup measures decided by the corporation. Second, recognition on corporate legitimacy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public recognition of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cases where the maintenance of a corporation is at risk, the importance of social responsibility that meets the expectations on the corporate environment was significant. Many positive researches show that the efficacy of social responsibilities is affected by the public recognition o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as to its perceived motivation and its perceived fit, the perceived motivation was irrelevant whereas the perceived fit influenced the corporate legitimacy. In contrast to such research results of the western societ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Samsung Heavy Industries’ legitimacy between the group who perceived social responsibility of Samsung Heavy Industries as a motivation for the society and the group who perceived it as a motivation for the corporation. Thir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cognition of corporate reput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plays a role in determining corporate legitimacy. As a result of identifying corporate legitimacy in ter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corporate reput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crisis, corporate institutional legitimacy and actional legitimacy was noticeably relevant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corporate reputation and the perceived fit of social responsibility.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corporate reputation, the perceived motiva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perceived fit of the social responsibility, there appeared to be interactive influences between the three factors on the corporation’s pragmatic legitimacy. This result denotes that it is necessary to exercise social responsibility by organizing the reputation through building up the existing professional capabilities and gaining trust and by reaching the expectations of the stakeholders in order to obtain corporate legitimacy in crisis.;21세기에 들어와 사회가 급격히 변화하고 점차 복잡해지면서, 위기의 종류는 점점 다양해지고, 기업이 위기에 노출될 가능성 역시 점차 높아지고 있다. 또한 소비자와 시민단체의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사회는 기업에 대해 보다 큰 책임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경제사회의 환경변화로 기업의 정당성은 자본주의 초기보다는 훨씬 약화되어가고 있다. 이렇게 정당성이 위협받는 시기에는 공중으로부터 신뢰를 획득하고 윤리적인 기업으로 인정 받기 위한 기업 활동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즉, 기업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총체적인 평가인 기업 명성과 기업환경의 기대에 부응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인식은 위기 상황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존폐가 갈리는 위기상황에서 기업이 필요한 것은 기업의 정당성이라고 가정하고 평소의 기업의 명성관리와 사회적 책임 활동 수행이 위기 시 기업의 정당성 확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기업 명성,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 및 적합성과 기업 정당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삼성중공업의 기름유출 사건과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삼성중공업이 발표한 지원대책을 분석사례로 선정하여 성인 32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기업 명성의 높고 낮음에 따라 공중이 인식하는 기업의 정당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와 적합성에 대해 공중이 인식하는 방향에 따라 위기 상황 시 기업 정당성 인식이 달라지는 지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명성과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인식이 상호작용하여 기업의 정당성에 영향을 미침을 밝히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 결과와 함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삼성중공업의 기업 명성은 위기 시 기업의 행동적 정당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명성이 삼성중공업의 제도적 정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명성이 높은 시나리오를 읽은 집단의 경우 낮은 명성의 시나리오를 읽은 집단보다 삼성중공업의 지원대책에 대한 정당성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 명성은 기업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기업의 결정인 지원대책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는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인식에 따라서 기업의 정당성 인식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기업의 존속이 위협 받는 위기 상황에서는 기업 환경의 기대에 부응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여러 실증적인 연구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공중의 인식에 따라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와 적합성에 따른 기업 정당성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기업의 정당성에 사회적 책임 활동의 적합성은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세 번째는 기업 명성과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인식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것이다. 기업 명성과 사회적 책임 활동의 적합성간 상호작용에 따른 기업의 정당성을 알아본 결과, 기업의 제도적 정당성과 행동적 정당성 모두에 기업 명성과 사회적 책임 활동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기업 명성,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 사회적 책임 활동의 책임성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기업의 실용적 차원 정당성에 3요인간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위기 상황에서 기업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평소 전문적 역량과 신뢰 구축을 통해 명성을 관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동시에 이해관계자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사회적 책임 활동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평소 명성관리와 사회적 책임의 이행으로 이러한 공중의 요구를 충족시킨 기업의 경우 위기를 당하더라도 공중이 기업 자체의 존재와 기업의 행동을 지지하고 인정하는 기업 정당성을 보다 쉽게 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기업이 위기 상황에서 자신과 자신의 행위의 정당성을 확보하여 효과적으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평소 꾸준한 명성 및 관계 관리와 적극적인 사회적 책임 이행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기업 명성과 사회적 책임 활동이 마케팅 관련 종속 변인들에 미치는 연구에서 벗어나 위기 상황 시 기업의 정당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 다른 학문에서 논의되었던 기업 정당성 개념에 인식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PR패러다임을 접목하였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위기 관리 연구는 주로 위기 중의 관리에 관심이 집중된 반면, 본 연구는 위기 이전에 미래의 위기를 대비하여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고, 공중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인식을 연구함으로써, 기업이 사회적 책임 활동을 어떻게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